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순왕후 송씨’를 둘러싼 기억과 그 거리

        서미화(Suh, Mi-hwa)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2

        본 논문은 단종의 비(妃)인 정순왕후 송씨의 삶을 복원한 후, 후대에 그녀를 둘러싼 이야기가 어떠한 양상으로 기억되는지를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 것이다. 계유정난과 관련한 인물들인 단종, 세조, 사육신 등 남성 서사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이 있었지만 단종의 비였던 정순왕후 송씨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리하여 그녀의 삶과 관련한 기록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그녀가 후대에 어떠한 이미지로 자리매김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조가 왕위에 오른 후 정순왕후 송씨에 대한 흔적은 삭제되고 말았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단종 복위 운동이 거론되면서 정순왕후 송씨에 대한 기록과 흔적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그녀에 대한 기억은 크게 세 층위로 나누어 전개되었다. 첫째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국가 주도의 기억, 둘째 야담에 전해오는 사대부의 기억, 셋째 구전되어 오는 민간의 기억이다. 국가 주도의 기록에서는 과거를 재정립하고 신하들의 충절을 강조하는 왕권강화의한 측면에서 그녀를 기록했다. 일부 사대부들은 정치 비판의 발언을 가 능하게 하면서도 세조를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매개자로서 그녀를 소환했다. 구전되는 이야기에서는 한 많고 애달픈 사연의 주인공으로 그녀를 위로하고 기억했다. 후대에 복원된 그녀에 대한 기억은 과거를 기억하고자 하는 사회나 개인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단절된 시간은 그녀에 대한 기억을 혼재되게 만들었다. 그녀의 삶과 관련한 기억들은 일 부분만이 파편처럼 전해져 왔을 뿐이다. 한 인물에 대한 기억이 여러 층위에서 변주되는 양상을 통해 역사를 기록하는 주체에 따라 기억이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 · 일간 『금오신화』의 재발견과 의미

        서미화(Suh, Mi Hwa),이춘희(Lee, Chun Hee) 동악어문학회 2019 동악어문학 Vol.77 No.-

        본고는 1927년 최남선에 의해 소개된 잡지 『계명』에 수록된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1884년 메이지본 『금오신화』와 1926년 잡지 『조선』, 『금오신화』를 비교하여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금오신화』는 고전에서 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창작된 시기부터 이러한 위치를 점유했을까? 조선시대로 소급해 올라가면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 『금오신화』는 지금의 유명세와 달리 조선의 독서계에서 기록이 그리 많지 않다. 『금오신화』는 1927년 최남선이 『계명(啓明)』 19호에 발표하면서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 최남선은 일본에서 이를 발견하여 국내로 소개했다. 최남선이 일본에서 발견한 것은 메이지본이다. 메이지본은 한․일 문사가 함께 참여한 것으로 기존 일본에 있던 고간본(古刊本)에 서문과 발문, 비평을 추가하여 새롭게 간행한 것이다. 이후 재조일본인 와다 이치로가 잡지 『조선』에 일본어로 번역한 『금오신화』를 연재한다. 연달아 최남선이 『금오신화』를 국내로 소개했다. 메이지본은 당시 일본에서의 한학부흥운동과 연관이 있으며 일본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학문을 정리할 필요성에 의해 선택되어졌다고도 볼 수 있다. 잡지 『조선』에서는 재조 일본인 와다 이치로가 내지인에게 조선인을 잘 이해시키기 위한 활동의 연장선으로 『금오신화』를 선택해 일본어로 번역했다. 최남선은 혼란한 근대전환기에 조선학 고취의 일환으로 『금오신화』 다시 읽기를 시도했다. 그의 시도는 성공한 것으로 보이며 『금오신화』는 여전히 고전의 위치를 지키고 있다. This article compares the meaning of three editions of Geum-o Shinhwa and examines the meaning of each. These are the Meiji version in 1884, the edition of the magazine Joseon in 1926, and the edition that introduced in magazine Gyemyeong by Choi Nam-sun in 1927, and this article compares the three writings centering on the Choi Nam-sun’s 1927 edition. Currently, Geum-o Shinhwa occupies a prominent position in classical literature.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it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from the time of its creation, the Joseon Dynasty era. There are not many records of that period concerning the Geum-o Shinhwa. The title of the article only appears a few times. Geum-o Shinhwa, which had not been illuminated since then, was reilluminated by Choi Nam-sun in the Gyemyeong No. 19(1927). He, at that time, discovered the Meiji version of Geum-o Shinhwa(1884) in Japan and introduced it to Korea. The Meiji version was newly published with the addition of preface, footnotes, and criticisms of several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to the Goganbon(Old Book) in Japan. Ichiro Wada, a Japanese who lived in Joseon, serialized Geum-o Shinhwa translated into Japanese in the magazine Joseon in 1926. Following that, in 1927, Choi Nam-sun introduced Geum-o Shinhwa in Korea. The Meiji version was involved with the revival movement of Chinese literature in Japan at the time, and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was selected by necessity to sort out East Asian scholarship centered on Japan. Ichiro Wada personally translated Geum-o Shinhwa as part of his efforts to make the Japanese more understand the Korean people. On the other hand, Choi Nam-seon attempted to re-read Geum-o Shinhwa in order to promote Joseon studies in the turbulent modern period. Choi Nam-seon’s attempts seem to have succeeded, and the Geum-o Shinhwa still holds the position of classics.

      • KCI등재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의 두 세계, 신념(信念)과 의혹(疑惑)

        이승수(李勝洙) ( Lee Seung-soo ),서미화(徐美花) ( Suh Mi-hwa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1

        이 글은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의 서사가 스스로 말하는 형식을 분석한 하여 그 의미를 밝힌 것이다. 가급 외부 조건으로부터 작품을 분리시켜 분석했고, 부분 부분을 확대하여 그 기능과 의미를 적극해석했다. 그 결과 「남염부주지」의 두 서사 공간인 현세와 남염부주를 주인공 朴生 내면에 있는 ‘신념’과 ‘의혹’의 외적 구현으로 해석했다. 현세와 남염부주를 오가는 朴生의 여행은 신념과 의혹 사이를 오간 심리적 동요 또는 내면의 파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요의 원인은 성리학적 세계관 내부의 우주론과 도덕론 사이에 잠재하는 자기모순이다. 남염부주는 성리학 내부에서 도덕론과 우주론의 불일치로 인한 朴生의 고민에서 태어난 세계인 것이다. 朴生은 신념을 견지하려고 노력하면서도 그 안에서 싹트는 의문을 억압 ․ 통제하지 않으며, 귀신과 천당지옥을 부정하면서도 그 가능성을 완전히 닫아두지 않는다. 그는 확신하면서 의심하고, 부인하면서도 인정하는, 의심과 배반을 그치지 않는 사유하는 인물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type of narration and its meaning in the fiction ‘Student Bak Visits the Underworld’. To this end, the fiction was separated from all kinds of conditions as possible for analysis and progressively interpreted the functions and meanings each part. Consequently, this paper found out that two narrative spaces in the fiction ‘Student Bak Visits the Underworld’, this world and the underworld, were the external expression of ‘conviction’ and ‘doubt’ hidden inside the hero Bak Saeng. The travel of Bak Saeng between this world and the underworld corresponds to the psychological disturbance between conviction and doubt. The cause of such disturbance was the self-contradiction imbedded in the cosmology and the theory of morality in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While Bak Saeng wrote the ‘monism’ on the basis of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disturbance, the doubt was deepened. The doubt led Baek Saeng to the underworld called ‘Namyeombuju’. The geographical space named ‘Namyeombuju’, the attitudes of Bak Saeng in this underworld, existence of king of the underworld and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king of the underworld and Baek Saeng indicates that the ethic of Neo-Confucianism can’t accord with the cosmology. The main doubt of Bak Saeng as well as the theme awareness consistently described in the fiction ‘Student Bak Visits the Underworld’ is that the cosmology of Neo-Confucianism admitting only this world and the retribution depending on moral behaviors as insisted in the Neo-Confucianism can’t explain the legitimacy of the result. Bak Saeng endeavors to keep the con viction, doesn’t suppress or control the doubt generated from conviction and denies the ghost, the heaven and the hell but admits the possible existence of such elements. Bak Saeng is the person of thoughts ceaselessly thinking about doubt and betrayal as being confident but doubting and denying but admitting. The underworld named ‘Nambyeombuju’ and the king of that underworld are the external expression of the dynamic and complicated inner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