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율주행차량의 설명 효과에 의한 사용자의 주관적 반응 탐구: 운전 성향과 위험도를 중심으로

        서동학(Donghak Seo),김상연(Sangyeon Kim),이상원(Sangwon Lee) 대한인간공학회 201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5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explanation effects on users" subjective responses focusing on a driving style and risk severity in autonomous driving. Background: An autonomous vehicle can distract users" attention to the hazardous situation. Previous researchers have emphasized a feedback system to support situation awareness. However, the negative effects on user experience can be induced from an explanation without both environmental context and users" driving style.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n users" subjective responses among three factors: explanation type, risk severity, driving style. First, we classified driving styles into aggressive and defensive styles via clustering method. Second, we tes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three factors. Results: First, aggressive user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when they received only "why" information. Defensive user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when they received both "why" and "how.’ Second, users in the high-risk situation preferred the explanation about ‘why.’ users in the low-risk situation preferred the explanation about both ‘why" and "how.’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we conclude an explanation considering users’ driving style and risk severity can increase user experience on the autonomous vehicle. Appli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suggest a guideline for a personalized interface on autonomous vehicles.

      • KCI등재

        아웃링크 뉴스 제공 언론사에 대한 사용자 경험 분석 및 개선 방안 논의

        김상연(Sangyeon Kim),서동학(Donghak Seo),이가은(Kaeun Lee),한지혜(Jihye Han),이상원(Sangwon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3

        2018년 5월 네이버가 뉴스 공급 방식을 인링크 (In-link)에서 아웃링크 (Out-link)로 변경하기로 발표했다. 하지만 현시점 아웃링크 방식 도입에 대한 우려가 상당하다. 그 원인은 2009년 아웃링크 방식이 여러 부작용을 야기하여 저널리즘의 질적 하락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당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서비스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이 있었음에도 문제는 지속되어, 결과적으로 인링크 방식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관점을 바탕으로, 1) 아웃링크 방식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살피고, 2) 현재 국내 언론사의 사용자 경험 양상을 분석해, 3) 더 나은 아웃링크 방식 도입을 위한 문제 해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과거 사례를 살펴 낚시성 기사, 유해성 광고, 로딩속도 저하 3가지 주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3가지 주요 문제점에 대한 문헌 조사를 통해 세부 사용자 경험요인을 도출 후, 이를 국내 7개 언론사에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이 낚시성 기사 인식에 영향을 받는 것이 명확성과 자극성이라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또한, 광고의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특성에 따라 부정적 사용자 경험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찾아내었다. 마지막으로 언론사 웹사이트 로딩속도와 관련하여 웹 문서의 크기와 요청 수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디지털 저널리즘에 ‘사용자 경험’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관점을 적용하였다는 측면에서 여타 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게다가 본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뉴스 공급자 입장에서 자사 웹사이트의 사용자 경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실질적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해당 연구가 아웃링크 도입에 따른 디지털 저널리즘의 질적 하락 문제를 극복하는데 기여하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May 2018, Naver announced to change the news service from in-link to out-link. The out-link system had been implemented in the past, but several side effects occurred, thus being evaluated that the quality of journalism has declined. Because of the negative effects, the portal and media determined to adopt in-link system again. Given the problems caused by the past out-link service,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out-link service which negatively affects user’s experienc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n analysis on the introduction of outlink-based news service with user experience details. First, we determined the three main problems of out-link service-clickbait article, maleficent advertisement, loading speed degradation- from the past case study. Next, we evaluated the factors of seven domestic press (general daily news, private broadcasting companies, news agencies, economic magazines) in terms of articles, advertisement and technology. In the cases of the clickbait article, the results show that users perceived the clickbait articles due to the quality of stimulation and clarity of the title. The advertisements caused negative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its location on the page, or the characteristics of its form and content. The lower loading speed was observed in the out-link service compared to in-link due to its large size and request frequency, causing negative effect on the user experience. This study have a theoretical implication to adopt a novel viewpoint ‘user experience’ in the out-link service about domestic media companies, and provide a practical implication about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press web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