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소설에 나타난 엽기적(獵奇的) 상상력(想像力) 양상연구(樣相硏究) - 편혜영 김사과를 중심으로 -

        서덕순 ( Seo Deok-soo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1

        본고에서는 하드코어(hardcore) 特徵이 두드러지는 편혜영의 초기작 「아오이 가든」과 김사과의 「영이」를 대상으로 獵奇的 想像力의 樣相을 살펴 보고 그 意味를 찾아보고자 한다. 편혜영의 소설에서 ‘시체’는 의도적인 戰略으로 보일만큼 ‘더러운’ 이야기들의 중심에 있으며 산자를 지배하고 현실사회의 旣存 秩序를 顚覆시키는 주체이다. 시체를 묘사하고 기용하는 작가의 자세를 分析하는 과정에서 挑發的이고 攻擊的이라는 기존의 評價를 넘어 작가의 世界觀을 새롭게 照明할 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기대에서 본고는 출발하였다. 分析結果 ‘시체-죽은 자’는 현재와 과거, 現狀과 幻想을 잇는 中樞的 役割을 하고 있으며 未分化된 작가의 世界觀을 드러내는 장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사과의 「영이」에서 인물이 발산하는 憤怒의 원인을 糾明하는 일은 애초에 가능하지 않으며 작가의 意圖 역시 이와는 상관없는 것이기도 하다. 분노에 대한 辭典的 意味를 ‘亂暴性이 동반된 거친 不滿足으로 정리한 그레마스의 견해를 빌어 동반하는 亂暴性과 先行하는 挫折感을 살펴보았다. 철저하게 破局으로 향하는 인물들의 분노 樣相을 分析하고 破局 뒤에 오는 것들에 대해 類推해 보았다. In this paper, the aspects of grotesque imaginations in Pyeong Hye-yeong's early work [Aoi Garden] and [Toward the Breeding Farm] and Kim Sa-gwa's [Yeong-ee] with prominent hardcore characteristics will be examined and the meanings will be sought. In the case of Pyeon Hye-yeong, diverse mechanisms that may be called hysteria such as smell, description, sound, and obsession have been used in novels. In this paper, Pyeon Hye-yeong's novels were examined centering on ‘corpse (the dead)’ in particular. In the novels, ‘corpses’ are at the center of ‘dirty’ stories to the extent that it seems to be an intentional strategy and are beings that dominate the living and overthrow the existing order of the real society. This paper began with the expectation that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attitude of the writer to depict and employ corpses, an opportunity to go beyond the existing evaluation that her attitudes are provocative and aggressive and newly illuminate the writer's world view.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act that ‘corpses-the dead’ are playing the pivotal role of connecting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between phenomena and fantasies, and are devices that reveal the undifferentiated world view of the writer. In Kim Sa-gwa's [Yeong-ee], it is not possible from the beginning,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anger that the character emits, nor is the intention of the author relevant to it. Greimas defines the dictionary meaning of anger as “rough dissatisfaction accompanying rowdiness”, and explains that rowdiness is placed later than anger to accompany anger and frustration precedes anger. I thoroughly analyzed the aspects of the anger of the characters going toward thorough catastrophes and analogized what would follow the catastrophes.

      • KCI등재

        김연수 소설의 정치성 양상 연구 - 포즈로서의 성격을 중심으로

        서덕순 ( Seo Deok-soo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5

        김연수의 소설은 거대서사나 담론이 사라진 공간에서 부각된 개인성에 집중한 다. 집단에서 떨어져 나온 개인은 더 이상 집단주체에 의한 기억에 의존하기를 거 부하지만 국가나 공동체를 온전히 부정하는 개념은 아니다. 집단이나 공동체에 대 한 부정적 인식은 그 자체보다는 그로인해 억압되거나 소외된 영역들을 부각시키고 표면에 노출시켜 새로운 서사적 힘을 생성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본고는 김연수 소설의 인물이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띠고 있다고 보고 이의 양상을 ‘개인’의 측면에서, 일차적 타자인 ‘가족’관계망에서, 그리고 이를 확장한 ‘세계’와의 관련 하에 고찰해보았다. 먼저 ‘개인’에 대해 정리하면 대상으로서의 세상이 아닌 개인 스스로가 구체적인 세상 속에 자신을 던져 얻어낸 ‘몸의 상상력’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일상의 새로운 풍경’들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7번국도≫의 ‘세희’와 <우는 시늉을 하다>의 ‘윤경’을 통해 ‘부모없음’으로 오히려 ‘상징적 질서’나 ‘금기’적 욕망에 대한 결핍이 없는 온전한 세계속의 자신이 될 수 있는 주체를 창출해냄을 분석하고 다양한 유사 가족의 형태들이 결과적으로 기존의 가족 정체성을 해체하는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니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세계’와의 관계망에서의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살피기 위해 고통 혹은 사물을 매개로 타자되기를 시도하는 인물들을 분석하였다. 타자되기에 대한 욕망은 새로운 대상과 경계에의 탐색으로 연결되며 그 대상과 새로운 접속을 추구하는 욕망을 꿈꾸게 하고 이로써 공감의 가능성이 생성됨을 보았다. 공감은 세계의 다양함을 추구하고 인물들은 그 차이와 반복의 자장 안에서 타자로의 변이를 시도하며 다른 삶을 창조한다. 김연수 소설 속 인물들은 역동적인 유목민적 주체가 되어 나와 가족을 넘어서 타자로 변이되면서 인식세계를 확장하고 그럼으로써 기존의 질서를 넘어서고자하는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다. 문제적 포스트모던한 세계에 존재하되 그 세계에 대해 메타적 시각을 지닐 수 있다는 뜻이다. 김연수 소설은 욕망의 시대에 욕망을 있는 그대로 표출하기 보다는 그 욕망에 대한 자각을 그리는 소설이다. 이것은 그가 ‘포스트모던하지 않은 세대’의 사람이되 ‘포스트모던한 가면’을 쓸 줄 알고 ‘포스트모던한 정치성’을 지닌 작가이기 때문이다. 가면에 가면으로 맞서는 전술이며 이는 문제적 포스트모던(재귀성)을 응시하며 포스트모던의 증환에 맞서는 차별화된, 달리 말하면 포즈로서의 포스트모던이라고 말할 수 있다. Kim Yeon-su’s novels focus on the personality highlighted in the space where huge narratives or discourses have disappeared. Although individuals who have been separated from groups refuse to rely on memories obtained from collective subjects, it is not a concept denying the state or completely denying the community. Rather than denying groups or the community, it is intended to highlight areas oppressed or alienated by groups or the community and expose the areas on the surface to create a new narrative force. This article expanded the post-modern political nature of the generation, which is not post-modern, shown in Kim Yeon-su’s novels into ‘individuals’, ‘family members’ who are primary others, others, and the world and examined each. To summarize about ‘individuals’ first, as subjects, individuals per se, not the world, are ‘imagination of the body’, which can be obtained by casting themselves into the concrete world, and it can be said to have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in that it produces ‘new scenes of everyday life’. ‘Se-hee’ in ≪National Highway #7≫ and ‘Yun-gyeong’ in <Pretend to Weep] create entities that can become themselves in the whole world without the lack of ‘symbolic order’ or ‘taboo’ desires rather because they ‘have no parents’. In addition, the diverse forms of pseudo families in Kim Yeon-su’s novels deconstruct the existing identity. Therefore, they can be said to have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counteracting the reality based on family order. Finally, to summarize about ‘the world’, becoming others through mediation by pain or things can be regarded as the expression of the Possible Worlds and positive thinking of life. Desiring to become others becomes the possibility of empathy because it makes the person unceasingly search for new objects and dream of pursing new contacts with the objects. Empathy pursues the diversity of the world and tries to transform into others in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thus creates and form other lives. The subjects in Kim Yeon-su’s novels become dynamic nomadic subjects to transcend themselve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change into others while expanding the world thereby having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Zizek ha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of postmodernism is the cultural situation where people give up the pain of penetrating symptoms and crossing illusions while being affected by symptoms and indulging in surplus enjoyment in cynical ideologies. In a post-modern social atmosphere, Others says, “Ok, enjoy it.” After decentering and losing even symbolic effects, these Others just enforce enjoyment. To say in Kim Yeon-su’s style, it refers to saying only in the language of sexual organs. However, he was able to have an external view without falling into the problematic post-modern enjoyment. In this case, rather than being the view of outsiders who exist outside to see, the concept of the external view is a meta view that people can have while existing in the problematic post-modern world. Rather than being novels that express and reveal it as it is in the age of desire, Kim Yeon-su’s novels are those that depict the awareness of the desire. This is because he is a person in the ‘post-modern generation’ but is a writer who knows how to wear ‘post-modern masks’ and has ‘post-modern political natures’. Knowing to confront masks with masks is an ability of only those who have accurate senses of times. This can be said to be post-modernism opposing the problematic post-modernism (reflexivity) mentioned at the beginning, and differentiated post-modernism opposing the symptoms of post-modernism, in other words, post-modernism as poses.

      • KCI등재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의 한국 현대 소설 수업 사례 연구

        서덕순 ( Seo Deok-soon ),이승연 ( Lee Seung-ye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41

        문학 작품은 단순한 언어적 의사소통을 넘어서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는 핵심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소설 교육은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학 교육의 여러 모델 중 문화 모델을 중점으로 살펴본다. 문학 교육과 문화의 관계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재정리함으로써 문학 작품을 단순히 언어적 모델로 접근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정서적으로 깊이 있게 감상할 수 있는 능력, 작품 속에 반영된 문화 내용을 자연스러운 과정에서 이해하는 능력이 문학 교육의 또 다른 목표임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2010년 이래 대학에서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 현대 소설 수업을 진행해온 경험을 토대로 문학 작품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사례 다섯 가지를 주제적 측면(상호 역사 이해 바탕, 시대 상황과의 연계 수업), 형식적 측면(고전, 영화와의 연계 수업), 문화적 측면(동종주술 혹은 전통신앙과의 연계 수업)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학 작품을 깊이 있게 감상한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문화에 대해 한층 강한 자신감을 보이는 경향을 나타냈고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서 깊은 관심을 유도해내는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도 소설을 문화의 한 종류로 인식하고 해당 국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면서 한국어와 한국학을 공부하는 학문 목적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층 나아간 한국 현대 소설 교육 방안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Beyond simple verbal communication, literary works have a core function of understanding culture and emotions. However, it is true that Korean fiction education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still has certain limitations despite that diverse approaches have been attemp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al model among several models of literature education. By rearranging the views of many schola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ability to break way from the existing way, which is to simply approach literary works with linguistic models, appreciate literary works in-depth emotionally, and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nts reflected in the works in a natural process is another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o this end,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 of teaching Korean contemporary fiction classes to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at university since 2010, five cases of classes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were presented separately for the thematic aspect (based on the mutual understanding of histories, classes linked with situations of the times), the formal aspects (classics, classes linked with films), and the cultural aspects (classes linked with the lessons with homeopathic magic or traditional belief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who appreciated literary works in-depth tended to have a stronger confidence in Korean culture, and it was confirmed that an incidental effect of inducing deep interest in overall Korean society was obtained. Hereafter too, efforts should be continued to find more advanced Korean modern fiction education plans for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while recognizing fictions as a kind of culture and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countries.

      • KCI등재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한국어 교재 요소 분석 -세종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권기현 ( Kwon Ki-hyon Seo ),서덕순 ( Deok-so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잠재적 교육과정을 확인하는 데 있다. 잠재적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은 교수자 또는 교육기관에서 가르치도록 명문화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습득하게 되는 내용으로 교재 집필자의 관점, 교재를 사용한 교수법, 교재의 표현방식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한국어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이르는 용어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 한국어 보급을 목적으로 한 범용 한국어 교재인 <세종한국어> 1~8을 대상으로 인종과 지역에 대한 편견, 외국인에 대한 타자화된 시선을 고찰하고 학문, 직업, 성별, 연령별 관점이 다루어지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재의 내용은 다양한 대상에 대한 정보를 다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차별적 서술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예컨대 국가나 지역에 대한 차별적인 정보 서술이 특정 지역에 대한 선입견을 공고화하거나, 교재에 인용된 외국인 학습자들의 대화와 행동에 대한 묘사가 외국인에 대한 타자화된 시선을 부추기는 현상이 발견되었으며, 직업군의 묘사에서도 성별과 연령, 국적 등이 치우쳐 다양한 사회의 모습을 다룬다고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시각의 불균형성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교실 상황에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정보를 공유하거나 제시된 정보에 대한 토론 활동 등을 진행하는 방식을 제시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idden curriculums reflected on Korean textbooks through the way of dealing with cultural elements in South Korea. The hidden curriculums are content elements that are not specified or intended to be taught by teacher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are learned by learners. The viewpoints of the authors in the process of writing textbooks also affect the learners' use of Korean. In this study, the prejudices about ethnicity and regions and eyes upon foreigners who became others in the general Korean textbooks < Sejong Korean > 1 ~ 8 were addressed and how sex and age are handled was identified through academic fields and career fields. Despite that information in the text books dealt with diverse subjects, it has not completely got out of discriminative descriptions. For instance, discriminative descriptions of information about countries or regions contribute to the consolidation of prejudices about certain regions. In addition, eyes upon foreigners who became others were identified through descriptions of foreign learners' words and behaviors in the textbooks, and descriptions of occupations, etc. could not be said to deal with diverse shapes of society because they were one-sided in sex, age, and nationality. In order to relieve the imbalance of eyes, measures to share information from diverse viewpoints or to conduct discussion activities on presented information in classroom situa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