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5령유충(齡幼蟲)의 배맥관운동(背脈管運動)에 대(對)한 양(陽)이온의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사기언 ( Ki Yon Sa ) 한국잠사학회 1976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8 No.2

        동물에 대한 생리적 염류용액은 소위 링가씨액으로서 냉혈척추동물의 신경근육 심장 등을 비교적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지속시키기 위한 용액으로 개구리 (Frog)의 심장의 관수실험을 하기 위하여 처방한 최초의 생리적 염류용액에 지나지 않았지만 현실에 있어서는 몇몇 동물은 물론 사람에 이르기까지 거의 완전한 생리적 용액으로 되어 있는데 가잠에 있어서는 몇 가지 처방이 발표된 바는 있어도 아직 그 결과가 만족할 만한 정도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리적 염류용액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출한 기관과 조직에 대하여 장시간에 걸친 정상적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한 용액으로 사용되는 염류의 혼합용액이기 때문에 적당한 Ion조성 삼투압 pH를 갖도록 조제된다. 대개 생기 내에서 이들의 기관과 조직을 적시는 혈청 등 체액성분에 근사한 것을 사용한다. 용액의 Ion성분은 Na+을 비롯하여 K+, Ca#, Mg# 등을 가하고 여기에 NaHCO3, NaH2PO4 등의 연형제를 첨가하므로서 pH를 조절한다. 생리적 염류용액중에 포함하여야 할 Cation의 최적농도 2종 이상의 Cation의 최적혼합비율 등에 대하여 가잠유충의 배맥관 운동을 지표로 하여 이를 검토하였다. 각 Cation의 최적농도는 영점미만의 NaCl의 함유액을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각각 농도를 달리한 KCl, CaCl2및 MgCl2 등을 조합하여 이들의 액체를 적하하므로서 5령유충의 배맥관 운동의 지속시간과 맥박수를 지표로 하여 이들 시험액의 효과를 검토한 바에 의하면 NaCl 단독일 경우에는 해부 후 일시적으로 맥박수는 증가하지만 점차 정지되고 만다(일시간 정도). 여기에 대하여 KCI를 가하면 일반적으로 박동시간이 연장되고 맥박수의 저하도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 다시 KCl와 CaCl2를 가하면 그 지속시간은 더 한층 연장되었다. KCl와 CaCl2의 가용은 효과가 있지만 이들의 농도와 배맥관의 활동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이 인정되지 않았고 Ca# 또는 K+의 박동에 대한 작용은 이것을 분명히 할 수 없었고 Mg#의 작용에 있어서는 배맥관에 이를 가하면 박동 지속시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맥박수는 크게 저하됨을 인정할 수 있었다.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for animals is known as Ringer`s solution which is used for keeping the function of cold blooded vertebrate animals. Primaily the saline solu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perfusion experiment in frogs. Later the saline solution is applied in several kinds of animals including human being with satisfactory results. However, this saline solution was introduced to silkworm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 was not as successful as in the case of other animals and human being. Normally, in the case of silkworm,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is prepared in order to maintain the normal function of separated organs and tissues. To this end, the saline solution is adjusted to contain the certain amount and strength of ions, osmosis pressure and hydrogen concentration. The most of cases,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constituent of the solution be the same with the blood selium and body fluid.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 the ion element of the saline solution is adjustable by adding Na+, K+, Ca#/, Mg# which are followed by adding of buffer solution such as NaHCO3 and NaH2PO4. Determination of optimum concentration of cation in the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and the optimum mixing rate of more than two kinds of cations are based on the movement of dorsal vessel in the silkworm larvae.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cations in the solution is prepared by adding NaCl solution which is under zero point. However, this solution was further added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KCl and CaCl2. By dropping the prepared solution on the 5th larvae, the effects of solution was measured. The measurement was done by observation of movement of dorsal vessel and its time length, and the number of puls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when only NaCl solution was applied, the number of pulses is increased for a moment, and the pulse stopped after one hour or so. When KCl solution was added the time of pulse was prolonged and in the contrast, the number of pulses was slow down. If KCl and CaCl2 solutions are added the time of pulse was further prolonged. Even though the adding of KCl and CaCl2 are found to be effectib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solution and the movement of dorsal vessel was not observed. However, it was same in the case of adding Ca# or K+. It was found that when Mg# was added to dorsal vessel the number of the pulses was not decreased although the prolonged time pulse was observed.

      • 가잠외피(家蠶外皮)의 조직학적(組織學的) 구조(構造)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사기언 ( Ki Yon Sa ) 한국잠사학회 197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7 No.2

        곤충의 외피는 충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더러 근육의 부착점으로써 마치 골격과 같은 역할도 하고 있다. 가잠의 외피에 관해서는 종래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모두 특정시기 또는 부위를 대상으로 하여 왔고 또한 수직적이며 조직학적인 구조에만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가잠은 발육단계 즉 영별 또는 기잠 성잠 면잠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므로 광범위한 시기와 부위에 걸쳐 평면적인 구조는 물론 외피의 분화 또는 토사기 및 전용기에 이르기까지 이를 추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육에 따른 외피의 표면구조 외피의 표면구조는 발육과 그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기잠의 외피의 추피는 그 후의 발육에 따라 소실된다. 2) 부위에 따른 외피의 표면구조 성식기에 이르르면 체표면에 구열상의 요철선에 의하여 불규칙한 구획을 이루고 그 형상은 tergum에서는 성상을 하지만 sternum에서는 능형으로서 사행한다. 반문부에 있는 표면소돌기는 표면적으로도 유색세립상을 이루어 다른 부분보다 선명하게 관찰되며 더구나 이들의 소돌기군은 백색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있다. 3) 흉복부 및 절간막부에 있어서의 외피 흉부:ecto-endo cuticle의 중간에 haematoxylin에 의하여 엷게 염색되는 반점부가 있어 이것이 meso cuticle에 해당된다고 간주되며 cuticle의 외면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표면소돌기의 대응적 위치에 있는 것 같고 전면적인 세립상의 표면소돌기는 그 기부가 크게 비대발달함으로써 소위 유상부는 여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인정된다. 복부:표면소돌기의 기부융기는 한층 발달되여 있고 anal plate의 표면은 평활하며 표면소돌기가 전혀 분포되어 있지 않고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당히 두껍다. 절간막부:ecto-endo cuticle의 2층만으로 구조되어 있고 여기에는 표면에 표면소돌기가 없고 전면이 불규칙한 추상을 이루고 있다. 4) 眠期에 있어서의 外皮의 分化 胸部와 腹部에서는 外皮는 이미 分明히 構成層으로 認定되지만 頭部에서는 表面小突起의 形成은 大略 끝난 程度로서 外皮의 分化는 거의 認定되지 않는다. 5) 各齡別에 있어서의 外皮의 差異 盛食期에 있어서의 外皮의 두께를 各 位置에 따라 調査한 結果를 보면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고 5齡期에 있어서의 外皮의 量的變化(頭部除外)에 關하여 調査한 結果를 보면 Fig, 1-Fig 6에서와 같다. The function of cuticle of insect is not simply to protect the body, but to take a role to frame- the body with the power of muscle. Although there are volumnous studies of silkworm, most of them are limitted to the specific time of development or particular regional studies. Some of these studies are confined to anatomical aspects. However, silkworm shows many variations at each instar or development stages, i.e. newly exuviated silkworm, gluttonous stage silkworm, etc. Therefore, the wider studies on the differentiation, spinning stage and prepupa stage as well as other subjects must be included in the study. In this line, the results of experiment are as follows:1) Construction of cuticle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The construction of cuticle is different at each stage of development and each portion of the body. Wrinkles in the cuticle are disappearing as the body grows. 2) Construction of cuticle in the different portion of body; Whenever the development stage reaches gluttonous stage, the surface of body is cracked irregularly by uneveness line. The shape has appeared as if the star-like formation in the tergum region. However, it has appeared rhomb-like at the sternum. Tubercles in spotted regions appeared as if coloured granules and it is quite distinct from other regions by white colouring appearance. 3) Cuticle of thorax and intersegmental membrane; Thorax:In the middle of ecto-endo cuticle, there are coloured spots which are produced by haematoxylin. However, these spots seems to be equivalent to meso cuticle. It also seemed that these spots take certain role as if the round shaped nodules in the surface of cuticle. The entirely covered granu1ar-shape nodules is enlarged at bottom region. However, it is understood as nodules is equivalent to so-called knobs. Adbomen:Base rising of nodules is well developed and the surface of anal-plate is flat and smooth. However, there are no spread of nodules at all. This region is seemed much thicker than other regions. Intersegmental membrane portion:It it constructed with two layers of ecto-endo cuticles. There are no nodules in the surface and the entire surface is wrinkled irregularly.

      • 유충(幼蟲)의 생식후원선(生殖後原腺)이 아닌 한 쌍(雙)의 소반점(小斑點)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2)

        윤종관 ( Chong Kwan Yoon ),사기언 ( Ki Yon Sa ) 한국잠사학회 1970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2 No.-

        수컷 제9복절의 복면에 암컷의 생식후원선의 위치에 해당하는 곳에 생식후원선과 비슷한 한 쌍의 소반점이 있는 경우가 있어 자웅감별에 있어서 혼란을 이르키고 있기 때문에 실용상의 문제로서 기보한 바와 같이 6품종의 잠품종에 대하여 조사 연구한 바 품종별 또는 계통별 특성이 있어 보편적으로 중국종은 일본종에 비하여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품종 고유의 특성이기 때문에 반드시 품종간의 교잡F1에 있어서도 유전적인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첫 번째 조사에서는 계통별로 보아 일본종이 평균 17.8%이고 중국종이 57.0%였지만 재조사한 바에 의하면(참조 Table 1.) 일본종이 평균 13.6%이고 중국종이 37.8%인 것을 보면 품종별로 일정한 경향은 없지만 중국종계가 일본종계에 비하여 항시 고율인 것에는 틀림없었다. 2. 일본종계에 있어서 수컷을 암컷으로 오인한 것이 1.2~2.6%이고 암컷을 수컷으로 오인한 것이 0.5~0.9%였으며 중국계에 있어서는 수컷을 암컷으로 오인한 것이 7.1~9.4%이고 암컷을 수컷으로 오인한 것이 2.9~3.4%로서 여기에서도 중국종계가 고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중국종계에 이 소반점이 많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는 것이었다. 3. 교배형식을 각각 달리한 교잡 F1에 있어서도 소반점이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가 분리되었다. 4. 소반점 출현수가 적은 품종을 모체로 하고 여기에 소반점이 있는 수컷을 교배한 교배형식 보다는 소반점 출현수가 많은 품종을 모체로 하고 여기세 소반점이 없는 수컷을 교배한 교배형식에서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 (참조 Table 2. C·G>B·F) 5. 소반점 출현수가 많은 품종끼리 교배한 교배형식은 출현수가 적은 품종끼리 교배한 교배형식보다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H>E) 6. 예외(A·B)는 있었지만 같은 형식의 교잡종(C·D, E·F, G·H)에 있어서는 소반점이 있는 수컷을 교배한 것이 소반점이 없는 수컷을 교배한 것 보다 소반점이 있는 개체가 많이 나타났다. Occasionally, We make mistake of discrimination of sex since a pair of small spots around tile abdomen of 9th abdominal of males and posterior spots of females of the silkworms larvae are found at almost same position. As already have reported, more larvae which have the small spots were found in Chinese race than the Japanes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grasp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small spotted larvae hereditarily when hybridize with different race (F1) 1. According to the first report, average 17,8% of the small spotted larvae are found in the Japanese race and 57.0% in the Chinese, but my re-invested data which was carried out recently shows that average 13.6% in the former case and 37.8% in the latter. Those new data are supposed to b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figures are flexible but in any cas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larvae were found in the Chinese race than the Japanese (Reference Table 1.) 2. Miscalculated ratio of the larvae from males to females are 1.2-2.6%, and from females to males are found 0.5%-0.9% in the Japanese race, In case of the Chinese race, 7.1-9.4% in tile former and 2.9-3.4% in the latter. Those data also shows that more of the larvae found in Chinese race. 3. The larvae of small spotted and non-spotted are also seperated when hlybridize with different mating types and races. 4. More small spotted larvae are seen when hybridize with less appeared of the small spots of females and males which have the small spots than more appeared of the small spots of females with none spotted of the males (Reference Table 2. C.G.>B.F.). 5. More larvae of the small spots and found in case of hybridize in a group of having small spots than none of the spots (H>E). 6. With the exception of the case (A.B), in the same type of cross breeding (C.D, E.F, G.H), more larvae of the smal1 spots are also found in case of hybridize with males of having the spots than none of the sp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