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

        서경현(Kyung-Hyun Suh),안우리(Woo-Lee A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2

        한국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은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반응이나 신체적ㆍ정신적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부양자의 스트레스 반응과 건강에 대한 부양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가족부양자 192명(여: 142) 이었으며, 그들의 연령 평균은 52.35 (SD=12.41)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이용하여 치매환자 부양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스트레스 반응, 건강지각, 신체증상, 우울, 자아존중감, 주관안녕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치매환자 가족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반응이나 정신건강과 신체건강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건강지각이나 자아존중감과 관계하고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부양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자기효능감이 부양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반응, 신체증상 및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완충작용을 하고 있었다. 스트레스반응이나 신체증상과 같은 부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가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 더 적었으며, 주관안녕과 같은 긍정적인 변인의 부양 스트레스에 따른 차이는 자기효능감 상위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상학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치매환자 부양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과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With quickly becoming an ageing society in Korea,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family dementia caregivers" stresses and self-efficacy are related to their stress responses and physical/mental health, and the interaction of caregiving stresses and self-efficacy on caregivers" stress responses and health. The participants were 192 family caregivers (142 females) of demented patients lived in Seoul, whose average of age were 52.35 (SD=12.41).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caregivers" stresses, self-efficacy, stress responses, perceived health,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Results indicated that caregiving stresses were closely related to stress respons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givers"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health and self-estee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moderat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s" stresses and stress responses or physical/mental health. These results indicated buffer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negative results in stress responses, physical symptom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aregiving stresses with demented patients. For negative results of caregivers" stresses, such as stress responses or physical symptoms, differences by caregivers" stresses were less explicit in group with low self-efficacy, while difference of subjective well-being was only significant in group with high self-efficac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phenomenologic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with focusing on the promotion and intervention of dementia caregive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Korean J Str Res 2009;17:111∼120)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자기애 및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

        서경현(Kyung-Hyun Suh),양승애(Seung-Ae Y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자기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서의 스트레스 및 심리적 스트레스와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여대생 45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8세에서 31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자기애성 성격질문지,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척도 그리고 스트레스반응척도이다. 분석 결과, 여성의 자기애는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상관분석에서 여성의 자기애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 중에 공격성 및 분노와는 관계가 없었으나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자아존중감에 더해 여성의 자기애가 추가적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들 모두를 유의하게 정적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는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영향을 보정할 경우 여성의 자기애가 스트레스를 조장할 수 있다는 결과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자기애의 상호작용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여성의 자기애와 자아존중감의 특성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narcissism and self-esteem are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The participants were 454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1.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Rosenberg"s Self-Esteem Scal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narcissistic trai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Women"s narcissis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stresses and some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such as aggressiveness and anger in correlational analysis, while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However, if it was adjusted by self-esteem in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women"s narcissism accounted variance of interpersonal stresses and all of the psychological stresses, positively. This means women"s narcissism may aggravate some stresses if adjusted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factors.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in women"s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It was discussed roles of women"s narcissism and self-esteem with previous studies. (Korean J Str Res 2010;18:371∼378)

      • KCI등재후보

        대학생활 스트레스 및 우울과 일주기성과 수면부족의 관계

        서경현(Kyung-Hyun Suh)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 일주기와 수면부족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와 그 역할에 있어서의 성차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19명(남: 147, 여: 172)의 대학생들이고, 연령 분포는 18세에서 37세 (M=23.36, SD=2.94)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일주기성 척도, 수면부족 척도, 대학생 스트레스 대처 질문지, 자기평가 우울 척도 및 AUDIT이다. 분석 결과,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더 저녁활동형이었으며, 저녁활동형이 아침활동형보다 수면부족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아침활동형이 저녁활동형보다 더 우울한 반면에, 여학생은 저녁활동형이 더 우울해 하고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수면부족 여부에 따라서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에 차이가 없었지만, 여학생은 수면이 부족할 경우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남녀 대학생 모두 음주 수준이 많아질수록 저녁활동형이 될 가능성이 컸지만, 인터넷 게임을 하여 저녁활동형이 되는 경향은 남성에게서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면 일주기 양상과 대학생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 성차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ircadian rhythm and sleep deprivation on stress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Three hundreds and nineteen participants were volunteered in this study. Of which, 147 were male and 172 were female, whose ages ranged from 18 to 37 (M=23.36, SD=2.98). The outcome measures wer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 Sleep Deprivation Scale, Stress Coping Questionnaire for College Students, Zung"s Self-Rating Depression,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 evening type than female, and the evening type was more likely to experience sleep deprivation than the morning type. The morning type were more depressed than the evening type for males, while it was reversed for female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llege life stress and depression by existence of sleep deprivation for males, female students who were experiencing sleep deprivation showed significant higher level of college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an females who were not experiencing sleep deprivation. Consuming alcoholic beverages was positively related to being evening type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ile playing internet games was positively related to being evening type only for male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possible gender differences may exist in relationships between sleep circadian rhythm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Str Res 2009;17:247∼25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