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첫 자녀 출산 부모의 결혼만족도 변화경로 및 예측요인

        서미정 육아정책연구소 2018 육아정책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첫 자녀 출생 후부터 영유아기 동안 아버지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변화경로를 탐색하고, 이에 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자료는 한국아동패널의 5개년 자료(1차년도~5차년도)를 활용하였고, 최종 표본은 첫 자녀를 출산한 984가구이다. 먼저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아버지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시간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변화패턴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결혼만족도는 아버지가 어머니에 비해 더욱 가파르게 감소하였고, 모든 측정 시점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은 통제변수인 어머니의 취업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변화에는 첫 자녀 출산 후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동안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차별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rajectories in and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parents with one year old baby. Latent growth modeling was used with a sample of 984 households.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for both fathers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creased over time after the birth of the first child. However,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decreased more steeply than mothers’. Furthermore, mothers’ employment wa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Father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 predicted change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factors such as father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 are more high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an fathers’.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parent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organized to promote father involvement and to resolve marital conflict.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를 중심으로

        서미정,최은실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가 조절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2011년 한국 아동패널 4차년도에 참여한 1600명의 어머니와 아버지였다.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 모두 유아 월령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어머니 우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하는 아버지 양육참여 각각 어머니 우울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and father’s perceived fatherly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00 mothers and fa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4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in 2011.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show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depression,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ther’s and father’s perceived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In addition, both mother’s and father’s perceived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even when the age of a child was controll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oth mother’s and father’s perceived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 KCI등재후보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후속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 유자녀 가구를 중심으로

        서미정 육아정책연구소 2011 육아정책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유자녀 가구의 후속 출산계획과 관련된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규명하고, 추가 출산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출산계획에 대해 자녀수 및 모 연령이 적을수록 ‘낳지 않겠다’는 응답율은 낮은 반면, ‘낳겠다’와 ‘모르겠다’는 높은 응답율을 보여주었다. 둘째, 자녀수 및 모 연령이 적을수록, 자녀의 미래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모의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후속 출산에 대한 무계획집단에 비해 계획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후속 출산에 대한 계획집단과 미결정집단을 구분하는 데에는 자녀수, 모 연령, 모 학력, 모 우울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자녀출산 가능성이 비교적 높아 보이는 자녀수가 1명이거나 연령이 30세 미만인 여성은 추가 출산하지 않는 이유로 자녀교육비용과 출산 및 양육의 어려움을 우선적으로 꼽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향후 출산장려정책에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반영될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aren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ffect follow-up planned childbirth among family with children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llow-up planned childbirth wa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by both the number of children and female age. Seco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expectations for a child's future, father's involvement for parental role,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all strongly associated with follow-up planned childbirth. Third, the reasons why women with children don't plan a follow-up childbirth was that education expenditure for children, followed by caring difficulties among women with one child and under 29 year-old-wom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on birth encouragement policy to increase childbirth.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버지 및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간 종단적 관련성

        서미정 육아정책연구소 2017 육아정책연구 Vol.11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asses of trajectory in father involvement with young children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The changes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by the classes of father involvement were also examined using latent growth model. The current study used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Four classes of trajectory in father involvement were found. Among the four trajectory classes, the High Involvement-Stability class was the largest (63.4%), followed by the Middle Involvement-Stability class (26.4%), Middle Involvement-Increasing (6.1%) and the High Involvement-Decreasing class (4.1%). The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decreased with time regardless of the trajectory classes of father involvement.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creased over time when the change type of father involvement was Middle Involvement-Increasing class. In the other father involvement type of change, the change rate of mother' s marital satisfaction was different but showed decreasing change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ent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activated to promote fathers' continuous involvemen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ather involvement in order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for mothers. 본 연구는 자녀가 만 0세부터 만 4세까지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변화하는 양상에 따라 잠재집단을 구분하고, 여기서 확인된 아버지 양육참여의 변화유형별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변화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집한 한국아동패널의 5개년 자료(1차년도~5차년도)를 활용하였다. 먼저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통해 도출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변화유형은 고수준 안정형, 중간수준 안정형, 중간수준 증가형, 고수준 감소형의 4개 잠재집단이다. 다음으로 아버지 결혼만족도는 아버지 양육참여의 변화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시간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패턴을 발견하였다. 어머니 결혼만족도는 아버지 양육참여 변화유형이 중간수준 증가형일 때 시간 흐름에 따라 증가한 반면, 나머지 양육참여 변화유형에서는 모두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지속적인 양육참여를 활성화하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해 아버지로서 남편의 양육참여가 중요함을 인식시키는 부모교육이 이루어질 필요성을 시사한다.

      • Daisdzein이 Benzo(k)fluoranthene에 의한 CYP1B1 유전자조절 작용에 미치는 영향

        서미정,김여운,신윤용,Seo, Mi-Jeong,Kim, Yeo-Woon,Sheen, Yhun-Yhong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04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Vol.24 No.4

        Cytochrome P4501B1(CYP1B1) is known to be inducible by xenobiotic compounds such as policyclic aromatic hydrocarbon(PAH) and dioxins such as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And these induction of CYP1B1 is also regulated by many categories of chemica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chemicals on CYP1B1 gene expression in Hepa-I and MCF-7 cells, 5' flanking DNA of human CYP1B1 was cloned into pGL3 basic vector containing luciferase gene, and then transfected into these cells. After treatment of chemicals, the luciferase activity was measured. CYP1B1 enzyme metabolize PAHs and estradiol. CYP1B1 metabolize estradiol to 4-hydrozyestradiol that is considered as carcinogenic metabolite. Recent industrialized industrialized society, human has been widely been exposed to widespread environmental contaminants such as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that are originated from the imcomplete combustion of hydrocarbons. PAHs are known to be ligands of the AhR(aryl hydrocarbon receptor). Induction of cytochrome P4501B1(CYP1B1) in cell culture is widely used as a biomarker for PAHs. Therefore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PAHs in the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to evaluate bioactivity of PAHs. We have used the United State of America EPA selected 13 different PAHs, PAHs mixtures and extracts from environmental samples to evaluate the bioassay system. We examined effects of PAHs on the CYP1B1-luciferase reporter gene and CYP1B1 mRNA level. Benzo(k)fluoranthene and dibenzo(a, h)anthracene showed strong response to CYP1B1 promoter activity stimulation, and also CYP1B1 mRNAs increase in MCF-7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RT-PCR analysis indicated that PAHs significantly up-regulate the level of CYP1B1 mRNA. Some flavonoids such as genistein, daidzein, chrysin, naringenin and morin were also investigeted. These flavonoids decreased B(k)F infuced luciferase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 But, these flavonoids exhibited stimulatory effect at high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