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동희 작업 1970 ~ 2010까지의 도자 예술의 조형적 특징 연구 - 연대별로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서동희 한국도자학회 2011 한국도자학연구 Vol.8 No.1

        This study discusses and summarizes chronologically by decades how Dong Hee Suh’s ceramic works have developed in form and color over 40 years from 1970 to 2010.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uh’s work in the 1970s are as follows. She discovered and developed the” slicing method.” Her initial experimental work with Raku glazing and firing demonstrated the advantages of colorful effects and low fire work as well as conservation of time, money, and energy. Experimental work in salt glaze and firing produced colors ranging from yellow to dark brown with textures like orange peel and an abstract sculpture styl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1980s are as follows. The marbling effect of two clay bodies creates patterns on the surface, and the dynamics of the form add energy and strength. The architectural design with three layers from the base to the top was borrowed from the 70s.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1990s are as follows. Suh began telling about a subject or story and then finishing the details by installations. Compositions were formed with base, second piece, and top piece utilizing colorful displays. The important change was that the composition of the forming process was previously done by one forming method. But in this piece, two kinds of forming methods were combined in one piece so as to be more appealing to the viewer. For lightweight ceramic sculpture, sawdust and paper clay were added to the clay bodies to lighten them and to improve the textual effects of a surface pattern with tiny holes.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2000s are as follows. An important artistic change in the surface treatment was to add oxides and colorants to the bisque piece and sponging out,thus washing out from the bisque. But the artist also adds colors or images by brush painting to add more delicate patterns or more detailed contents. Coloring is more complex, combining oxides and slip with glaze which causes change in textual effects. To summarize, art historians and critics descsribe Suh’s style of work as lyrically abstract. Most of her works have Biblical themes expressed in poetic symbolism. The writer has been consistent in exploring not only forms and colors but also in storytelling by installations. Out of 13 solo shows, most have biblical themes because the artist believes that the Bible is the best source of inspiration. To send this paper to Ceramics Monthly or Ceramics Art Perception is also desired. If it is published, it will be more than expected. 본 연구는 서동희 작업 1970년부터 2010년까지 40년 동안 도자예술의 조형적 특징이 어떻게 변화․발전하였는지 십 년 단위로 설명하고 총괄하였다. 1970년대 서동희 도자예술의 중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성형기법으로 자르는 기법을 발견․발전시켰다 최초의 라쿠유 소성 실험을 통해 다채로운 채색 효과, 저화도 작업으로서 시간, 경비, 연료절감이라는 그 당시 연구 목적도 달성하였다. 소금유 소성실험은 오렌지 껍질의 질감효과와 더불어 소성색상의 범위가 노란색부터 진한 갈색까지이었다. 이때의 작업스타일은 추상조형이었다. 1980년대 조형특징은 다음과 같다. 두 개 색상 소지의 혼합 결과 마블링 효과는 새로운 문양을 창출하였다. 또한 형태의 역동성, 에너지, 강도를 더해준다. 또한 건축적인 구성 즉 기초받침대에서 시작꼭대기 3층 작업은 1970년부터 시작한 것이었다. 1990년대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하나의 주제 혹은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세부 내용을 설치작업으로 마무리하였다. 구성은 기초받침대 위에 두 번째 세 번째 작업을 올려놓되 다채로운 디스플레이로되어 있다. 중요한 변화는 성형기법의 구성이 그 전에는 하나의 성형기법으로 시행되었었다. 그러나 이때 작업의 경우는 두 종류의 성형기법이 하나의 작품에 결합되어 있어서 관중에게 보다 호소력이 있어보인다. 작업의 무게 경감을 위해서 톱밥 혹은 페이퍼클레이를 소지에 첨가하였다. 그 결과 작은 점박이문양 등 질감효과가 증진되었다. 2000년대의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표면처리에서 현저한 조형적 변화는 일차소성된 소지 표면상 산화물과 채료를 첨가하여 염색시킨 뒤 닦아내면서 오는 표면의 명료한 효과를 보는 것이었다. 그러나 필자는 붓을 사용하여 채색과 이미지를 그림으로 보다 섬세한 문양과 세부적인 내용을 보완해 나가는 것이었다. 채색과정이 복합적이고 산화물 화장토 유약이 결합되어 질감효과의 변화를 가져왔다. 총괄하자면 미술사학자와 평론가들에 의하면 작업의 스타일이 서정적 추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작업의 대부분이 성경적 주제 하에 시적 상징성으로 표현되어있다고 한다. 필자는 일관성 있게 조형성 개발 뿐아니라 설치 작업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소개하여왔다. 13개의 개인전 중 대부분이 참고문헌 성경 가운데 주제를 선택하여 설치한 것으로 보아 참고문헌 성경은 영감의 원천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세라믹 먼쓸리(Ceramics Monthly)와 세라믹스 아트 앤 펄셉션(Ceramics Art &Perception)에 보내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만약 출판된다면 기대 이상의 효과일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인 B 아형 혈액형의 분자유전학적 분석

        서동희,김성연,김지연,박성섭,이정빈,한규섭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5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5 No.4

        Background : An accurate ABO blood type is essential for transfusion therapy. Genetic structures of ABO blood group and subgroup have been investigated and so far about 100 ABO allel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B subgroup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 A total of 19 samples of B subgroup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n=11) and from blood donors (n=8) of Korean Red Cross blood centers; these samples had been typed serologically for the ABO blood group. Allel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irect sequencing of exon 6 and 7, and allele separation were performed for ABO gene analysis. Results : The ABO PCR-RFLP genotyping results of 18 samples among the provisional 19 B subgroups were identical regardless of their phenotypes. Two new B alleles showing 255C>T base change and 547G>A base change were observed in B3 and A1B3 subgroups. Conclusions : Serologically unidentified B subgroups were unequivocally identified through molecular analyses of the ABO gene. And new ABO alleles observed only in the Korean B subgroups were recognized 배경 : 정확한 ABO 혈액형은 수혈요법에 필수적이다. ABO혈액형의 유전자가 밝혀진 후 ABO 혈액형 및 아형의 유전자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고, 지금까지 약 10여개의 ABO 대립유전자가 전세계적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한국인 B형 아형 유전자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국내 의료기관과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에서 수혈자 및헌혈자를 대상으로 혈청학적 ABO 혈액형 검사를 통해 확인된 B형 아형 19개의 혈액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모든 검체에 대해대립유전자 특이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제한분절길이 다형성 분석,284 서동희김성연김지연 외 3인exon 6과 7의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하고 필요한 경우 대립유전자분리 분석을 통하여 ABO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 B형 아형이 의심된 19예 중 유전자형 분석결과 18예에서 표현형에 관계없이 ABO 유전자형은 일치하였다. 염기서열분석결과 A 1B3 아형 4예에서 547G>A (Asp183Asn) 염기치환을,하나의 B3에서 255C>T (Leu85Leu) 염기치환을 보이는 두 개의새로운 대립유전자를 발견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ABO 유전자형 검사를 통해 혈청학적으로 규명할 수 없었던 B형 아형을 명확히 할 수 있었고,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한국인 B형 아형에서만 보이는 대립유전자를 발견하였다.

      • KCI등재후보

        국내 HLA 적합 혈소판제제 공급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서동희 대한수혈학회 2010 大韓輸血學會誌 Vol.21 No.3

        Background: Platelet transfusion refractoriness can develop in patients after multiple transfusions of platelets. Once patients develop platelet refractoriness caused by immunological factors, HLA-matched platelet transfusion is required. However, there is no system to supply HLA-matched platelets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way to promote the HLA-matched platelet supply in Korea. Methods: The status of platelets supply in Korea and the frequency of platelet refractoriness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during 2005 were analyzed. It was obtained that the number of ordered and positive cases for the anti-platelet antibody, HLA antibody screening, and Panel Reactive Antibody test among inpatients of hematological malignancies. And the means to use the HLA-A, B data of unrelated bone marrow donors was searched. Results: Platelet supply increased annually and totally 1,558,395 units were supplied in 2005, from Korean Red Cross blood centers. The frequency of platelet transfusion refractoriness was 12.4%, among them 10.4% showed anti-platelet or anti-HLA antibodies positive. A revision of the related law was required to use the HLA data of unrelated bone marrow donors. Conclusion: Immunological factors were observed in about 10% of patients with platelet transfusion refractoriness. HLA-matched platelet could be widely available if the HLA-typed donor registry is established in the Korean Red Cross after the revision of the related law. 배경: 혈소판을 다회 수혈받는 환자에서는 혈소판수혈불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면역학적 요인에 의한 혈소판 불응에는 HLA-적합 혈소판 수혈이 필요한데, 국내는 아직 이러한 HLA-적합 혈소판제제 공급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이에 국내 HLA-적합 혈소판제제 공급의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국내혈소판제제 공급 현황과 국내 4개대학병원을 대상으로 혈소판수혈불응증 환자의빈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년간 입원치료한 혈액종양환자 중 항혈소판항체검사, HLA 항체선별검사, 또는 PRA 검사가 의뢰된 환자수및 양성인 환자수를 구하였다. 비혈연 골수기증희망자의 HLA-A, B 자료 이용 방안을 조사하였다. 결과: 국내 혈소판제제 공급은 매년 증가하여,2005년도에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에서 공급한 혈소판제제는 총 1,558,395 유니트였다. 혈소판수혈불응증 빈도는 12.4%였고, 이 중 10.4%가 항혈소판 또는 HLA 항체 양성을 보였다. 비혈연 골수기증 희망자의 HLA 자료를 이용하기 위해서 관련법개정이 필요하였다. 결론: 국내 혈소판수혈불응증 환자의 약 10%에서 면역학적 요인이 관찰되었다. 관련 법률 개정 등으로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에 HLA-적합 혈소판헌혈자 등록제도가 수립되면 국내 HLA-적합 혈소판 공급은 활성화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증강현실 도서의 경험 디자인 연구 - 유아용 콘텐츠의 UI 디자인 중심으로

        서동희,김혜경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6

        디지털 미디어 사회의 도래로, 증강현실 콘텐츠가 상용화되어 전시나 광고 등에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교육용으로 개발되어 유아용 도서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유아용 증강현실 도서들은 인터넷 서점에서도 손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도서를 구매하여 사용한 부모들의 사용 후기 또한 긍정적이다. 이러한 유아용 증강현실 도서 콘텐츠의 주된 장점은 유아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여 책을 읽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이다. 독해력을 채 갖추지 못한 유아시기부터 아이들이 증강현실 콘텐츠를 장착한 도서를 접하게 함으로써 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더 나아가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콘텐츠가 유아용 도서에 활용되었을 때, 흥미와 몰입, 활용도와 만족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UI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담은 5권의 증강현실 유아용 도서를 선정하고, 도서의 UI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증강현실 도서를 사용한 사람들의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UI 디자인 요소에서 관찰해야하는 포인트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만3-6세, 한글을 잘 모르는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선택한 증강현실 도서 5권을 차례로 경험하게 하고, 도서를 읽는 동안 UI 관찰 포인트를 관찰한 후, 사용자 경험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UI디자인에서는 아이콘 모형과 내용을 전달하는 사운드에 반응을 보였고, 내용의 분량과 인터랙티브 콘텐츠는 사용자 경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증강현실을 사용한 도서 콘텐츠가 유아들에게 긍정적으로 수용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보다 높은 활용성과 지속성을 갖춘 교육콘텐츠가 개발되는데 본 연구의 결과가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y virtue of the advent of modern digital society, AR(Augmented Reality) content is widely used in areas such as display and advertising. In recent years, AR dramatically increases in use on educational content especially for preschoolers. It is easy to find books using AR contents and their reviews on the internet bookstore. AR content has benefits for educational purposes in many ways since it makes preschoolers be interested and motivated to read the books. The intents of the books with AR contents for those preschoolers who are not able to read books yet are to obtain children’s attention and interest, and furthermore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thus was to analyze the user interface design of preschooler’s books with augmented reality, and observe them in experiencing the selected AR books directly. In first phase, the authors selected five different books with AR contents for those in age 3 to 6. Second, we decided on UI design elements in order for setting points for the children’s book use. In third phase, twenty children were provided with 5 AR books and each child were evaluated the variability of their book use, responses toward UI in reading AR books, and their attitudes and satisfaction with AR books. As a result, the children easily got attention and interest to the AR books. Preschooler responded the icon models and content reading sounds in UI design. The contents amount and the additional interactive contents affect preschooler’s user experienc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reference to AR book utiliza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toddlers and preschoolers. It is hoped that educational contents with AR would be developed more in future with better attraction, continuity, and util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혈액제제 충분히 안전하다

        서동희 대한에이즈예방협회 2003 레드리본 Vol.55 No.-

        올해는 어느 해보다 수혈관련 사건이 많이 일어났다. 그 여파로 오염된 혈액이 혈액제제로 사용됐음을 문제삼는 기사가 유난히 많았던 한 해였다. 언론에서 보도하는 것처럼 혈액제제는 정말 신뢰할 수 없는 것인가?

      • Lithium disilicate press ingot을 이용한 non-prep laminate veneer의 제작

        서동희,Seo, donghee 대한심미치과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 Vol.29 No.1

        무삭제 라미네이트에서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에 press ingot을 이용한 제작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무삭제 라미네이트는 제작 방법 및 보철물의 피개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친다. 피개 범위와 제작 방법에 따른 장단점을 미리 숙지하고 선택함으로써 효과적이고 보다 나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구강내 상황에 따라 선별적으로 잘 적용했을 때 치아를 삭제하지 않고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낼 수 있는 선택지 중 하나라 생각한다. In recent years, as a burden on tooth preparationduring the processing the laminate veneer treatments to enhance aesthetics, the interests and demands for non-prep laminate veneers are increasing which do not require teeth preparation. Although there are clear limitationsbecause the restorations are fabricated without tooth preparation, there is a clear advantage of non-invasivehealthy teeth. When manufacturing a non-prep laminate veneer, an effective design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esthetic requirements and intraoral condition because the margin of restorationsshould be determined on the natural tooth surface that isnot prepared.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presentthe three different designsaccording to the range which teeth are covered,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Non-prep laminate veneer introduced in this article was fabricated using Lithium disilicate press ingot.

      • KCI등재

        3차원해석에 의한 교대말뚝기초의 측방유동 발생메카니즘 분석

        서동희,서정주,장범수,정상섬 한국지반공학회 2001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Vol.17 No.2

        본 논문에서는 연약지반에 시공된 교대말뚝기초에 인접하여 성토하중이 재하될 때 발생하는 측방유동의 발생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수치해석에서는 점성토 지반과 점성토-사질토 지반 그리고 사질토-점성토 지반에 선단지지된 강관말뚝에 대하여 성토하중 크기(q=20, 75, 100kPa)와 말뚝두부조건(변위구송, 회전구속) 그리고 말뚝중심간격(s=2.5d, 5.0d, 7.0d, 단독말뚝)에 따라 측방유동압의 분포형태와 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측방유동압의 분포형태는 교대말뚝기초의 수평변위와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측방유동압의 크기는 배면 성토하중의 크기에 대한 비로써 결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점성토 지반과 점성토-사질토 지반의 경우, 측방유동압의 분포형태와 크기는 말뚝두부조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반면 사질토-점성토 지반의 경우에는 말뚝두부조건보다는 토층조건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약지반에 시공된 교대말뚝기초의 측방유동에 대한 설계 및 해석시 지침자료로서 측방유동압의 분포형태와 크기를 추천.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정신보건간호사와 일반정신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

        서동희,오상은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5 Nursing and Health Issues(NHI) Vol.10 No.1

        This study was the descriptive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and general psychiatric nur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1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and 120 general psychiatric nurses, who are working at a psychiatric hospital, a psychiatric mental health center, and public health center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from January 16 to February 10, 2002. For measuring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Arthur (1990) and was adapted by Sohng & Noh (1996) was used. And for measuring the job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Siavitt, Dinash & Stamps (1978) and was adapted by Kim (1998)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difference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and general psychiatric nurses (the maximum average score was 4), each score was as follows: 2.88 for the group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2.69 for the group of general psychiatric nur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2. In the difference of the job satisfaction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and general psychiatric nurses (the maximum average score was 5), each score was as follows: 3.32 for the group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3.21 for the group of general psychiatric nur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3. In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for all groups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es (r= .498, p<.0001) and general psychiatric nurses (r=.581, p<.0001).

      • KCI등재

        유아용 도서관 대출반납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안성 공도 도서관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중심으로

        서동희,김혜경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2

        최근 스마트기기가 보급되면서, 유아가 너무 어린 나이부터 스마트 전자기기에 노출되고 있다.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스마트기기를 유아로부터 멀리 하게 하려는 노력이 있으나, 유아들은 여전히 스마트 기기를 매우 좋아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아를 둔 가정에서는 지역 내 공공도서관의 유아용 시설을 찾으며 독서를 하도록 자녀를 지도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콘텐츠가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책 읽는 것을 즐거운 것으로 인지하도록 유도하는데 응용 개발 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마트 기기에 노출되는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독서 습관 증진을 위한 유아도서관 대출반납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공공도서관을 사용하는 9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그룹인터뷰를 실시하고,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였다.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을 표준화 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개선방안을 검증하였다. 유아 열람실 사용자의 도서관 이용 실태, 서비스 만족도과 자녀의 독서 습관을 위한 노력 등을 조사하여, 유아들의 독서를 증진 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아들이 책읽기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기 위해 다양한 보상제도가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어, 새로운 대출반납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유아용 도서관의 대출반납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서 디지털콘텐츠의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자 한다. Due to the spread of smart devices, kids are exposed to these devices too young even from their infant period. Parents are concern about the early exposure and possible addiction to the devices in later life, there are not many alternatives for the parents to consider. Reading in the public library is known to be one of the goo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ildren free from smart de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digital library lending system for preschoolers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an easy tool to borrow books for themselv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public library, located in Kyungki-do Anseong-si, where many preschoolers come regularly. A total of nine mothers of preschoolers who visit the library on a regular basis was participated in a group interview. I applied the service design process model and standardized the user experience of the library service. As a result, various strategies for rewarding the preschoolers’ book reading were suggested. Another survey verified the suggestions. Paper survey questions included their library user experiences and their opinions for service improvements. The frequencies of library visits and their activities were asked as well as their strategies for improving their children’s reading habits. A new way of a digital library lending system was proposed. It is hoped that newly proposed library lending system to be useful for both preschooler users and library administrative personn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