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인종 및 민족 정체성 발달 이론으로부터 조망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애 발달 이해

        부향숙,김진한 한국성인교육학회 201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identity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multicultural children of Korea is desirable to make the life long approach in the life long education center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s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identity theories in the United States. In this study, multicultural identity is defined as biracial and biethnic identity. Development of multiracial and multiethnic identity theories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passed through four phases which include problem approach, human rights approach, unitive approach and ecological approach. Based on the four approache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multicultural children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ounselling. First.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children should be proceeded from the divided perspective from monocultural children. Second,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children should be proceeded from the life long perspective. Third.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population should be proceeded from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th,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population should be proceeded from the multiple aspect included in self identity, social identification, self category in many contexts Considering these suggestions, Identity educ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seems to be desirable to accomplish not in school systems but in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및 상담 모형이 아직 미진한 상황에서 이들의 발달을 전 생애적인 관점에서 조망하여 평생교육의 차원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진행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 발달 이론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 다문화적 상황의 배경을 인종 및 민족으로 한정하여 검토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을 규정하였다. 이후 미국에서 이루어진 이중 인종 및 민족 정체성 발달이론을 시기 별로 고찰하고 한국의 상황에 비추어 검토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발달모형이 평생교육차원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고찰한 결과 한국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 발달 연구에서 다음의 기본 방향을 찾을 수 있다. 우선,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체성 발달 이론은 한국의 일반학생들에게 적용시키는 이론과는 분리해서 독자적인 발달 이론 체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체성 발달 이론은 전 생애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정체성 발달에 대한 연구는 다 학문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넷째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는 자기규정, 사회적인 규정, 그리고 맥락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을 통해 볼 때 다문화가정 자녀가 건강한 시민으로 정착하기 위해서 이들의 정체성 교육 및 상담은 학교가 아닌 평생교육기관과의 연계 속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 할 것이다.

      • KCI등재

        획일화 현상에서 동형화 현상으로 재구조화된 한국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변화

        부향숙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4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reinterpret the standardization phenomenon in Korean university curricula that have been adopted during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since the 1970s. For this purpose, the standardization mechanism is examined to find the global influence on developing new governmental curricular policy and a new liberal-arts curriculum in 2000s. Then, the result of the study identifies the standardization phenomenon in liberal-arts curricula of Korean universities in the 2000s, citing the following two reasons for its presence. First, most Korean universities in the 2000s have adopted the same method of organizing subjects but have actually administrated this meth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ir founding years and the university size. Second, most Korean universities in the 2000s have selected the same kind of courses but administrated these differently according to conditions of the social recognition and the year of found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emonstrates significant findings as to why there is a standardization phenomenon in Korean universities, in spite of their intentions to the ‘diversify' and ‘specialize' their curricula. 본 연구는 1998년 대학 자율화정책 이후 다양화의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 교육과정 역시 다양화된 획일성을 보여준다는 주장에 근거해서, 이런 현상이 과거처럼 국가의 통제에 의해 나타나는 획일성과는 다른 세계사회의 영향력 하에 이루어진 동형화 현상으로 해석하고, 실제 동형화 되어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동형화가 구성되는 방식을 강압적, 규범적 및 모방적 통로로 이루어진다는 Powell & DiMaggio의 가정을 토대로 실제 대학 교양교육과정이 재구조화되는 과정에 이 세 통로로 이루어지는 세계사회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미 자율화정책이 실시된 직후인 2000년대 초기 100개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구조와 내용을 조사하고, 재차 세 대학을 전체적으로 심층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대학 교양교육과정은 세계사회와 연관 속에서 구조화된 틀로 개발되고 있었다. 또한 실제 대학의 교양교육의 구조와 내용은 대학이 지닌 조건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는 있지만 동형화의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대학 교양교육의 특성화는 세계사회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틀을 토대로 개별대학의 설립이념 및 제반 환경적 조건을 고려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시각을 제시하는 데 있다.

      • KCI등재

        국내 대학교육의 질적 변화에 있어서 세계사회 담론의 영향력

        부향숙 한국교육개발원 2006 한국교육 Vol.33 No.3

        본 글에서는 세계사회에서 배태된(embedded) 담론과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제도 확산의 관계에 주목해온 사회학적 제도주의에 기초하여, 국내 대학교육이 개별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기보다 세계사회에서 새롭게 제기된 사회상 및 교육상에 관련된 담론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을 가능성을 제기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1990년대 국내 대학교육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5.31교육개혁, 신교육정책, 대학교육관련법규, 대학교육협의회 평가준거, 개별대학 교육모델 준거등과 같은 조건들을 중심으로 세계사회 영향력을 구명해보고자 하였으며, 실제 국내 개별대학들의 교양교육목표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조사해봄으로써 세계사회 담론이 대학교육에 반영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서 세계사회 담론의 영향력이란 전 세계적인 연결망의 중심에 있는 OECD나 UNESCO에서 1990년대 전후하여 논의되었던 고등교육관련 주제들, 국내사회에 바람직한 모델로 논의되고 있던 외국의 교육모델 및 교육이론 등이 국내 대학교육 준거에 영향을 미친 정도라 규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면, 국내 대학교육의 질적 변화는 세계사회로부터 시작되고 있으며, 대학교육의 동형구조화는 외부사회에서의 교육관련 담론에 의하여 규제된 불가피한 현상일 수 있다. Influence of world-society discourses on changing the curricula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resulting in isomorphism.Bu, Hyangsuk(Hanyang Universit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nfluence of world- society discourses on changing the curricula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resulting in isomorphism. Based on the actor-centered and functionalistic perspective, it is generally taken for granted that curricula are enlarged and reconstructed to meet the specific necessities of students, universities and society. So, lately since the 1990s. it will is expected that various kinds of curricula are made on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universities under the paradigm of education for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But it cannot be explained why isomorphism has been found in spite of making the best models on the specific conditions. Therefore, this is studied to understand the source of phenomenon of isomorphism of domestic universities, on the presumption of the institutionalistic perspective in which most of institutions including the educational spheres is caused by the discourses from the world society by means of the system of legitimation for 'the rationalized others'. For this, the relationship of three variables including the OECD and UNESCO discourses concerning the higher education, a domestic New Education Policy of the period of 1995, and the curricula of domestic universities is verified.

      • Berry의 문화변용이론에 대한 탐색

        부향숙(Hyang-Sook Boo) 한국캐나다학회 2018 Asia-Pacific Journal of Canadian Studies (APJCS) Vol.24 No.1

        An Exploration of Berry’s Acculturation Theor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cculturation theory of Canadian scholar Berry to understand the adaptation of migrants in Korea and to support their life as a healthy citizen. For this purpose, First part of this study is examined the basic concept which is the basis of Berry`s acculturation theory. Second part is examined his theory of refugees and migrants` cultural acculturation process. Final part is drawn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flows of acculturation theory in Korea.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on process according to context.

      • KCI등재

        니카라과 초등교사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 비교 탐색 연구

        부향숙(Bu Hyang suk),김진희(Kim Jin h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2

        이 연구는 니카라과 초등교사교육의 현안을 조사하고 한국 초등교사교육제도를 기준으로 향후 니카라과 초등교사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면서 정책 문건 분석, 개별 인터뷰, 참여 관찰, 초점집단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제도적 맥락, 교육과정, 교사환경, 현직연수라는 네 가지의 측면을 분석 틀로 니카라과와 한국의 초등교사교육제도를 비교하고 정책적 함의를 찾았다. 분석 결과, 니카라과의 교사교육체제는 한국의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니카라과의 현 교사교육은 제도적으로 교육대학 2년제를 실시하고 있어서 정보지식사회의 추세에 부합하기 위하여 3년제 혹은 4년제로 교육의 기간을 늘리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향후 니카라과 아동 수 증감에 따른 보다 유연한 제도와 운영에 대한 방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측면에서 교수방법의 개선을 위한 교과내용 선정과 이를 위한 교수법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교사환경면에서 선발, 임용, 처우에 있어서 우수교수선발을 위한 실질적인 특혜조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현직연수인 TEPCE의 질 개선을 위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개선을 위한 순차적인 정책 제안으로 우선 교육부 내에 교육개발, 평가, 현직연수에 대한 전문위원회를 개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역할을 관장하는 조정하는 전문연구기관의 설립을 제안할 수 있으며, 장기적로는 교육연한 연장, 처우개선 등의 제도적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교육체계의 효율적인 정립을 위해 학교의 행정체계구축, 국가차원의 정보망구축, 국내 및 국외와의 다양한 연결망구축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Nicaraguan primary teacher education and to present a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primary school teachers in Nicaragua based on Korean primary teacher education system. To do th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als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channels and were analyzed in four aspects. As a result,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in Nicaragua was similar to that of Korea in the 1960s and early 1970s. Specifically, the following improvement are needed. As a sequential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 committee for education development, evaluation and in-service training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next step,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such as extension of college years and improvement of treatment. At the same time, it is required to construct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school, to build the information network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establish various networks with the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system efficiently.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분석과 발전 방안

        모경환,부향숙,구하라,황혜원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8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ntent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We analyzed 22 on-site teacher training programs (630 hours) and 9 online teacher training programs (225 hou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2016. We found that on-sit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clude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30.63%)’,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families (19.21%)’, and ‘sharing ca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19.04%)’, and online teacher training programs includ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29.15%)’,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families (23.32%)’,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21.08%)’.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directions of teache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2016년도에 시행된 다문화교육 집합연수 22개(630시수)와 원격연수 9개(225시수)의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집합연수는 ‘다문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30.63%)’, ‘다문화 학생․가정 이해 및 지원(19.21%)’, ‘다문화교육․지도 사례 공유(국내외)(19.04%)’ 순으로, 원격연수는 ‘다문화사회․다문화교육 이해(29.15%)’, ‘다문화 학생․가정 이해 및 지원(23.32%)’, ‘다문화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21.08%)’ 순으로 연수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교사교육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유형

        정지아,부향숙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8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3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ypology of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is research used Q method, and total of 33 Q sample question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with international students, and newspaper articles. P sample size was 24 respondents. Their perception was assessed in terms of their purpose of studying abroad, cultural sensitivity, intercultural competency, and adaptation. As a result, valid types of perception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using QUANL PC program. Type 1 was an ‘active adaptors’ who would aggressively get accustomed to Korean culture and even wished to settle in the future despite financial difficulty. Type 2 was relationship-oriented ‘cultural adaptor’ group of students whose primary goal in Korea was to make friends with the Koreans. Type 3 was ‘conscious underachievers’ who were constantly aware of their low proficiency in Korean and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ype 4 was ‘settlement goal-setters’ who were unskilled in forming new relationships but had wishes to settle in Korea in the future. Type 5 was ‘total dissatisfaction’ group who were discontent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relationship, and life as a whole due to difficulties in adapting to a new life setting. Lastly, type 6 was a ‘university-life-specific complaining’ group of students who perceived making friends as a primary goal in life but failed to adjust to the Korean university culture.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policy implication for universities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to adapt more successfully in Korea. Finally, the newly proposed theoretical hypothesis would be contributable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유학 온 외국인유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활적응의 공통점과 특징을 도출해내어 유형화 하는데 있다.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은 유학 동기, 문화 감수성, 간문화적 역량, 적응의 관점에서 도출해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연구 방법으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Q표본은 외국인유학생들 심층면담, 기사, 관련 문헌을 통해서 최종 33개의 진술문을 완성하였다. P샘플은 24명의 외국인유학생들로 구성되었고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주요인을 분석해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유학생들의 인식유형은 6가지로 나타났다. 유형1은 경제적 어려움이 있으나 적극적인 한국 문화에 적응하면서 미래에 한국에 정착하고 싶어하는 ‘적극적 적응형’, 유형2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으로 유학 와서 적극적으로 친구를 사귀는 일을 최우선으로 두는 ‘문화 적응형’이다. 유형3은 공부에 대한 욕구는 많으나 한국어 능력 부족과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힘들어하는 ‘학습 부적응 인식형’이었으며, 유형4는 한국에서 취업하고 정착하고자 하나 인간관계에는 미숙한 ‘한국정착 목적형’으로 조사되었다. 유형5는 학교생활, 인간관계, 학업 모두에 적응을 힘들어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총체적 불만족형’이며, 유형6은 인간관계가 대학 생활의 목적인데 한국의 대학 문화에는 적응을 힘들어하는 친밀관계를 추구하는 ‘대학문화 부적응형‘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새롭게 제기된 이론적 가설은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공연중심 연극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변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유지원,부향숙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7 다문화교육연구 Vol.10 No.3

        This study aims to plan and carry out a performance-centered Drama Therapy Program in order to diagnose and cure adaptation problem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extract reflection data for future practice by examining changes of the participant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through what process is Drama Therapy Program enacted, and what changes happen through the Dram Therapy Program? This study adopted action research and collected data via three sources. It also let the participants examine the interpreted data and carried out a peer review of the entire process. Results show that: 1) the process consisted of before rehearsal, rehearsal, and performance, and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 of native culture and emotions, exploring adaptive skills, and training to be ingrained for new roles; 2) the analysis based on four layers (individual, relational, enacted, and communal) shows that the self-concepts of the participants have changed from feelings of inhibition, lethargy, anxiety, and isolation to efficacy, confidence along with self-assertion and communication. The positive changes have occurred by the four identity layers in an interrelated way.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자의 적응문제를 진단하여 이를 치유하기 위한 공연중심 연극 프로그램을 계획․실행하고, 참여자의 변화를 검토하여 향후의 실천을 위한 성찰자료를 추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공연중심 연극 프로그램은 어떤 과정을 통해 실행되는가?’와 ‘공연중심 연극 프로그램을 통해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가?’라는 두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실행연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3개 통로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의 해석은 해당당사자에게, 전 과정의 진행에 대해서는 동료검토를 받는 절차를 거쳤다. 연구결과, 첫째, 실행과정은 리허설 전, 리허설, 공연이라는 과정으로 이루어졌으며, 모국문화와 감정의 표현, 적응기술 탐색, 새로운 역할의 훈련체화에 주안점을 두었다. 둘째, 개인층, 관계층, 실행층, 공동체층이라는 틀로 구분하고 분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자기개념은 억압, 무기력, 불안, 소외에서 주장, 효능감, 자신감, 소통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변화는 정체성의 4개 층이 상호연관 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후보

        연구중심대학 정책(BK21)이 학부 교양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미친 효과 :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박주호,부향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managing and organizing curricula between research-focused universities and education-focused universities by comparing universities non-participated in the BK21 project with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BK21 project. To conduct the analysis of these difference, this study selected 6 analysis-indexes as follows: 1) totally opened liberal arts subjects 2) liberal arts credit ratio of total credits, 3) required liberal arts credit ratio(including commonly required credit ratio and groundly required credit ratio, 4)groundly required liberal arts credit ratio, 5) selective liberal arts credit by domain ratio, and 6) general liberal arts credit ratio. The data were taken and coded from the curriculum of the engineering colleges in 11 universities non-participated in the BK21 and 9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it from 1990 to 2010. The coded panel data were analysed by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BK21 participation-universities, as the period of their participating in the BK21 is getting longer, opened liberal arts credit, required liberal arts credit and required grounded liberal arts credit of the total liberal arts credits are getting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elective credit by domains ratio and general liberal arts credit ratio of the total liberal arts credits are being decreased. The study intended only to find the trend of gene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university groups divided by the BK21 project A qualitative study needs to be additionally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mo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s regarding the curricula in accordance with university-typ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1999년부터 추진되어 온 BK21이라는 연구중심대학 정책이 학부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BK21 참여와 미 참여 대학교로 분류한 두 집단의 교양교육과정상 주요 비교지수를 분석하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대학으로 BK21 참여 대학은 1999년 1단계사업 및 2007년 2단계 사업에서 과학기술분야 대형 사업단이 선정된 9개 종합대학교를 포함하였으며, 미 참여 대학교는 2011년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대학별 총 연구비 수주 순위 전체 50개 대상 중 하위에 속한 11개 대학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해당 대학교 공과대학이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지난 21년 간 운영 해온 교양교육 과정 중 1) 총 개설교양교과목 수, 2) 교양이수학점 비율, 3) 필수교양학점(공통필수+기초필수)의 비율, 4) 기초필수교양학점의 비율, 5) 영역별 선택 교양학점 비율, 6) 일반교양학점 비율을 비교 분석 지수로 설정 하였다. BK21 사업에 참여 대학교와 미 참여 대학교 간, 이들 6개 지수 변인 비교를 위해 고정효과 모형에 의한 패널자료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BK21 사업에 참여한 대학교 공과대학의 경우, 미 참여 대학교보다 교양교육과정에서 개설된 교양교과목 수, 전체 교양학점 중 필수교양학점 비율 및 기초필수교양 학점의 비율이 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현재까지 약 13년 간 진행되어 온 BK21 사업에 참여기간이 긴 대학일수록 개설된 교양교과목 수와 전체 교양학점 중 필수교양학점 비율 및 기초필수교양학점의 비율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었고, 이와 반대로 전체 교양학점 중 영역별 이수 교양학점과 일반교양학점의 비중은 감소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특정 고등교육정책이 실제 대학의 교육내용, 특히 학부교양교육의 편성·운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계량적 효과만을 조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향후 대학 별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보다 의미 있는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실제 편성된 교과내용이나 교수방법 등을 대상으로 좀 더 질적인 분석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현장

        안미리 ( Mi-lee Ahn ),김성남 ( Sung-nam Kim ),황윤자 ( Yun-ja Hwang ),부향숙 ( Hyang-suk B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이러닝 학습은 다양한 목적을 지닌 많은 대상들에게 눈부실만한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닝의 특성을 가장 절실히 필요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 등의 소외된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러한 현실에 대하여, 그동안 정보통신기술분야에서도 소외된 대상들을 고려한 접근성 관련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자성만이 아니라 그 이유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기업 CEO의 인식을 조사하여 웹 접근성과 관련한 제도적인 여건 속에서도 학습 환경에서는 여전히 접근성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찾아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위의 목적을 위하여 현업에 종사하는 운영자와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보편적 교수 설계을 위한 이러닝의 접근성 관련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러닝 접근성에 대한 CEO의 인식은 매우 저조하며,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나 비용적인 부담으로 인해 보편적 이러닝 콘텐츠 개발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닝 기업 CEO의 낮은 인식은 곧 개발자와 교수설계자들에게 접근성 기술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홍보와 제도적 장치가 필수적이며, 현재 제공되는 이러닝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연구와 지원방안이 필요하며, 구체적으로는 보편적 학습설계와 접근성에 대한 교육과 확산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