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향성 미니다화성계 호접란 신품종 ‘브라보 스타’ 육성

        빈철구,빈철구,황주천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3

        Phalaenopsis ‘Bravo Star’, a new orchid cultivar, is both fragrant and has a multi-branch architecture with miniature, pink flowers. It was derived from a cross made by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 in 2016 of ‘Kung’s Red Coral’ (female) to ‘Tzu Chiang balm’ (male). To produce the hybrid, five F1 lines having strong fragrance and multiple flowering characters were selected from 2010 to 2012. A line then referred to as ‘08–VIO-16’ was finally selected after confirmation of stability and uniformity characteristics through evaluation and testing during 2013–2015. The selection ‘08-VIO-16’ was described as having a flat flower form and dark pink (RPN 57B) petal and sepal as well as a 29.1 cm flower stalk length. It had a flat and narrow obovate leaf form. The average leaf length and width were 18.2 and 6.5 cm, respectively. The average flower length and width were 5.7 and 5.2 cm, respectively. Although t his selection had a relatively low f lower number of 7.8 flowers per stalk, it was determined to be a good candidate cultivar for the potted plant market during evaluation and exhibition due to its multi-branching and inflorescence shape as well as its strong, sweet scent that is similar to cinnamon fragrance. Furthermore, it was found to be relatively easy to propagate in vitro and had a vigorous and fast growing habit. Following evaluation, this selection was registered as hybrid cultivar ‘Bravo Star’ on March 2017 (registration no. 6719) and protected by the seed industry act. 호접란 ‘브라보 스타’는 2007년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육종온실에서 Phalaenopsis ‘Kung.’s Red Coral’을 모본으로Phal. ‘Tzu Chiang Balm’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한 F1개체중에서 선발한 유향성 소형 다화 분지성의 신품종이다. 2010 년 실생 개체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5개체를 1차 선발하였고 2011년과 2012년에 계통으로 육성하여2013-2015년에 각각 1차, 2차, 3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최종 한 계통(08-VIO-16)을 선발하여 직무육성심의를 거쳐 ‘브라보 스타’로 명명하였다. ‘브라보 스타’는 화색이 진한 밝은 핑크(RPN57B)이며 화형은 평피기이다. 화경은 복총상화서로 분지성이 강하며 화경길이는29.9cm로 대조품종(Kung’s Red Coral)보다는 큰 편이다. 화수는 상대적으로 다화성 분화품종에 비해 7-8개로 적은 편이나 4-6개의 대비품종보다는 많은 편이었다. 꽃의 길이와 폭은5.7cm와 5.2cm로 소형이었고. 향기는 강하고 계피향이 가미된 달콤한 향을 가지고 있으며 꽃잎의 육질이 두껍고 꽃 수명도 2개월 이상으로 길어 선물용 분화품종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엽형은 대비품종이 둥근 원형인 반면, 육성품종의잎은 긴 선형이며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18cm, 29cm로 대비품종에 비해 크고 긴 편이고 잎자세는 수평에 가깝다. 육성품종은 기내 증식율이 높고 식물체가 강건하고 생육이 빠르기때문에 재배가 용이하다. 2017년 3월에 품종등록(등록번호 제6719호)되어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 KCI등재

        나도풍란과 유향성 호접란의 향기분석

        빈철구,김강권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3 화훼연구 Vol.21 No.3

        한국의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나도풍란과 유향성 호접란 계통(VIO-6)을 대상으로 하여 꽃향기 성분과 향기패턴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GC/MS 기기를 이용한 꽃향기의 chromatogram peak 양상을 비교한 결과, 나도풍란에서 약 15개의 다양하고 높은 peak가 나타났고 호접란에서는 약 17개의 peak가 나타났으나 피크의 강도와 검출 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도풍란의 꽃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linalool, benzoic acid methylester(niobe oil), 2,6-octadienal, 3,7-dimethyl(neral), 3,7-dimethyl- 3,7-dimethyl-,(Z)-(Z)-geraniol, cinnamic acid methyl ester,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palmictic acid methylester), benzoic acid phenylmethyl ester성분들이 향기 발현에 주로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향종 호접란의 꽃 향기 성분분석에서는+linalool, (-)-isoledene, delta carcinen, alfa-farnesene, geranyllinalool isomer, 1,6-cyclodecadiene, bicyclo[2.2.1] heptane등이 주요 향기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도풍란과 호접란에서 발현되는 공통적인 향기성분으로는 linalool, geraniol 등의 terpenoid이었으며 호접란과는 달리 나도풍란만 강하게 나타난 성분은 benzoicacid methyl ester(niobe oil) 였다. 이 성분이 나도풍란의 향기의 특징을 구분짓는 주요성분으로 사료되었다. GC/SAW 전자코 분석을 통해 유향성 호접란과 나도풍란에서 chromatogram의 peak와 VaporPrint™ 이미지 분석에 의한 각각 특징적인 전자코 향기패턴을 얻어내었다. 호접란과 나도풍란의 전자코 향기 패턴을 비교해 본 결과 서로 상이성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이 전자코 향기패턴 분석 자료는 앞으로 나도풍란과 호접란의 속간잡종에서의 향기성분 유전 양상 연구와 꽃 향기에 관여한 유전자 분리와 도입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flower scent components and fragrance pattern between Nadopoongnan (Sedirea japonicum) and fragrant Phalaenopsis Breeding line (VIO-6). From chromatogram obtained by GC/MS, fifteen peaks in Nadopoongnan and relatively weak seventeen peaks in fragrant Phalaenopsis were detected. In the analysis of fragrance components in the Nadopoongnan, (+ -)-linalool, benzoic acid methyl ester(niobe oil), 2,6-octadienal, 3,7-dimethyl(neral), 3,7-dimethyl-3,7-dimethyl-,(Z)-(Z)-geraniol, cinnamic acid methyl ester,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palmictic acid methylester), benzoic acid, phenylmethyl ester were identified as majorcomponents for floral scent. But in the case of fragrant Phalaenopsis,+ linalool, (-)-isoledene, delta carcinen, alfafarnesene, geranyl linalool isomer, 1,6-cyclocadiene, bicyclo [2.2.1] heptan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compounds. Terpenoids like linalool and geraniol were common components between Nadopoongnan and fragrant Phalaenopsis. Specially niobe oil was unique component found only in Nadopoongnan. This could be a key component of floral scent of Nadopoongnan discernible from other flower scent. In the comparison of GC/SAW electronic nose analysis of flower scent between Nadopoongnan and fragrant Phalaenopsis GC chromatogram and fragrance image pattern were quite different. This data of fragrant pattern may be useful to investigate inheritance of flower scent gene and to breed new fragrant intergeneric hybrids in orchids.

      • KCI등재

        백색적립 대륜계 호접란 신품종 ‘신태극’ 육성

        빈철구,김진기,조용조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07 화훼연구 Vol.15 No.3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육종연구소에서 1997년부터 교 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 부터 유전자원을 수집한 후, 1999년부터 2006년에 걸 쳐 교배 및 계통선발육종을 하였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회의 특성검정을 거쳐서 호접란 신품종 督탤짹莽을 개발하였다. 督탤짹莽은 백색계 꽃으로 설 판은 적색을 띤 대륜계 품종이다. 꽃 크기가 11cm 이 상이 될 정도로 꽃이 크며 화형은 둥글고 꽃잎이 겹 쳐 아름다운 모양을 가진다. 또한 꽃배열도 우수하며 꽃수도 많은 편이다. 엽색은 연한 녹색이며 생육속도도 빠르고 재배하기가 용이하다. 평균 꽃 수명 또한 55일 이상으로 길어 시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A new cultivar ‘Shintaeguek’ of Phalaenopsis (P. Blume) was developed by cross breeding and line selection at the Flower Breeding Research Institute, Gyeongnam ARES, from 1999 to 2006. Characteristic trials for this cultivar was carried out three times from 2003 to 2005. ‘Shintaeguek’ was developed from a crossing between ‘Dtps. City Girl C’ and ‘Dtps. I-shin Actor KH 5213’. It has a white flower color with red lip, large flower and favorable flower shape. It also is good for flower arrangement, and life span of flower was longer than 55 days. This new cultivar was registered for commercialization in 2006, and would be cultured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Korea.

      • KCI등재

        호접란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통한 조직배양묘의 연속생산

        빈철구,Been, Chul-Gu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줄기기저부절편조직을 이용한 호접란 조직배양묘 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괴체 유도와 원괴체 증식의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치상조직별 원괴체 유도 성공률을 비교한 결과 줄기기저부절편조직에서 약 45%의 높은 성공률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화경액아 배양으로 약 30% 정도의 성공률을 나타낸 반면 근단, 화경절간절편, 화경엽, 성숙엽의 경우에는 성공률이 1%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품종별 원괴체의 유도능력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11개 품종에서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한 결과 백색계 와 핑크계품종 모두에서 30%이상의 높은 원괴체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줄기기저부배양에서 줄기기저부를 절단하지 않고 천체조직을 치상하였을 경우 거대 원괴체가 유도되었는데 이 거대 원괴체는 진한 녹색으로 보통 원괴체의 3∼5배 정도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거대 원괴체를 증식하기 위해 절단하여 증식배지에 치상하였으나 새로 나온 원괴체는 정상적인 크기의 PLB로 유도되었다. 줄기저부배양에서 얻어낸 원괴체들은 증식과정을 거쳐 정상적인 조직배양묘를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호접란 클론묘생산에 쓰일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의 하나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이용하여 원괴체를 유도 증식하고 플라스크묘를 만든 뒤 다시 그 묘의 줄기기저부절편을 이용하여 원괴체를 유도 증식하고 플라스크묘를 만들어내는 시스템에 응용함으로써 무한수의 조직배양묘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체계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practical masspropagation system of Phalaenopsis clones from basal shoot segments. The frequency of PLB (protocorm like body) induction was compared with various explants. Basal shoot segments showed the most successful result of 45%, while root tips, stalk node segments, stalk leaves and mature leaves represented low frequency (below 5%). The PLB induction ratio in the culture of basal shoot segments was examined with 11 different Phalaenopsis varieties, and the majority of varieties, including pink flower lines, showed an about 30% rate of PLB formation. Especially, when whole basal shoot parts without cutting were inoculated onto PLB induction medium, giant PLB was induced from explant. This giant PLB was green color and big in size compared with normal PLB. When dissected giant PLB segments inoculated onto PLB multiplication medium, only normal size of PLBs were induced from them. PLBs induced by basal shoot culture were transferred onto proliferation medium and then shooting medium, from which normal plants were formed. Therefore, this culture method is considered as effective and practical protocol for Phalaenopsis mericlone production.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clones of an infinite number can be produced consecutively by this culture system through repeated cycles of PLB induction and proliferation using the basal shoot segment of flask plant.

      • KCI등재

        핑크 중륜계 호접란 신품종 ‘스노우 핑크’ 육성

        빈철구,김진기,이병정,이상대,김동규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3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육종연구소에서 1997년부터 교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부터 유전자원 을 수집한 후, 핑크 중륜계 품종육성을 위해 2001년에 모본으 로 Phalaenopsis amabilis를, 부본으로는 Phalaenopsis ‘Happy Valentine’를 이용하여 교잡하였으며 후대를 획득하여 계통선 발육종을 하였다. 최종 선발된 우수계통은 2007년부터 2009 년까지 3회의 특성검정을 거쳐서 호접란 신품종 ‘스노우 핑크’ 를 육성하였다. ‘스노우 핑크’는 연한핑크색의 꽃을 가진 품종 이며 꽃잎 형태가 둥글고 안아피기 형태여서 대조품종에 비해 화형이 우수하였다. ‘스노우 핑크’ 꽃잎의 아래쪽 반은 흰색이 나 위쪽 반은 연한핑크색 무늬가 분포되어 있어 꽃잎 색의 다 른 분포가 대비를 이루어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으리 라 판단되었다. 또한 대조품종은 꽃 배열이 다소 흐트러진 반 면 ‘스노우 핑크’의 경우 꽃의 간격이 일정하고 가지런하게 배 열되어 대조품종에 비해 꽃 배열이 우수하며 꽃 수도 많은 편이다. 생육속도도 빠르고 재배하기가 용이하였으며 평균 꽃 수명 또한 55일 이상으로 길었다. 연한핑크계 중륜 품종으로 는 시장성이 높고 소비자기호도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2010년 국립종자원에 품종 출원하여 2011년 12월에 품종등록 을 완료하였다. A cultivar ‘Snow Pink’ of Phalaenopsis was developed by crossing P. amabilis and P. ‘Happy Valentine’ and by continuous line selecting from 2007 to 2009 at the Flower Research Institute, Gyeongnam ARES, Korea. Performance trials for this cultivar were carried out three times from 2007 to 2009. ‘Snow Pink’ exhibits light pink color and favorable flower shape. The upper half of flower petals is light pink whereas the lower half of petals has white background color. This contrast of two petal color pattern may attract flower consumer. Individual flowers are formed with parallel arrangement and have long life span of more than 55 days. ‘Snow Pink’ (Grant No. 3232) was registered to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KSVS) for commercialization in 2011 for the cultivat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Korea.

      • KCI등재

        미나리에서 비배발생캘러스와 배발생캘러스간의 분화능력 및 해부학적, 생화학적 특성비교

        빈철구,김병동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3

        The embryogenic callus (EC), from which somatic embryos could be induced, was compared with nonembryogenic callus(NE) to study the origin and features of totipotent cell in water dropwort (Oenanthe stolonifera DC). To induce and maintain of EC and the NE, meristematic stem and immature floret were inoculated in MS media supplemented with 1 mg/L 2,4-D, and with 2.5 mg/L NAA and 5mg/L BA, respectively, The EC was not induced from the NE even after subculturing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 mg/L 2,4-D. Plantlets were not regenerated from the NE in hormone-free medium. In histochemical comparison of the EC with the NE by light microscopy, the EC had smaller cells in size, dense cytoplasm, and more starch granules of cells compared to the NE cells. The cell from the EC, as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ad smaller vaculoes, well developed ribosomes, mitochondria, and endoplasmic reticulum, whereas the cells from the NE had larger vacuoles and underdeveloped organelles. In protein pattern from NE, EC and Somatic embryo (SE), as analyzed by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different proteins specific for tissue were observed: 17 and 28 KD for NE, 50, 52, 57, 66, 68 KD for EC and 20 KD for SE. DNA polymorphism was also observed between EC and NE as analyzed by RAPD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method. The origin of totipotent stem ce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rreversible genomic change arose in differentiation and the loss of totipotency in pla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향성 호접란의 향기성분의 분석 및 유전자 발현

        빈철구,강선빈,김동규,차용준 한국화훼학회 2014 화훼연구 Vol.22 No.4

        Cross hybridization was made between P. violacea and P. George Vasquize for selection of scentedand mini multiflora type. Total 280 hybrid plants were obtainedfrom this cross combination. We selected a hybrid line (06-SC-29) which has strong fragrance and multi-branching type. From results of GC/MS analysis using the fragrant breedingline (06-SC-29), we identified about 61 compounds. Myrcene,sabinene, ocimene, cineole bergamototene, cardinene, andlinalool were major compounds. To isolate fragrance genefrom this fragrant line, we tried next generation sequencing(NGS) analysis with mRNA isolated from the flower. Bycontig and unigene alignment obtained NGS, we foundconserved region of linalool synthase (LIS), geranyldiphosphate synthase (GDPS), ocimene synthase (OS),farnesol kinase (FNK) and terpene synthase (TS) gene. With fragrant gene information obtained from fragrantPhalaenopsis line (06-SC-29), we compared homology ofDNA sequences to those of other plants. Fragrant geneswere expressed in all flowering stages (from floral bud toblooming flower) of fragrant lines (06-SC-29). Butexpression of fragrant genes was not or very weaklydetected in all flowering stages of the non-fragrant cultivar(P. Tri-prince). In the test of gene expression on differentfloral organ, expression of fragrant genes was evenlydetected in petals, sepals, pistil and column of fragrant line. 향기를 가진 미니다화성계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강하고 향기를 가지는 P. violacea 와 붉은색 화색을 가지는중륜계 품종인 P. George Vasquize 간 인공교잡을 통해잡종후대를 육성하였다. 무균파종과 조직배양을 통해 약280개의 잡종후대를 얻어냈으며 각각의 개체들이 향기의강도와 종류가 달랐지만 대부분 모든 잡종개체들에서 향기가 있었다. 개화기에 화색과 화형 그리고 향기의 유무등을 고려하여 7개체를 1차 선발하였고 2차 개화시기에꽃배열, 화수, 생육속도 등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향기가 강하고 화색이 밝은 적색인 미니다화성 한 계통(06-SC-29) 을 선발 육성하였다. SPME-CG/MS를 통한 향기 분석에서 51개의 성분을 검출하였고 그 중 myrcene,sabinene, ocimene, cineolebergamototene, cardinene 과linalool 등이 성분함량이 높게 검출되어 이 물질들이 주요 향기성분 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향기발현 관련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 유향성 꽃에서 mRNA를 분리 후NGS 분석을 시도하여 염기서열정보를 확보하고 이미 알려진 향기관련 유전자의 정보를 통해 호접란 향기발현관련 유전자 정보를 가진 contig와unigene을 찾아내었다. 꽃향기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4개의 효소 linalool synthase(LIS),geranyl diphosphate synthase(GDPS), ocimene synthase(OS),farnesol kinase(FNK)를 coding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정보를확보하여 다른 식물의 향기 유전자와 homology를 비교하고, 꽃의 발달단계별, 꽃의 화기조직별 향기관련 유전자들에 대한 발현 정도를 검정하였다. 꽃의 발달 단계별향기유전자는 유향종에서는 정도 차이는 있지만 거의 모든 단계에서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무향종에서는 발현되지 않거나 아주 약하게 발현되었다. 유향종의 화기조직별 발현유무검정에서는 4개의 유전자가 꽃잎, 꽃받침, 암술, 꽃술대에서 모두 고르게 발현되었다.

      • KCI등재

        핑크 미니계 호접란 신품종 ‘리틀핑크스타’ 육성

        빈철구,김진기,김수경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2 화훼연구 Vol.20 No.4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육종연구소에서 1997년부터 교 배조합 육성을 위하여 국내의 재배농가와 종묘업체로 부터 유전자원을 수집하였다. 핑크 미니 다화성계 육종 을 위해 교배모본으로 ‘Banya Nabi’를 부본으로 ‘Pink Gem Stripe’를 이용하여 2001년에서부터 2009 년에 걸쳐 교배 및 계통선발육종을 하였다. 선발된 우 수계통을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회의 특 성 검정을 거쳐서 호접란 신품종 ‘리틀핑크스타’를 개 발하였다. ‘리틀핑크스타’는 연한핑크 계의 꽃을 가진 소륜계 품종으로 화형도 우수하며 화경의 분지성이 높 아 화수가 많고 전체 볼륨감이 좋다. ‘리틀핑크스타’는 생육속도도 빠르고 재배하기가 용이하였으며 평균 꽃 수명 또한 55일 이상으로 길다. 연한핑크계 소륜 품종 으로는 시장성이 높고 소비자기호도가 높을 것으로 판 단되어 2010년 국립종자원에 품종출원하여 2011년 12 월에 품종등록을 완료하였다. A cultivar ‘Little Pink Star’ of Phalaenopsis (P. Blume) was developed by cross breeding between P. ‘Banya Nabi’ and P. ‘Pink gem stripe’ and line selection at the Flower Research Institute, Gyeongnam ARES, from 2001 to 2009. Characteristic trials for this cultivar were carried out for three years from 2007 to 2009. ‘Little Pink Star’ exhibits mini size and light pink color and favorable flower shape. Many flowers were formed on multi branch and the longevity of flower was more than 55 days. ‘Little Pink Star’ easy to handle and early maturing cultivation. Also it was expected to have good marketability as single pot and community pot decoration plant. ‘Little Pink Star’ (Grant No. 3232) was registered to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KSVS) for commercialization in 2011 and suitable for the cultivat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