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악골에 전이된 위암에 대한 증례 보고

        서고은,정지아,송준호,정태영,이수운,박상준,Seo, Go-Eun,Jeong, Ji-A,Song, Jun-Ho,Jeong, Tae-Yeong,Lee, Soo-Woon,Park, Sang-Ju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2 No.1

        Oral metastatic tumors are uncommon and account for about 1% of malignant oral neoplasm. The metastatic lesions are common in breast, lung, kidney and thyroid cancer. About 20% of oral mucosal metastasis is founded before detection of primary lesions. Usually, the metastatic lesions of the oral cavity are involved in the jaw bone, especially mandible more than the oral soft tissues. We report a case diagnosed as the stomach cancer with mandible metastatic lesion looking like TMJ abscess.

      • KCI등재

        상속인인 보험수익자에 관한 고찰 : 보험수익자의 결격사유와 보험금의 분배를 중심으로

        서고은(Seo, Go Eun) 한국보험법학회 2020 보험법연구 Vol.14 No.1

        타인을 위한 생명보험은 기대가능수명이 현격히 연장됨에 따라 생활보장수단에 대한 관심 높아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는 보험계약이라 할 수 있다. 타인을 위한 생명보험계약이 보험사고 발생 후 유족에 대한 보호를 주요기능으로 함에 따라 보험계약자는 대개 본인 및 피보험자의 상속인을 보험수익자로 지정·변경한다. 또한 보험계약자가 보험수익자 지정·변경권이나 재지정권을 행사하기 전 사망하거나 보험사고가 발생하면 상법 제733조에 따라 피보험자나 보험수익자의 상속인이 보험수익자가 된다. 이처럼 타인을 위한 생명보험계약의 보험수익자는 ‘보험계약자 등(보험계약자 측)’의 상속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보험수익자는 상속인의 지위와 보험수익자의 지위를 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속인인 보험수익자와 관련하여서는 크게 두 가지의 주요 논점이 제기된다. 첫 번째는 상속인인 보험수익자가 피보험자의 고의 살해 이외의 민법상 상속결격사유를 행한 경우 보험수익자의 지위 유지 여부와 그 효과에 대한 논점이다. 두 번째는 상속인이 보험수익자가 된다면 그 수가 수인인 경우가 많음에 따라 보험사고 발생 시 보험금의 분배방식에 대한 논점이다. 상속인인 보험수익자에 대하여 이러한 논점이 제기되는 근본적인 이유는 상법상 이에 관한 명문의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Life insurance for other person is an insurance contract t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n modern society, where interest in means of living is increasing. Life insurance for other person shall be the main function of protecting the bereaved family after an insurance accident occurs. Consequently, the policyholder usually designates and change the heirs of the policyholder and the insured as the beneficiary of the insurance contract.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733 of the Commercial Law, the heirs of the insured and the beneficiary becomes the beneficiary of the insurance contract if the policyholder dies before exercising the right to designate and change the beneficiary or reassign the beneficiary. As such, the beneficiaries of Life insurance for other person often become the heirs of ‘the policyholder and others . In such a case, the beneficiary will also have the status of the heir and the status of the beneficiary. There are two main issues that arise with the beneficiary of the insurance contract as heir. The first is the issue of whether to maintain the status of the beneficiary and its effect if the beneficiary of the insurance contract as heir has committed a reason for disqualification prescribed by civil law except for the deliberate murder to the insured. The second is the issue of the way insurance money is distributed to the beneficiaries of the insurance contract as heir in the event of an insurance accident.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is issue to be raised for the beneficiary of the insurance contract as heir may be that the commercial law does not have a stipulation in the statement. In this paper, we will consider the points raised earlier on the basis of foreign legislations and related theories and a judicial precedents. Based on this, the amendments of Commercial Law are proposed to provide the ultimate solution to the issues.

      • KCI등재

        유언에 의한 보험수익자 지정ㆍ변경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일본의 입법례를 중심으로 -

        서고은(Seo, Go-Eun) 경희법학연구소 2019 경희법학 Vol.54 No.1

        우리나라에서는 상속순위에 따른 상속분의 법정상속(민법 제1000조, 제1009조)이 대표적인 재산승계방법이었다. 그런데 현대사회가 발전하여 경제규모가 증대됨에 따라 재산승계 수단의 다양성이 요구되기 시작했고, 이러한 상황에서 피상속인의 의사에 따라 상속인과 상속분을 결정하여 재산을 상속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언’이 중요한 재산승계수단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렇듯 유언이 주요한 상속수단으로 대두되고,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생명보험이 필수적인 생활보장제도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과연 유언으로 타인을 위한 생명보험계약상 생명보험금의 귀속주체인 보험수익자를 지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와 관련하여 의문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보험금은 보험계약자의 상속재산이 아닌 보험수익자의 고유재산이어서 유언이 적용될 여지가 없다고 볼 수도 있으나, 보험금은 보험계약자가 보험자에게 보험료를 지급함으로 형성된 해약환급금청구권의 변형물이라 할 것이어서 상속재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유연한 접근이 요구된다. 이처럼 유언에 의한 보험수익자 지정 변경을 인정할 필요성이 존재함에도 상법에서는 이를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언에 의한 보험수익자 지정 변경과 관련한 외국 입법례 중 일본의 입법례를 중심으로 유언에 의한 보험수익자 지정 변경의 기본적인 법리구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유언에 의한 보험수익자 지정 변경의 도입가능성 및 관련 문제들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In Korea, legal inheritance (Civil Law Article 1000 and Article 1009) was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property succession.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and the growing economic scale, the diversity of the means of property succession has begun to be required. Under these circumstances, a ‘will’ with the merit of determining the heirs and inheritanc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edecessor has begun to draw attention as an important means of succession. At the same time the will becomes a major means of inheritance, life insurance is considered an essential living guarantee system as the entering to an aging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it is possible to designate and change the beneficiary of the life insurance policy for the beneficiary by will. In response to this, some people say there is no room for a will to be applied to the insurance money, because the insurance money is not the policyholder s own inheritance. But, Insurance money is a variant of the right to cancellation refund formed by the policyholder paying the premium to the insurer. Therefore, a flexible approach is required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inheritance. Even though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designation and change of the beneficiary by will, korea commercial law does not stipulate this as a statement. So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basic legal structure of designation and change of the beneficiary by will, based on the Japanese insurance law, among the foreign insurance law related to designation and change of the beneficiary by will. And based on this, we will review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designation and change of the beneficiary by will in commercial law and related issues.

      • KCI등재

        지리적 공간과 장치 정보를 사용한 개선된 트윗 봇 검출

        이알찬,서고은,신원용,김동건,조재희,Lee, Al-Chan,Seo, Go-Eun,Shin, Won-Yong,Kim, Donggeon,Cho, Jaeh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12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하나인 트위터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블로그인데, 트위터의 개방적 구조로 인해 자동화 프로그램인 트윗 봇이 많이 생성되고 있다. 이 트윗 봇은 적법한 봇과 악성 봇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악성 봇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많은 양의 스팸 정보나 유해한 컨텐츠를 배포하기 때문에 트윗 봇을 검출하는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시간적 정보를 활용하여 사람과 트윗 봇을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사용자들의 고 정밀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공간 태그된 트윗 정보를 활용하여 트위터 사용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낸다. 그리고, 각 사용자의 공간 변수에 대한 엔트로피 값 및 사용자의 장치 정보를 사용하여 새로운 봇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주요 결과로써, 시간 정보만을 이용한 기존 연구결과보다 각 신뢰도별 봇 검출 확률 및 거짓 경보 확률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난다. Twitter, one of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is one of the most popular micro-blogs, which generates a large number of automated programs, known as tweet bots because of the open structure of Twitter. While these tweet bots are categorized to legitimate bots and malicious bots, it is important to detect tweet bots since malicious bots spread spam and malicious contents to human users. In the conventional work, temporal information was utilized for the classficiation of human and bot. In this paper, by utilizing geo-tagged tweets that provide high-precision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we first identify both Twitter users' exact location. Then, we propose a new tweet bot detection algorithm by using both an entropy based on geographic variable of each user and device information of each user. As a main result,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superior bot detection and false alarm probabilities over the conventional result which only uses temporal information.

      • KCI등재

        상악 전치부에 발생한 고립성 형질세포 골수종

        정지아,서고은,송준호,박상준,Jeong, Ji-A,Seo, Go-Eun,Song, Jun-Ho,Park, Sang-Ju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2 No.1

        Plasma cell myeloma is malignant disease of plasma cell in the bone marrow. Myeloma accounts for about 1% of all cancers. The solitary plasma cellmyeloma is rare tumors and account for less than 10% of plasma cell neoplasm. It is often progress to multiple myeloma at 30-40% despite successful local treatment with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We are reporting a case of solitary plasma cell myeloma on anterior maxillary region that developed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and immunosuppressive therapy.

      • KCI등재

        Bisphosphonate를 단기간 투여했을 때 초기 골막 및 상악동 점막치유에 미치는 영향

        임광수,서고은,송준호,이수운,박상준,Lim, Kwang-Soo,Seo, Go-Eun,Song, Jun-Ho,Lee, Soo-Woon,Park, Sang-Ju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2 No.1

        Objective: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RONJ) is reported in patients taken bisphosphonate for a long time, however, the mechanism of osteonecrosis in BRONJ was not clarified ye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rt administraion zoledronate on the healing pattern of periosteum and sinus membrane after iliac bone graft into maxillary sinus. Methods: In this study, 18 Newzeland rabbits were used.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2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rabbits were treated with weekly peritoneal injection (0.06 mg/kg/week) of zoledronate for three times. In the control group, rabbits were treated with saline solution injection instead of zoledronate. Periosteum and sinus membrane were harvested from one rabbi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on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fourth week. The autogeneous bone was harvested from ilium and grafted into maxillary sinus.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t 1, 2, 4 and 8 weeks after bone graft. The healing pattern of periosteum and sinus membrane were evaluated histologically. Results: Inflammatory reaction in the periosteum was less conspicuous and healing process appeared earlier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t 1, 2, 4 week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microscopic findings of sinus membrane between both groups at any weeks. Conclusion: Short-term use of zoledronate decreased the inflammatory reaction and enhanced healing process in the periosteum.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zoledronte suppress the function of macrophages.

      • KCI등재

        트위터에서 트윗 주기와 사용자 속도 사이 관계

        전소영,이알찬,서고은,신원용,Jeon, So-Young,Lee, Al-Chan,Seo, Go-Eun,Shin, Won-Y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9 No.6

        최근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급증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지리적 위치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의 고 정밀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공간 태그된 트윗 (geo-tagged tweet) 정보를 활용하여 트위터 사용자들의 정확한 위치와 트윗 전송시각을 알아낸 후, 이를 통해 사용자의 평균 이동속도와 트윗 주기 (tweet frequency)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트윗 빈도수 계산 알고리즘을 소개하며, 결과에 대한 분석은 국가별, 도시별로 나누어 진행한다. 주요 결과로써, 사용자 속도에 따른 트윗 주기가 멱 법칙 분포 (power-law distribution) (또는 Zipf의 법칙 분포, Pareto 분포)를 따름을 보인다. 또한, 미국과 일본에서의 결과를 비교할 때, 일본에서의 분포도 지수가 미국의 경우에 비해 작음을 확인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users'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has been highlighted with a rapid increase of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is paper, by utilizing geo-tagged tweets that provides high-precision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we first identify both Twitter users' exact location and the corresponding timestamp when the tweet was sent. Then, we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eet frequency and the average user velocity. Specifically, we introduce a tweet-frequency computing algorithm, and show analysis results by country and by city. As a main result, it is shown that the tweet frequency according to user velocity follows a power-law distribution (i.e., Zipf' distribution or a Pareto distribution). In addition, by performing a comparis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one can see that the exponent of the distribution in Japan is smaller than that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마약 투여 후 상해사고에서 보험자의 책임에 관한 고찰 : 서울고등법원 2018. 12. 5. 선고 2018나2027704 판결을 중심으로

        김형진(Kim, Hyung Jin),서고은(Seo, Go Eun) 한국보험법학회 2020 보험법연구 Vol.14 No.3

        음주·무면허 면책약관과 관련하여 한정적 무효설을 취하는 대법원 판결이 나온 이후 각종 상해보험약관에 규정되어 있던 ‘음주 또는 무면허운전 면책약관’, ‘마약·약물중독 면책약관’, ‘형법상의 범죄행위 또는 폭력행위 면책약관’ 등과 같은 보험자 면책사유가 순차적으로 삭제되었다. 이에 따라 불량위험이나 고도의 위험행위에 대하여 보험인수를 거절할 수 있는 보험자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상황이 초래되었다. 그 결과 보험자의 보상책임 범위가 지나치게 확장되어 보험금 지급 가능성이 높아짐으로써 보험료의 과도한 인상이 유발되었고, 선량한 보험계약자에게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합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상해보험에 대해 중과실 면책을 적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해보험을 인보험으로 보는 상법의 체계 및 비정액상해보험(손해보험형상해보험)에만 적용 가능한 중과실 면책의 적용 가능 범위를 고려한다면 당장의 적용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렇다면 가장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방법은 상해보험약관에 보험자의 책임을 면제하는 면책사유를 규정하여 보험자의 책임을 일정범위 내로 제한하는 것이다. 상해보험약관에 규정할 필요성이 있는 면책사유는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최근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마약 관련 행위를 면책사유로 규정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마약 투약 후 자해로 사망한 피보험자에 대해 그 불법성 및 반사회성을 이유로 ‘마약 복용’을 보험자의 면책사유로 인정한 최초의 국내 하급심 판례와 독일 및 일본의 상해보험약관상 마약 관련 면책사유의 존재 여부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마약은 환각 또는 환청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자해 및 타해를 유발하여 보험사고의 발생가능성을 현저히 높일 뿐만 아니라 중독성이 있어 마약 투약 행위가 지속되면 보험사고가 반복하여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점, 마약 투약은 형법을 비롯한 관련 법규에 의하여 엄격히 처벌되는 행위인 점 등을 고려한다면 ‘마약 복용 행위’은 반드시 상해보험약관상 보험자의 면책사유로서 규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면책사유는 명백한 반사회적 행위에 해당하므로 ‘책임면제사유’가 아닌 ‘담보배제사유’로 구분하여야 한다. 따라서 ‘마약 복용 행위’는 보험자의 면책사유로써 상해보험약관에 규정하여야 한다. 다만, 상해보험약관에 규정될 필요성이 있는 보험자의 면책사유는 마약 관련 행위에 국한되지 않으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다른 면책사유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에 따라 보험자의 면책사유가 어느 정도 확정된 후에는 이를 ‘책임면제사유’와 ‘담보배제사유’로 구분하여, 다양한 면책사유들을 체계적으로 구분 운용할 수 있는 방안 또한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The Supreme Court ruling has been issued with limited invalidation regarding the exception clause of the drinking and unlicensed driving. Since then, the reasons of exemption of the insurer s were deleted sequentially through the revision of terms of the insurance contract in 2010, such as the exception clause of drinking or unlicensed driving”, the exception clause of drug addiction”, and the exception clause of criminal or violent acts under criminal law”. This has resulted in a situation in which the free decision-making of the insurer who can refuse to take over the insurance for highly risky behavior is fundamentally blocked. As a result, the scope of liability of insurers has been excessively extende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insurance payments. This has caused an excessive increase in insurance premiums, which has bad influence even on good policyholders.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looked at ways to improve this unreasonable situation. First, we can think of applying a exemption of gross negligence to accident insurance. However, this is difficult to apply immediately, considering the system of the commercial law that considers accident insurance as personal insurance and the scope of the exemption of gross negligence that are applicable only to non-fixed accident insurance. If so, the most effective and practical way is to limit the liability of the insurer within a certain range by stipulating exception clause of the insurer in terms of the insurance contract of accident insurance. As a result, we looked at whether drug use, which has recently become a major social problem, needs to be stipulated as a exception clause based on the domestic Supreme Court ruling and the existence of the exception clause of Germany and Japan. In addition, drugs can cause self-harm and other harm due to side effects such as hallucinations or auditory hallucinations,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insurance accidents. Also, if the illegal drug use continues due to its addictive nature, insurance accidents may occur repeatedly. Moreover, since illegal drug use is strictly punished by the criminal law and other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e “illegal drug use” must be stipulated as the exception clause of the insurer in terms of the insurance contract of accident insurance. And because this exception clause is illegal acts, it should be distinguished as exclusion” rather than as exception”. As such, “illegal drug use” should be stipulated in terms of the insurance contract of accident insurance as a exception clause of the insurer. However, since the exception clause of the insurer are not limited to drug-related activities, additional reviews for other exception clause are required. And after the exception clauses of the insurer are determin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plan to systematically separate and manage the exception clauses by dividing them into “exclusion” or “ex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