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南塘的人心道心思想硏究

        사효동 ( Xiao Dong Xi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한국의 대유학자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은 ‘사단칠정동질론(四端七情同質論)’을 견지했던 인물로 ‘사단은 선악을 겸하고 있다(四端是兼善惡)’고 주장하였다. 그에게 있어서 도심과 인심은 칠정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단의 표현 형태이기도 하다. 이는 이율곡이 단지 칠정으로부터 출발한 것과는 달리 도심인심 모두 그 표현 형태라는 관점이며, 율곡의 사단은 도심 및 인심의 선한 측면이라는 관점과도 구별된다. 이 두 가지 관점은 동아시아의 인심도심론에 있어서 남당의 독특한 점이라 할 수 있다. 남당은 형기(形氣)와 심(心)에서 발용하는 기를 구분하였고, 그것으로부터 리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비판하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남당은 주리(主理)ㆍ주기(主氣)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자주 표현했는데, 그 결론은 도심은 리를 주로 하여(主理) 발하는 것이며, 인심의 선한 측면도 리를 주로 하여 발하는 것이고, 그 불선(不善)한 것은 기를 주로 하여(主氣) 발한다고 하였다. 남당은 더 나아가 기의 용사(用事)와 불용사(不用事)라는 두 명제를 해석하고 있는데, 도심과 인심의 선한 측면은 기를 맑게 하는데 쓰이고, 인심의 악한 측면은 기를 탁하게 하는데 쓰인다고 지적하였다. 남당은 도심인심도기론(道心人心道器論)을 비판하면서 이 이론은 일종의 인심도심 및 그와 관계된 잘못된 이해라고 생각하였다. 도기론은 두 가지 기본 요점을 가지고 있는데, 즉 인심지각화(人心知覺化)와 도심성리화(道心性理化)이다. 남당은 주희의 인심도심의 전후가 서로 다름을 깊게 분석하였다. 동시에 주희의 후학 중 리기호발설에 대한 경향에 대해 정곡을 찌르는 비판을 하였다. 그 중 채침(蔡沈), 황간(黃幹), 진덕수(眞德秀) 그리고 왕백(王柏)에 대한 비판도 포함되어 있다. 남당은 동아시아 유학 중에 오심도심 문제에 있어서 가장 역사적 감각을 가진 사상가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편으로 남당의 인심도심설을 전반적ㆍ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답채계통이(答蔡季通二)」 “말이 도리어 아직 밝지 못하다(語却未瑩)”의 문제를 해석하는 등 세부적인 부분에도 연구를 기울였다. Nantang Han, a famous Korea Confucianism, put forward the homogeneity theory between the Four Sprouts and the Seven Emotions which regard the Four Sprouts as both good and evil. In his opinion,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re not only the appearance of the Four Sprouts but also the Seven Emotions. This differ from Yulgok Lee’s view, that is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re only the Seven Emotions’ form of expression. And it also differ from the point of view of Yulgok’s, that is the Four Sprouts is the Moral Mind and good of the Human Mind. It should be said that these two thoughts are the unique in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in East Asia. Nantang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qi of body and the qi of heart, which lay a critical foundation to the theory of principle and matter (liqi)launch each other.Nantang defined two popular representations, zhuli(主理) and zhuqi(主氣), its conclusion are that all the Moral Mind are the launch of zhuli, and the good of the Human Mind is the launch of zhuli, and the evil of the Human Mind is the launch of zhuqi. Nantang further explained t two propositions,qi acts or qi doesn’t acts. He pointed out that the Moral Mind and the good of the Human Mind are the outcome of clear qi(淸氣) acts, and the evil of the Human Mind is the outcome of dirty qi(濁氣) acts . Nantang criticized the theory of Dao and Qi(道器) between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He believed that standpoint is a wrong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Nantang extremely precis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Zhu Xi’s thought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It can be said that Nantang is a thinker with an excellent sense of history in the East Asian Confucianism for the problem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hand as a whole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ally analysis the Nantang’s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On the other hand, the article also makes some progress in details. For example, it interpreted effectively the problem of "language is not reasonable" in the letter of Answering Jitong Cai I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