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s of Apparel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 Responses in U.S. Online Retailing

        유정민,샤론레논 한국전자거래학회 2014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s’ affective/cognitivestates and purchase intention.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one factor(product presentation:garment presented flat vs. garment presented on models without faces vs. garment presented on models with faces) between-subject design with a moderator(involvement: high vs. low). A sample of 429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online experiment. The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using a realistic human modelon apparel websites. Also, consumers who are highly involved with clothing generallyexhibit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those who are less involved. Overall, these findings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model and the ElaborationLikelihood Model, and contribute useful knowledge regarding website design for onlineapparel retailers.

      • KCI우수등재

        The Effects of Apparel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 Responses in U.S. Online Retailing

        Jungmin Yoo(유정민),Sharron Lennon(샤론레논) 한국전자거래학회 2014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9 No.2

        본 논문은 의류 상품 전시와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소비자의 인지, 감성적 반응,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의류 상품 전시의 세 가지 종류(모델 없이 펼쳐놓은 의류상품 전시 vs. 모델, 얼굴이 없는 의류 상품 전시 vs. 모델, 얼굴을 포함한 의류 상품 전시)의 집단간 실험 설계를 하였으며 상품에 대한 관여도(관여도 높음 vs. 낮음)를 조절변수로 하였다. 4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델을 이용한 상품 전시의 효율성이 검증되었으며, 의류 상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들은 관여도가 낮은 소비자들에 비하여 모든 상품전시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실험적인 증거를 통하여 이론적인 통찰력을 제시하였으며, 의류 소매 업체에 유용한 지식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oduct presentation on consumers’ affective/cognitive states and purchase intention.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one factor(product presentation: garment presented flat vs. garment presented on models without faces vs. garment presented on models with faces) between-subject design with a moderator (involvement: high vs. low). A sample of 429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online experiment. The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using a realistic human model on apparel websites. Also, consumers who are highly involved with clothing generally exhibit more positive responses than those who are less involved. Overall,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model and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contribute useful knowledge regarding website design for online apparel retai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