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세피불능잠(세皮不能蠶)의 세피선(세皮腺)에 관(關)한 조직학적(組織學的) 연구(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un ),사기언 ( Ki Yeon Sa ) 한국잠사학회 1974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6 No.2

        정상잠이 3령의 성식기에 이르렀을 때(춘잠기 소잠후 약 9일 20시간 경과한 무렵) 불면잠으로 인정되는 것과 같은 잠박에서 정상잠을 재료로 하여 이를 고정하였고 또한 4령의 성식기에 1~2령기의 발육정도 밖에 되지 않은 왜소잠을 수집하여 고정하고 이와 동시에 이때의 정상잠도 고정하였다. 불면잠과 정상잠을 형태학적으로 비교하고 그 조직검사에서 얻은 조사내용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정상잠이 3령의 성식기에 이르렀음에도 불면잠으로 인정되는 누에는 마치 소잠후 2일이 경과한 정도의 누에의 크기에 불과하였으며 4령의 성식기에 관찰한 불면잠도 이와 대동소이라 하였다. 2. 태피선은 타원형의 편평한 낭상체로서 그 크기는 흉부에 위치하는 것이 작고 복부의 것이 일반적으로 큰 경향을 나타냈다. 3. 흉부에 있는 태피선은 흉지의 기부에 있는 것이 배맥관을 끼고 있는 태피선보다 큰 것으로 종래에는 보고되었지만 본 실험결과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정상잠이 3령의 성식기에 이르렀을 때의 태피선의 크기는 전흉에 있는 것이 최소로서 151.3μ(major axis)~94.5μ(minor axis)였고 최대로서는 복부제7절의 것이 568.6μ~495.1μ였으며 이때에 불면잠으로 인정되는 것은 최소로서 전흉에 있는 태피선이 57.5~51.3μ이였으며 최대로서는 복부제5절의 것이 91.5~75.5μ였다(표 1. 참조) 5. 정상잠이 4령의 성식기에 이르렀을 때 정상잠과 왜소잠의 태피선의 크기를 비교해 본 바에 의하면 정상잠에 있어서는 전흉의 것이 최소로서 252.2~131.6μ이였고 복부제7절의 것이 최대로서 691.5~493.4μ이였으며 왜소잠에 있어서는 후흉의 것이 최소로서 71.4~61.5μ이였고 복부제8절의 것이 최대로서 94.6~71.5μ이였다(표 2. 참조) 6. 불면잠에 있어서의 태피선의 형태는 그 공포형태피선이 정상잠의 것과 크게 차이가 있어 공흉의 크기가 정상잠의 것에 비하여 몇 배에 달하였다. 7. 불면잠과 정상잠과의 분필세포의 구조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불면잠의 과립형태피선은 정상잠에 비하여 소형이었다. When the nomal silkworms reached active time of 3rd instar stage both non-moulting larva and normal silkworms from the same rearing tray were collected and fixed. The silkworms in 4th instar stage whose growth was as dwarfish as those in 1st and 2nd instar stages were also collected and fix with the normal silkworms. Non-moulting larva and normal silkworms were morphologically compared and the examined results from the tissue inspec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1.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normal silkworms reached the active eating time of 3rd instar stage non-moulting silkworms were dwarfish as if they had been reared for two days. Non-moulting silkworms which were observed at the time of 4th instar stage showed no much difference in their growth. 2. There was the tendency that the exuvial gland as was shown in Fig. 1 and 2 was flat cyslidium of ellipse and its size at thorax was small shile the gland at abdomen was big. 3. The evuvial gland at thorax has been reported to be bigger at thoracic base than at dorsal vessel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t was examined to be irregular. 4. The size of exuvial gland of silkworms in the active eating stage of 3rd instar was from 151.3μ (major axis) to 94.5μ (minor axis) at prothorax and from 568.6μ (major axis) to 495.1μ (minor axis) at 7th abdominal segment. The sire oe exuvial gland of non-moulting silkworm was 57.5μ (major axis) to 51.3μ (minor axis) at prothorax and from 91.5μ (major axis) to 75.5μ (minor axis) at 5th abdominal segment (see Fig. 1) 5. When the normal silkworms reached 4th instar active eating stage its exuvial gland was compared to that of dwarfish silkworm. The result was that the size of normal silkworm at prothorax was from 252.2μ (major axis) to 131.6μ (minor axis) and the size of exuvial gland at 7th abdominal segment was from 691.5μ (major axis) to 493.4μ (minor axis) while the sire of exuvial gland of non-moulting at prothorax was from 71.4μ (major axis) to 61.5μ (minor axis) and the size of the non-moulting silkworm`s 8th abdominal segment was from 94.6μ (major axis) to 71.5μ (minor axis) (See Table 2) 6.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from of exuvial gland of non-moulting silkworm. The size of alveolar of the non-moulting silkworm was many times larger compared to that of normal silkworm 7.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secretory cells of normal and non-moulting silkworms but the granular type exuvial gland was small in sire compared to that of normal silkworm.

      • 연화병(軟化病)의 병원체(病原體)를 경구(經口) 또는 피하접종(皮下接種)했을 때에 출현(出現)하는 왜소잠(矮小蠶)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윤종관 ( Chong Kwan Yoon ),사기언 ( Ki Yeon Sa ) 한국잠사학회 197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7 No.1

        잠병중에서 연화병은 그 발생이 광범위하고 가장 많이 발생하여 잠작의 풍흉을 좌우케 한다. 연화병은 세균에 의해 발병 또는 병세를 더하게 하여 누에를 죽게 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세균성 소화기병 패혈증 및 졸도병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세균성 소화기병은 누에의 소화관내에 세균이 기생 번식하므로서 발병되며 연화병의 대부분이 이 병에 속하고 있으며 패혈증은 누에 체액 중에 세균이 번식하므로서 발병되며 유충기에는 그 발생률이 비교적 적고 졸도병은 누에가 독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뽕과 함께 삼키면 그 독소의 중독에 의하여 죽는 병이다. 연화병의 발생요인은 불량환경이여서 잠좌가 불결하면 세균의 번식이 용이하게 되고 이 세균은 누에의 구기 또는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침입하므로서 발병케 하는 고로 그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누에를 마취하여 원심분리이기에 의하여 그 려과액을 채취하여 춘·추잠의 유잠 중잠에 경구 또는 피하접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화병의 누에를 마취하여 원심분리기에 의하여 그 려과액을 채취 이를 경검한 바 여기에서는 다각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경구접종시험구 ⓐ 접종 후 3일이 경과할 때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식욕부진의 현상을 나타냈다. ⓑ 약 1주일이 경과할 때부터 기속 공두 설사 및 졸도 등의 병잠이 나타났다. ⓒ 개체 중에는 다소 식상은 하지만 Fig. 3, Fig.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왜소잠을 발견할 수 있었다. ⓓ 1령기접종구와 2령기접종구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 2령기를 벗어나면 령을 더 함에 따라 병잠 발생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3) 피하접종시험구 ⓐ 3령기접종 4령기접종 공히 특이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발생율도 적었다. ⓑ 체액이 산성이므로 독소가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발병률이 비교적 적었다. 따라서 피하접종은 경구접종에 비하여 피해를 주지 않았다. Flacherie of all other silkworm diseases greatly affects cocoon crop as it is far-reaching and wide spreading. Fleacherie which kills silkworms caused by bacteria can be classified as bacterial digestive organ disease, and "Sotto" disease. Bacterial digestive organ disease is caused by the bacteria living in the silkworms alementary canal and a majority of flacherie belongs to this disease. Septicemia is caused by bacterias breeding in silkworms body fluid but its attach is comparatively limited during the larva period. "Sotto" disease is caused by eating mulberry leaves infected with bacteria which produce toxin and silkworms are intoxicated and killed by the toxin. The cause of flacherie is mainly due to a poor environment. The unclean and unsanitary silkworm rearing beds help bacterias breeding and bacteria enter silkworms body through mouth organ or skin.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causes of flacherie by means of pulverization of silkworm. Filtrated fluid is extracted by centrifuge and hypodermic of peroral inoculation is given to young and medium silkworms of spring and autumn. The gained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1. Silkworms infected with flacherie were pulverized and their filtrated fluid was extracted by centrifuge and inspected under microscope to find polyhedron from the fluid. 2. The experimenting group of peroral inoculation. a) From the third day of peroral inoculation silkworms appetite generally decreased and ate les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 After 7 days of the inoculation silkworms suffered from empty head, loose bowels and fainting. c) Some of the silkworms still ate but as were shown in Fig. 3 and 4 some dwarfish silkworms were found. 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1st and 2nd instar inoculation groups. e)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diseased silkworms was decerased as the increase of instars. 2. The experimental group of hypodermic inoculation a) Both of 3rd and 4th instar inoculation groups showed no remarkable singularity and the number of diseased silkworms decreased. b) The rate of diseased silkworms was comparatively low because the body fluid was acidy or toxin was hard soluble. Hypodermic inoculation could not give much harm to the silkworms compared to peroral ino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