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산관련차량 이동에 따른 도로의 에어로졸 발생량 분석

        일환 ( Il Hwan Seo ),이인복 ( In Bok Lee ),황현섭 ( Hyun Seob Hwang ),배연정 ( Yeon Jeong Bae ),배승종 ( Seung Jong Bae ),문운경 ( Oun Kyung Moon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4

        Most of livestock houses are concentrated in certain area with mass rearing system resulting in rap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HPAI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The livestock-related vehicles which frequently travel between farms could be a major factor for disease spread by means of transmission of airborne aerosol including pathogen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erosol concentration by field experiment while vehicles were passing through the road. The TSP (total suspended particle) and PM10 (particle matter) were measured using air sampler with teflon filter installed downward the road with consideration of weather forecast and the direction of road. And aerosol spectrometer and video recorders were also used to measure the real-time distribution of aerosol concentration by its size. The results showed that PM2.5 was not considerable for transmission of airborne aerosol from the livestock-related vehicle. The mass generated from the road during the vehicle movement was measured and calculated to 241.4 μg/㎥ by means of the difference between TSP and PM2.5. The dispersion distance was predicted by 79.6 m from the trend curve.

      • KCI등재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의 불확도 추정 및 평가

        배연정 ( Yeon Joung Bae ),배승종 ( Seung Jong Bae ),일환 ( Il Hwan Seo ),교 ( Kyo Seo ),이정재 ( Jeong Jae Lee ),김건엽 ( Gun Yeob Ki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3 농촌계획 Vol.19 No.4

        Analysis and evaluation of uncertainty is adopting the advanced methodology among the methods for greenhouse gas emission assessment that was defined in GPS2000 (Good practice guideline 2000) and GPG-LULUCF (GP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 2006 IPCC guideline, two approaches are suggested to explain the uncertainty for each section with a national net emission and a prediction value on uncertainty as follows; 1) Spread sheet calculation based on the error propagation algorithm that was simplified with some assumptions, and 2) Monte carlo simul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general purposes.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agricultural field including greenhouse gas emission that is generated from livestock and cultivation lands due to lack of information for statistic data, emission coefficient, and complicated emission formula.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uncertainty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agricultural field by means of intercomparison of the prediction value on uncertainties which were estimated by spread sheet calculation and monte carlo simulation. A statistic analysis fo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uncertainty of emission rate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livestock intestinal fermentation, excrements treatment, and direct/indirect emission from agricultural lands and rice cultivation. It was suggested to minimize uncertainty by means of extraction of emission coefficient according to each targeting section.

      • USN기반의 농업·농촌시설의 돌발재해 경보감지체계 개발

        배연정 ( Yeon-joung Bae ),김성필 ( Seong-pil Kim ),배승종 ( Seung-jong Bae ),김학관 ( Hak-kwan Kim ),일환 ( Il-hwan Seo ),김수진 ( Soo-jin Kim ),배원길 ( Won-gil Ba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우리나라의 재해연보를 통해 산사태의 발생 및 피해 형태를 분석하면 대부분 돌발홍수에 의해 사면 내에 유로가 발생하고 이 유로를 따라 토석류가 무너져 내리는 형태로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설치된 산사태·토석류 감지 및 돌발홍수 감지장비는 초기투자비 및 유지관리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특히 우리나라 농촌 및 산악지역을 감안할 경우 넓은 지역에 대해 조밀한 계측 센서의 설치가 필요하므로 현재까지의 개발되어 적용하고 있는 계측센서 및 모니터링 체계를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고 스마트-센서 관련 시장이 확대되면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압력센서, 온도센서 등이 소형화되고 가격이 저렴해짐에 따라 기존 고가의 경사계, 간극수압계, 토양수분계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USN(Ubiquitors Sensor Network)과 같은 무선통신기술의 개발로 농촌지역과 같은 광범위한 감시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센서-네크워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농업·농촌시설의 현장맞춤형 돌발재해 경보감지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산지재해 감지 무선센서 및 하천 수위센서를 개발하고, 무선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중앙의 정보수집센터로 수집 및 분석되며, 최종적으로는 지역주민들에게 사이렌 및 문자메시지 전송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조기경보를 달성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농업·농촌시설의 돌발홍수 위험잠재능 평가

        김수진 ( Soo-jin Kim ),김성필 ( Seong-pil Kim ),배연정 ( Yeon-joung Bae ),배승종 ( Seung-jong Bae ),김학관 ( Hak-kwan Kim ),일환 ( Il-hwan Seo ),배원길 ( Won-gil Ba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최근 국지적, 집중적 특성을 지닌 강우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돌발홍수 피해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고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주로 소하천의 최상류 계곡에서 발생하는 돌발홍수는 과거에 비해 여가생활 및 여행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명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돌발홍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 홍수방어측면에서 비구조적인 대책의 일환으로 과거의 홍수발생 원인과 현상을 종합하여 홍수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취약성 분석과 위험잠재능 평가가 다수 진행되어왔다. 다만, 국가하천이나 지방하천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실질적으로 돌발홍수에 의한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소하천이나 계곡의 경우 최근 이상기후 및 재해경향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농업·농촌 시설의 경우 홍수피해가 빈발하여 매년 많은 피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아 즉각적인 대응은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치수단위구역의 잠재적인 홍수피해 취약 정도를 나타내는 홍수피해잠재능 개념을 도입하여 수계 내 상대적인 홍수위험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돌발홍수 위험잠재능을 산정하고자 한다. 더불어 수문기상, 사회경제적인 요소를 포괄하여 홍수위험관리 측면에서 지역별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유연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