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양교육을 위한 철학적 상상력

        서동은(Suh, Dong-uh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5 교양학연구 Vol.0 No.2

        Education in Korea today, from the elementary school, the middle and the high school through college, has generally based upon a method of indoctrination. Liberal education in college also has tended to frequently repeat such a method of inculcation. In usual scenes of liberal education in college, a professor lectures and students write in their notes. A class exists only for the mid-term and the final exams. It would not be possible at all to cultivate autonomous, creative and personal subjects in such old and passive way of teaching. If college education is to foster new cultured citizens, one needs to deconstruct the existing way of acquiring knowledge and to seek a new way. It is through dialogue and discussion that one can try to cultivate citizens with democratic and critical awareness. I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imagination. ‘Philosophical imagination’ refers to the awareness of the limitation of knowledge and some rational and critical capacity to reach at creative insights. This article seeks to help student know how to develop such a philosophical imagination by introducing imagination, especially philosophical imagination, which was developed in Heidegger’s Kant and the Problem of Metaphysics, and adopting Socrates’ maieutic way as to enrich imagination.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대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해석

        서동은 ( Dong Uhn Suh ) 한국해석학회 2010 해석학연구 Vol.25 No.-

        Heideggers Interpretation von Kants Philosophie fuehrt in zweifacher Weise durch. Einerseits kritisiert Heidegger ueber Kants Philosophie als eine Art Metaphysik, die auf Platon und Aristoteles zuruekzufuhren ist, weil er sieht bei Kants Philosophie bwz. Kants Denkweise die Spur des abendlaendischen metaphysischen Denken. Andererseits versucht Heidegger bei Kants Philosophie die phenomenologische Denkweise zu finden. Dies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darum, Heideggers phenomenologische Interpretationsporzess ueber Kants Philosophie zu erhellen. Bei Heideggers phaenomenologischer Interpretation von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handelt es sich um die Endlichkeit des Menschen, d. h. die Grenze des meschlichen Erkenntnisses. Heideggers Interpretaion zufolge spielt der Einbildungsbegriff bei Kant Interpretaion eine wichtige Rolle, auf die sowohl Kant selber als auch Kant Interpreter ausser Acht gelassen haben. Der Einbildungsbegriff bildet sich die Endlichkeit der Menschen, die Zeitlichkeit der menschlischen Erkentnisses. Heidegger sieht im Einbildungsbegriff Kants die Verstehensmoeglichkeit der urspruenglichen Zeitlichkeit. Nachbilden, abbilden und vorbilden, die drei Dimentionen der Einbildungen sind, beziehen sich auf die Vergangenheit, die Gegenwart und die Zukunft. Diese drei Diementionen koennen aber nicht nachtraeglich betrachtet werden. Wenn man Kants transzentale Philosophie urspruenglich verstehen wuerde, kann man Heideggers Interpretation nach die Verwandtschaft zwischen der transzendentalen Philosphie und der phenomenologischen Ontologie finden.

      • 언어의 본질, 본질의 언어

        서동은 ( Dong Uhn Suh ) 한국해석학회 2012 해석학연구 Vol.30 No.-

        Das Phaomen des Sein und der Wahrheit zeigt sich fur Heidegger, wie die Sprache vom Dasein entdeckt worden ist. Die aktive dynamische "intentionale" Erkenntnis lost die rein theoretische "schau" ab, die die cartesianische Erkenntnistheorie kennzeichnet. Heidegger formuliert danach eine Distinktion zwischen zwei Bedeutungen von dem nominal verstandenem "Wesen" und dem verbal verstandenem "wesen". Hedegger hebt durch die Distinktion zwischen dem nominal verstandenen Wesen und verbal verstandenen wesen die Dynamik, die mit Sein und Sprache verknuft ist, hervor. Primar Sagen ist der aktive Prozess, die die Nachbarachaft der Dichtung und des Denkens aktualisiert wird. Heideggers daruber symbolisiert eine subtile Distinktion zwischen einer verbalisierten und einer substantivierten Wesen der Sprache.

      • 민주주의의 토대 물음과 몸의 해석학

        서동은 ( Dong Uhn Suh ) 한국해석학회 2013 해석학연구 Vol.32 No.-

        This study is purposed to examine the foundation of democracy on the basis of ‘Mom’-Hermeneutics, that is, of give-and-take of equitable gaze in particular. The bodily individual in public as the foundation of democracy and the exchange of equitable gaze of bodily individual is not watched by all the traditional theories of democracy and the traditional theories of hermeneutics, which are developed in the western modern era. The dual side of ``to see`` and ``to be see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gnition or understanding of object and in human relationship. But the dual side is failed to notice in the western tradition of philosophy. This article intends to discuss why the problem of the foundation of democracy must be examined in a new perspective, that is, in the dual sight of ‘Mom’-Hermeneutics. ‘Mom’-Hermeneutics should serve as a catalyst for the advancement of democracy in our consumer soci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진리의 본질, 본질의 진리

        서동은(Dong-Uhn Suh) 한국현상학회 2010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하이데거가 “진리의 본질에 대하여”이라는 논문 끝 부록에 강조하여 서술하고 있는 ‘진리의 본질은 본질의 진리이다’라는 말을 실마리로 하여 이 논문에서 하이데거가 다루고 있는 순서에 따라 하이데거의 진리 이해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나 “진리의 본질에 대하여”라는 논문에서 일관되게 전통적인 서양의 진리 이해의 토대로서의 진리를 문제 삼고 있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진리 논의에서 진리는 그 자체로 비-진리로서의 진리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또한 존재 사건으로서의 자유사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존재 및 진리(자유) 이해는 플라톤의 동국의 비유 해석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하이데거의 진리 이해는 전통적인 진리론에 입각해서 진리론으로 취급될 수 없다고 간주되거나, 진리 기준이 없다고 비판을 받기도 하고 또는 여타의 진리이론과 구별되는 독특한 해석학적 진리 이론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위의 세 관점에서의 하이데거 진리 이해는 근본적으로 하이데거의 의도를 간과한 단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독특한 진리 이해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위의 세 입장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니시다와 하이데거의 진리 이해

        서동은(Dong-Uhn Suh)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8 No.-

        니시다와 하이데거는 동시대를 살았던 사람으로 독특한 사상으로 새로운 철학의 전기를 마련한 사상가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사상가는 외견상 비슷한 관점에서 출발하는 인상을 준다. 니시다가 말하는 순수경험은 현상학적 지향성 의식을 연상시키고, 하이데거 말하는 존재 또한 후설의 지향성 개념의 모형과 그다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두 사상가는 그 사상의 출발점에서 현저하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진리 이해에서 현저하게 드러난다. 이 논문에서는 두 철학자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순수경험론과 존재 이해, 진리 이해 그리고 이러한 존재 이해와 진리 이해에 접근하는 방법론으로서의 논리 구조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윤리와 실천의 문제 그리고 그들이 강조하고자 하는 철학적 개념의 차이에 주목하며 두 철학자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부각시켜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두 사상가의 차이점과 더불어 보다 폭넓은 사유의 가능성을 서로에게서 발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 이해에 관한 소고

        서동은(Dong-Uhn Suh) 한국현상학회 201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9 No.-

        후설은 명증성에 도달하기 위한 데카르트의 방법론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그가 도달한 명증성의 영역인 사유하는 것(res cogitans)으로서의 순수한 의식 그 자체에는 동의할 수 없었다. 그가 생각하는 명증성의 영역은 대상과 구별되어 있는 순수의식으로서의 자아가 아니라, 타자와 대상을 지향하는 인간의 의식이었다. 후설은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가 아니라, 판단 중지(epoche)를 함으로써 명증성의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이데거는 후설의 사유를 따라가면서 데카르트와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그는 일상성의 사유 현상 그 자체에서 출발하여 데카르트가 지향하는 이론적 추상화의 길이 아니라, 이론과 실천이 결합된 실천적 결단의 경험에서 명증성을 발견한다. 후설에게 있어 유럽학문이 위기에 빠진 것은 분명하지만 유럽학문이 추구했던 객관성의 이념만큼은 언제나 학문의 규제적 이념으로 보존해야 할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 하이데거의 사유는 전제 없는 학문이기를 추구했던 후설, 그래서 데카르트의 철학조차도 수학을 전제로 한 학문이라고 비판했던 후설의 현상학적 사유와는 너무도 동떨어진 것이었다. 왜냐하면 하이데거는 처음부터 전제 없는 학문이 불가능하다는 견지에서 자신의 논의를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선입견 없는 학문의 추구와 선입견 없이는 학문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는 사유는 서로 양립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지점이 후설과 하이데거가 서로 만날 것 같으면서도 만날 수 없는 지점이다. 이러한 후설과 하이데거의 차이는 데카르트 해석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와 아울러 후설과 하이데거의 데카르트 비판이 얼마만큼 정당한지에 대해서도 물어볼 필요가 있다. E. Husserl would not agree with Descartes on consciousness as res cogitans, although he positively affirms the Cartesian methodology to arrive at clarity. The realm of clarity he thinks is not the pure consciousness of the ego, isolated from objects and others, but the human consciousness intentionally oriented toward them. Husserl sees that he can reach at the realm of clarity not by applying the Cartesian methodological doubt, but by performing epoche (suspension of judgment). Like Husserl, Heidegger takes a step further in maintaining a critical distance towards Descartes. Unlike Descartes who proceeds from phenomenological thinking of the ordinariness itself to theoretical abstraction, Heidegger, along with Husserl, finds clarity in the world of ordinary life, i.e. in the realm of practical reason that unites theory and practice. However, Husserl and Heidegger take different orientations in their study of phenomenology. Husserl seeks to construct his phenomenology according to the Cartesian ideas of science. For him, the Cartesian science was in crisis, because it ignores intentionality,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human cognition and brings the objects of consciousness up to consciousness itself. For him, Heidegger’s Being and Time lacks this kind of strict idea of scholarship. For Being, which Heidegger seeks to reach at through his existential transcendence, is not in the realm of objectivity but in a very subjective and thus relative realm. It is not wrong to think that the European sciences are in crisis; however, the idea of objectivity, which the european sciences have long sought for, has to be preserved always as the regulative idea of science. In this context, Heidegger’s thought is too distant from Husserl’s phenomenological way of thinking that critiques Descartes’ philosophy for its assumption of mathematics, although Husserl hoped Heidegger to do a science without premise. For Heidegger presumes that there is from the beginning no science without premise. The idea of science without premise is not compatible with the idea of science with premise. At this point, Husserl and Heidegger are bifurcating over an impossible gap to cross over. This might be one of the reasons why Heidegger could not be with Husserl, when the latter asked to co-write the article of phenomenology for Encyclopedia Britanica.

      • KCI등재

        하이데거 사상이 가다머의 해석학에 미친 영향사적 관계 연구

        서동은 ( Dong-uhn Suh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8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1

        가다머가 『진리와 방법』 서론에서 인정하고 있듯이, 하이데거의 사상이 그의 철학적 해석학에 끼친 영향력은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영향관계에 대한 구체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아직 적은 편이다.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사상을 해석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가다머의 사상을 존재론의 관점에서 교차적으로 서술함으로써 시기별로 구별되는 하이데거의 사상이 어떻게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에 수용되었는지 고찰하고, 두 사상가에게 있어 중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선구조(Vorstruktur), 선입견(Vorurteil), ‘로서의 구조’(als Sturktur)와 적용(Anwendung), 역사성(Histrorizitat), 현존재의 형이상학과 예술의 진리를 비교한 다음, 상호 비판적 관점에서 두 사상가의 입장을 고찰하고자 한다. As Gadamer acknowledged in his “Preface,” in Truth and Method the influence of Heidegger’s thoughts upon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has been not trivial at all. Nevertheless, concrete studies on this relationship of influence cannot be said to be many enough in number.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thoughts of Heidegger from a hermeneutic perspective and crisscrossedly describes the thoughts of Gadamer from an ontological viewpoint. In so doing, this article sheds light upon the aspects of how Heidegger’s thoughts has been gained acceptance in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period by period. In the process,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significant notions for both thinkers, such as prestructure (Vorstruktur), prejudice (Vorurteil), structure of ‘as,’ application (Anwendung), historicity, metaphysics of being-there (Dasein), and truth of arts. This will put both Heidegger and Gadamer on a horizon of reciprocal criticism.

      • 딜타이 해석학의 현대적 의미

        서동은 ( Dong Uhn Suh ) 한국해석학회 2014 해석학연구 Vol.35 No.-

        이 논문은 딜타이(W. Dilthey)의 해석학을 해석학적 과학의 시도로 받아들여 그의 해석학이 가지는 현대적 의미를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듯이, 딜타이는 칸트적 의미에서의 이성 비판이 아니라 역사이성을 비판하고자 하였고, 그에 따라 칸트적 의미의 객관성이 아니라, 역사 이성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그는 역사이성에 접근하는 해석자의 선입견에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해석학의 전통에서는 하이데거와 가다머는 딜타이가 간과한 선입견의 문제를 주제화시켰고, 과학철학의 영역에서는 토마스 쿤(Thomas Kuhn), 칼 포퍼(K. Popper) 그리고 파이어아벤트(P. Feyerabend)가 사실에 대한 관찰자의 이론 및 이데올로기 의존성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과학의 역사성을 말한 바 있다. 언어철학의 영역에서의 변화도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딜타이의 해석학적 과학의 시도는 이러한 사상사의 흐름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 그 현대적 의미와 정당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딜타이 해석학의 현대적 의미는 진리의 정합성 이론 등에 입각하여 과학의 정합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과학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서 잘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eeks for the meaning of Dilthey`s hermeneutics for our contemporary world by regarding his philosophical method as an attempt of hermeneutic science. Dilthey did not try to arrive at a Kantian objectivity but at the objectivity of historical reason by criticizing rather the historical reason than the Kantian reason. However, he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power and possibility of the prejudices and biases or pre-understanding of an interpreter who approached to the historical reason. Thus, there have been much criticism on this subject. Both Heidegger and Gadamer thematized and developed the issue of pre-understanding in the history of hermeneutics. In the division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Thomas Kuhn, Karl Popper and P. Feyerabend already pointed out the dependency of an observer upon a theory and/or ideology from which the historicity of science is formed. Linguistic philosophy has testified the same. That is, there is no detour to bypass the issue of the pre-understanding of the interpreter, given the delicately textured structure of language. This means that one can evaluate the hermeneutic science of Dilthey in the contemporary world only by critically answering to the problems that have been pointed out by the intellectuals in hermeneutics, philosophy of science and linguistic philosophy. This article checks out the criticisms in the modern history of thought to find out and build up the contemporary meaning and justification of Dilthey`s hermeneutic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its contemporary meaning lies in the fact that his hermeneutics offered a new paradigm of science, which explained the coherence of sc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herence of tr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