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서미경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fundamental problems in the Korean public education fields through the educational thoughts of Comeniu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solving problems.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factors of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thoughts in order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omenius' educational thought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omenius' educational thoughts show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public education fields in Korea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revealing the driving force behind educational reform an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caused by COVID-19. Second, the fundamental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fields were analyzed and diagnosed by dividing them into the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omenius. Third, based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Comenius, this study proposed alternative methods for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s in Korean public education fields. The diagnosis and suggestions through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Diagnosis 1. The original purpose of educating the restoration of God's image through Pampaedia was lost. Proposition 1. The starting point to solve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Korean public education is to restore the original purpose of education and provide education to become human beings based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Comenius. Diagnosis 2. In terms of education contents, it is another problem that divided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Korean public education fields not complete education. The divided knowledge education led to the collapse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rather than having positive influences on understanding God, the human spirit and nature, and also rather than having beneficial effects on using the knowledge through learning correctly while making the right relationships. Proposition 2.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of publ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store humanity by not only human spirit and nature but teaching bible. This is the complete education of Comenius. Diagnosis 3. The test score-oriented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often used rather than teaching about the restoration of human dignity and the pleasure of learning. Proposition 3. Comenius' teaching method with respect to humanity and pleasure in learning should be applied in practice. This is because the essential capability to ope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social capabilities such as community co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를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통하여 진단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교육사상 형성 요인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들과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로 인한 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현시점에서 교육개혁의 원동력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를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의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진단하였다. 셋째,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한국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진단과 제언을 짝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진단1. 한국 공교육 현장은 범교육(Pampaedia)을 통한 하나님의 형상 회복(인간다운 인간)이라는 교육의 원천목적을 상실하였다. 제언1. 한국 공교육 현장은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에서 말하는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위한 교육의 원천목적을 회복해야 한다. 교육과 관련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교육의 본질이 되는 인간다운 인간(하나님의 형상 회복)이 되기 위한 교육의 원천목적을 회복하는 것에 있다. 진단2. 한국 공교육 현장은 교육내용에 있어서 온전한 교육이 아닌 분절된 교육을 하고 있다. 분절된 지식교육으로 인하여 하나님, 인간 정신, 자연을 이해하고, 배운 지식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바른 관계를 맺기보다는 교육공동체의 붕괴를 초래하였다. 제언2.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교과교육에 자연, 인간 정신뿐 아니라, 성경을 포함하여 총체적 지식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이 코메니우스가 말하는 온전한 교육이다. 진단3. 한국 공교육 현장은 인간의 존엄성 회복과 배움의 즐거움 보다는 성적위주의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제언3. 인간성 존중과 배움의 즐거움을 위한 코메니우스의 교수-학습 방법이 실천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 시대를 열어 갈 수 있는 필수역량은 인격적인 연결을 중시하는 공동체적 협력과 같은 사회역량이기 때문이다.

      • 외국의 건강영향평가 동향과 과제

        서미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보건복지포럼 Vol.173 No.-

        1990년대 중반 이래로 유럽, 캐나다, 호주, 태국 및 대만 등은 건강영향평가를 도입하였다. 건강영향평가의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모든 사람에게 건강에 이로운 공공정책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건강영향평가 수행에 있어서 국가별 접근법의 차이는 있으나, 건강영향평가 접근은 짧은 시간에 많은 국가에서 도입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는 건강이 하나의 기본권으로서 받아들여지고, 모든 사람에게 건강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공동된 의지의 산물이다. 기본권으로서의 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건강영향평가를 도입하는 국가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듣기 지도에 중점을 둔 토론수업 방안

        서미경 한국독서교육학연구회 2011 독서교육연구 Vol.- No.8

        토론은 갈등 상황을 해소하기 위한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다. 문제에 대한 자신의 논거와 상 대발언을 들은 뒤 반론과 질문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방송 매체나 토론 대회를 통해 토론을 접할 때 자신의 주장을 끝까지 굽히지 않고 상대방의 주장을 듣지 않는 일, 상대가 무슨 말을 해도 귀 를 닫아 버리는 일들이 종종 발생된다. 토론이 일방적 독단적인 말하기가 아니라면 듣기과정은 반드시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상대방을 이해하게 된다. 즉, 듣기를 통해 상대의 의견을 수용하는 열린 마음을 가진 민주적 소양을 갖춘 토론자를 길러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더 이상 토론수업에서 의 듣기지도는 간과할 수 없다. 듣기는 능동적 인지과정으로 청자의 적극적인 인지가 개입된다. 이것은 듣기지도를 통해서 효과적인 듣기를 할 수 있는 듣기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실제적 의사소통 상황인 토론수업에서의 듣기활동에 중점을 둔 듣기지도를 제안하였다. 이에 듣기유형과 듣기지도 전략을 살펴보고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단계별 듣기지도 내용 과 듣기활동을 참고하여 토론수업 시 듣기활동을 토론 전, 토론 중, 토론 후로 단계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제시된 활동을 실제 토론수업에 적용하여 듣기활동이 토론수업에서의 사용 가능성, 문제점, 보안점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지역사회정신건강 서비스 질 평가지표 연구 - 우리나라와 뉴질랜드의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

        서미경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35 No.4

        This study applied the evaluation indexes of community mental health agencies in Korea and New Zealand to Donabedian’s evaluation framework. As results, most of the evaluation indexes of Korea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are composed of indicators of structure and process indicators. But the evaluation indexes of New Zealand agencies are composed of outcome indicators. Therefore I suggest periodic outcome evaluation and consumer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And I argu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reliable and valid indicators. 본 연구는 한국과 뉴질랜드의 지역사회정신건강 서비스 제공기관의 평가지표를 Donabedian의 구조, 과정, 결과의 평가 틀에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평가지표들은 대부분 구조와 과정평가에 초점이 있고, 사례관리 매뉴얼에 일부 결과평가 지표가 있다. 그러나 뉴질랜드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와 달리 결과평가가 가장 중요한 평가지표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 지역사회평가지표에 결과평가를 강화하고,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신뢰할만하고, 타당한 지표개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경찰과 복지서비스제공자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낙인속성 이해와 사회적 낙인 수준 : 일반인과의 비교

        서미경,이민화,이진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0 No.3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에서 그들의 심리·사회·경제적 욕구와 안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의미 있는 자원인 복지서비스제공자와 경찰의 낙인속성 이해와 사회적 낙인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인을 준거집단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인 144명, 경찰 142명, 복지서비스제공자 144명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인에 대한 낙인속성 이해와 사회적 낙인 수준을 비교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의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낙인속성에는 성별과 친숙함이, 사회적낙인에는 연령, 교육수준, 친숙함이 의미 있는 예측력을 보였다. 이러한 예측요인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집단 간 낙인속성 이해와 사회적 낙인 수준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낙인속성인 통제성과 가시성 수준은 세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둘째, 편견 수준은 회복불가능 요인을 제외한 무능력, 위험성 요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경찰의 무능력, 위험성 인식이 일반인과 유사한 수준으로 복지서비스제공자보다 의미 있게 더 높았다. 셋째, 차별의 관계지양 요인은 편견과 같이, 경찰이 일반인과 유사한 수준으로 복지서비스제공자에 비해 더 높았고, 권리박탈 요인은 복지서비스제공자와 유사한 수준으로 일반인에 비해 더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바탕으로 연구자들은 표적 집단별 접근을 강조하며 정신장애인에 대한 낙인 감소를 위한 가능한 대안을 제안하였다.

      • 간접흡연 노출로부터의 보호 정책의 효과 및 정책방향

        서미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보건복지포럼 Vol.116 No.-

        간접흡연의 문제는 그 중요성이 인지되어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는 간접흡연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공장소의 공기의 담배로 인한 오염이 감소되었고, 간접흡연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었던 건강상의 피해 감소 및 의료비의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더욱이 이러한 간접흡연방지정책은 해당공공시설의 이용자 뿐만 아니라 사업자와 종업원의 불편을 야기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접흡연방지정책이 장기간 실천될수록 이들로 부터의 정책에 대한 호응도도 상승하는 등 간접흡연 방지정책은 실효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공공시설의 금연시설화는 장기적인 간접흡연피해방지정책이 목표이고, 이 정책은 건강 및 경제적인 효과 더 나아가 쾌적한 공기를 보장하는 삶의 질의 향상 효과가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호응은 정책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시민들의 호응이 없이는 정책의 성공여부는 불투명하여 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간접흡연방지정책에는 공공시설의 절대금연화를 향한 단계적인 확대정책에서는 해당 공공시설의 이용자와 사업주 및 관리자의 금연시설화에 대한 반대요소의 파악과 이를 해결해 주는 정책이 병행되어야 하며, 정부와 시민, 사업주 및 관리자의 협력체제의 유지를 통한 정책의 기획 및 실행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