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치 않은 임신에서의 부양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봉영준(Bong, Young-Jun) 한양법학회 2013 漢陽法學 Vol.24 No.1

        A claim for wrongful conception arises from the birth of an unplanned but healthy child following the negligent performance of an contraceptive device, sterilization procedure, abortion, or failing of controlling of embryo-number on the IVF by a doctor as well as pharmacist’s fault for prescription. In addition, the lawsuit against pharmaceutical firm or manufacturer of contraceptive device may be brought up by flaw of birth control pills or the device. Questions that arise with this type of claim are whether a new baby itself is damage and who will pay for the cost of child rearing. Damages in wrongful conception cases are hotly debated among jurisdictions. Because a high level of value that is birth of human being is associated with damages in these lawsuits. Usually, damages that are replacement contraception, the cost of prenatal care, labor and delivery expenses, and sometimes a small award for emotional distress are recognized in wrongful conception cases. However if the woman chooses to terminate the pregnancy, courts usually won’t force the defendant to pay for an abortion. The method of the awarding damages for the cost of child rearing are divided in four theories. However I think that the allowance of costs of child rearing is not an aspersion upon the value of the child’s life, but is rather a recognition of the increase of welfare by a compensation. And this can realize the principle of damages in tort or contract law. The nations that admit of the cost of child rearing calculate the cost by actual damages which will occur during the growth of a child until the age of majority while Seoul District Court in 1996 did calculate it by a change of consumption expenditure following the member of children for an average household in Korea without considering a household incom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alculative factor in other countries. It seems to me that the cost of child rearing must be calculated by the consumption expenditure in an average household rather than an income level of plaintiff which is primary factor in family law as getting a divorce. Because the damages in wrongful conception case are based on the liability law not family law and defendant can not predict how the income level of the patient is. In conclusion, the assessment of the cost of child rearing should be fundamentally based on the income of an average household in Korea, the step of age and number.

      • KCI등재

        환경분쟁해결 수단으로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봉영준(Bong, Young-Jun) 한양법학회 2014 漢陽法學 Vol.25 No.4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s, for example chemical accident, explosion accident occurred one after another, which threaten public health and safety to daily increasing explosion of public anxiety. However an effective remedy system for the victim is insufficient. Company for the purpose of profitability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is generating environmental pollution purposely and constantly, in addition, for the reason that sanctions is so weak in case that revenue is higher than the penalty the vicious cycle of environmental infringement continues. Given the difficulty of restitution or long-term commitment from the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it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contamination.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see the punitive damages provisions as a means of punishment and prevention of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The punitive damages are necessary to achieve justice system more in environmental areas can not be solved by a rule of public law as shown above. Because punitive damages would be calculated, being considered significance and repetition of illegal act, necessity of prevention, punitive damages is very suitable system, having the function of proactive prevention as well as post-regulation means. Also punitive damages could serve as a source of pollution compensation fund. It is true that punitive damages are reluctant to be introduced for the reason of excess of damages and distinction civil law field from criminal law field which is Continental law system. However Considering the facts that three times of damages are introduced in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nd that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s one of the environmental law principles, It is a very good means to use th punitive damages systems in environmental law field. To strengthen the liability for the increased risk of environmental damage is the better way to access the precautionary principl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ocial security in the time that the environmental damages are increasing due to the advanced industrial society.

      • KCI등재

        일반연구논문 ; 저작권법상 법정손해배상의 법적 성질

        봉영준 ( Young Jun Bong )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4

        미국 저작권법의 법정손해배상은 처음에는 과도한 손해배상을 제한하거나, 실손해의 증명이 곤란한 경우를 위해서 인정된 제도였다. 그러나 1909년 개정 저작권법 이후로 많은 법원에서 법정손해배상의 기능을 예방 및 처벌이라고 판시하여 왔었다. 또한 1976년 개정 저작권법에서의 변화, Bern 협약에 따른 개정 및 디지털 도난 방지법에 따른 법정손해배상액의 증가는 명백히 징벌적인 성격으로 보는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한미 FTA의 이행으로서 우리나라에 저작권법에 새롭게 도입된 법정손해배상은 ‘영리 목적의 고의’의 규정, 실손해의 증명이 가능함에도 당사자의 법정손해배상의 선택권 인정, 미국 실무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의 성격, 한미 FTA 규정상 예방기능의 규정을 근거로 징벌적 손해배상의 성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에 하한 규정을 도입하지 않은 점, 미국과 우리나라에서 실손해 증명이 곤란해서 법정손해배상을 인정하였다는 입법 이유는 전보적 손해배상의 성격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전보적 손해배상체계를 취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법정손해배상이 이질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하여 배척하지 말고, 변화된 제도의 도입에 따라 외국재판 등의 승인, 법원에서의 법정손해배상액의 결정 요소 등 그 운용 방법을 정책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Looking at the history of U.S.A. Copyright Act, Statutory damages were to the minimum compensation to copyright holder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estimating actual damage and were to limit the excessive damages by multiplying copied work and simple arithmetical calculation together. However from the 1976 Copyright Act, the court has considered the preventive and punitive function in no uncertain terms and statutory damages in art. 504(c) were away from the actual damages or compensatory damage by differently providing willfully and innocent infringement. It is clear that statutory damages in Korean Copyright Act, introduced form U.S.A., have punitive elements which are the provision of “intention for the aim of profit”, permission of it in spite of the proof of actual damages or profit, the position of case law, and the provision of prevention in KOR-U.S.A. FTA art. 18.10(6). However because there are compensative damages characters, based on no adoption of the lower limit, historically compensative damages characters, I can not affirm that statutory damages are punitive. We should not regard statutory damages, newly introduced in korean law system, as a different in kind and exclude it owing to the danger to use for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We have to well use it, considering the purpose of introduction and legal character of it.

      • KCI등재

        법정손해배상의 법적 성질

        봉영준(Bong Young Jun) 한국재산법학회 2016 재산법연구 Vol.33 No.2

        최근 우리나라에 (협의의)법정손해배상과 3배 배상규정이 도입 및 신설되었다. (협의의)법정손해배상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저작권법, 상표법, 정보통신망법, 신용보호법, 개인정보보호법 5개이며, 3배 배상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하도급법, 정보통신망법, 신용보호법, 개인정보보호법 4개이다. (광의의)법정손해배상이란 손해액을 법률의 규정으로 정한 것을 말하는데, 협의의 법정손해배상에 배액배상액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광의의)법정손해배상에는 배상액의 상한과 하한을 규정하는 방식과 침해물마다 1,000만원과 같이 특정법정배상의 방식, 그리고 실손해의 2배, 3배, 4배와 같은 법정배액배상의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3배 배상의 규정은 실손해의 3배까지 배상액을 인정하는 것이므로 그 법적 성질은 징벌적 성격이다. 반면에 상한규정을 두고 있는 5개의 법률 규정(협의의 법정손해배상규정)은 그 실손해의 입증곤란을 이유로 하고 과도한 배상액을 제한하기 위하여 규정된 것이므로 그 법적 성질은 전보적 손해배상이다. 다만 저작권법상 상한규정은 미국저작권법이 징벌적 성질로 보고 있다는 점, 영리를 목적으로 고의’의 경우 배상액의 증액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 실손해의 입증이 가능한 경우에도 법정손해배상을 인정할 수 있다는 규정 등으로 보아 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만약 우리나라에 규정된 (광의의)법정손해배상의 그 법적 성질이 징벌적 손해배상이라면 민사소송법 제217조의 2의 외국재판의 승인이 인정될 수 있다. 결국 3배 배상제도를 인정하고 있는 하도급법과 개인정보관련 3개 법률은 당연히 외국재판의 승인이 인정될 것이고, 이는 개인정보보호관련 3개 법률상의 (협의의)법정손해배상이 전보적 성질이라도 해당 법률이 3배 배상제도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재판의 승인이 인정될 것이다. 반면에 저작권법은 3배 배상제도를 규정하고 있지 않고 (협의의)법정손해배상만을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협의의)법정손해배상의 성질은 해석상 징벌적 성질을 띄고 있으므로 외국재판의 승인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Treble damages was first introduced to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in 2011. After that statutory damages has been enacted in Copyright Act and Trademark Act. In addition National Assembly enacted treble damages and statutory damages in the 3 laws in connec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Statutory damages has three types, the statutory damages of the type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statutory multiple damages, specific statutory damages. Therefore statutory multiple damages like double treble damages etc. should not be excluded from statutory damages. Treble damages ruled in 4 acts are punitive in nature. But the statutory damages of the type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ruled are basically compensative in nature. The reason is that the statutory damages was enact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ve actual damages. However the statutory damages in Copyright Act is punitive in nature, because of the statute of ‘intentionally infringing rights for profit’ and the recognition of statutory damages in lieu of the actual amount of damages etc. As to the effect of foreign judgment in Civil Procedure Act, whether the effect is accepted or not is based on the legal nature.

      • KCI등재

        미국에서의 의료과오상 손해배상제도의 개혁과 시사점

        봉영준 ( Bong Young Ju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4 No.2

        미국에서의 의료사고는 1960년대에 들어서 의료소송이 급증하고 고액의 손해배상청구가 인정되면서 의사배상책임 보험료도 급격히 상승하게 되었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는 외과전문 보험료는 10배로, 그 밖의 의사 보험료는 5배로 상승 되어 이른바 의료사고 배상책임보험의 위기(Malpractice Insurance Crisis)시대라고 일컬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계속되어 2002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큰 보험회사 중의 하나인 St. Paul사가 의료과오에 대한 보험계약을 중단하였다. 또한 2001년과 2002년 사이에 의료과오 보험료는 23%가 증가하였으며, 일부 주에서는 전문적 직업에 대해 보험료가 100%이상 증가하였다. 2005년 이후에는 보험료가 완만하게 증가하거나 2008년에는 4% 감소하긴 하였어도, 이는 과거 급격한 증가에 따른 결과일 뿐이었다. 현재 주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산부인과 의사나 신경외과 의사의 경우 1년에 20만달러 이상의 보험료를 내는 경우도 있다. 이 문제로 경제적 위협을 받게 된 의료서비스 제공자는 이러한 비용을 환자에게 전가하고 있고, 미국 사회는 심각한 의료비용의 증가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주정부는 과거수 십년간 각기 다른 내용이긴 하지만 의료과오에 있어서 손해배상책임제한 규정을 담는 법률의 제정을 통해 이에 대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료분쟁의 증가는 우리나라도 비슷한 상황이 된 적이 있었고, 한 때 2년 여간 손해보험사들이 의료배상책임보험의 판매를 중단한 적이 있었다. 2008년 5월 서울중앙지방법원의 언론전담부, 교통산재전담부, 의료전담부 담당법관회의로 일정 기준금액을 기존의 6천만 원에서 8천만 원으로 증액하기로 하였으며, 현재 실무에서는 대부분 8천만 원을 일정 기준금액으로 삼고 있다. 의사의 설명의무 위반을 근거로 하는 정신적 손해배상의 경우 보통은 2,000만원은 넘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증액되는 경우라도 최대 3천만 원은 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데이터에 의하면 의료과오 소송에서 총 배상액은 평균 1억 원을 넘지 않고 있으며, 정신적 손해배상액은 평균 2천만 원 정도이다. 이러한 점을 보면 미국과 같은 소송천국의 정도에는 이르지 않고 있는 현실과 그 배상액도 미국처럼 심각하지 않는 우리나라 현실을 고려하면 아직까지는 손해배상액의 상한을 규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 다만 미국의 상황이 타산지석이 될 것이다. Medical malpractice reform, also known as tort reform, includes strategies to limit medical malpractice costs, decrease of insurance premium, deter medical errors and ensure that patients who are injured by medical negligence are fairly compensated. Tort reform has the potential to reduce health care expenditures by reducing the number of malpractice claims, the average size of malpractice awards, the insurance premium and tort liability system administrative costs. It also may lead to fewer instances of defensive medicine where physicians order tests and procedures not primarily to ensure the health of the patient but as a safeguard against possible medical malpractice liability. The most important, with the waning of the malpractice insurance crisis, the discourse about medical liability has shifted from controlling liability costs to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reducing waste in health care. It is still in the midst of controversy and tort reform, but it overcomes the health care crisis for this purpose.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it is a health care crisis because of the increase of number of malpractice claims and the excessive amount of damages in Korea. Although there is a problem of depletion of the health insurance fund, the amount of damages due to medical malpractice is still not sufficient for the patient. In the current medical malpractice lawsuit, the amount of mental damages is only about 20 million won, and the total compensation amount is about 100 million won or less. It is necessary to be very cautious to consider the limitation of damages in Korea.

      • KCI등재

        경구피임약 포장결함에 의한 제약회사의 손해배상책임

        봉영준 ( Young Jun Bo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2

        최근 경구피임약의 배열순서가 잘못된 경우와 정해진 활성제의 숫자가 잘못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를 복용한 여성들이 원치 않은 임신을 하게 된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원치 않은 임신에 관하여 과거 국내·국외에서 논의되어 왔던 의사-환자 사이의 원치 않은 아이 논쟁이 검토되어 질 수 있는데, 경구피임약 포장에 있어서 잘못이 있다면 제조물의 표시상의 결함에 해당하여 제약회사의 제조물책임이 문제된다. 특히 제조물책임법 제3조 제1항의 제조물의 결함으로 신체손해에 해당하는 것과 관련하여 원치 않은 임신으로 정상아나 장애아를 임신·출산하는 것 그 자체가 여성의 신체 상해가 될 수 있는가가 문제된다. 비교법적으로 이를 신체상해에 해당한다고 보는 입장과 신체상해에 해당하지 않는 입장이 나뉘고 있는데, 원치 않은 임신은 여성의 생리적 기능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임신 자체가 아름답고 여성으로서 겪어야 할 자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신체상해성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제약회사의 경구피임약 포장결함에 의하여 정상아 또는 장애아를 출산한 경우 그 결함과 아이의 부양비의 손해 발생과의 인과관계가 문제되는데, 경구피임약의 제조회사도 제품 결함에 의한 소비자의 임신을 야기하여 통상 부양비의 손해가 발생하였다면 그것이 원고에게 직접적이고 근원적으로 야기된 손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제약회사의 경구피임약 결함으로 소비자의 장애아 임신·출산이 있는 경우는 언제라도 제품 결함이 있는 경우 제약회사는 장애아 의 임신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을 것이고, 소비자가 경구피임약을 복용한 것은 소비자가 장애아의 양육을 위하여 필요한 추가비용만을 회피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장애아가 있는 자녀 자체를 출산하지 않으려고 복용한 것이므로 추가양육비에 대하여도 제약회사는 책임을 부담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경구피임약 포장결함에 의한 제약회사의 부양비 손해배상책임은 의사의 의료행위상 과오에 의한 원치 않은 임신·출산과 차이가 없다고 볼 것이다. Even in the case of unwanted pregnancy to defects of oral contraceptives, as well as litigation by medical malpractice, Court should admit the compensation of the child rearing expenses. Pregnancy itself is not a natural step although a woman want it or not. Because p unwanted pregnancy gives changes and pain to the body of woman and causes interference to the body integri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laim for the mental and property damages and relatives, for example her husband, can claim mental damages on the basis of Arthicle 752 of the Civil Code. In addition plaintiff can claim accident compensation to the insurance company. Pharmaceutical company should pay for the child rearing expenses in case wrongful conception and wrongful birth caused by defects of birth control pill. As for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fault and damages, pharmaceutical company’s liability in packaging defects of birth control pill is same like the liability of doctor that fails to operate properly sterlization, diagnosis of pregnancy, diagnose hereditary problems, and abortion. In case chlild rearing expenses for wrongful conception and wrongful birth is admitted, I think the compensation should be based on the table of the child rearing expenses calculation by Seoul Family Court.

      • KCI등재

        모자보건법상 낙태가능결정기간 도입과 부양비 배상 - 우리나라 판례를 중심으로 -

        봉영준 ( Young-jun Bong )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4

        의료과오로 인하여 건강한 아이가 출생하여 부모가 지출하게 될 부양비에 대하여 ‘손해성’을 부정하였던 원치 않은 임신 소송인 1996년 서울고등법원 판결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대법원은 원치 않은 임신 소송에서는 물론 원치 않은 출산 소송에서 ‘부양비의 손해성’에 대하여 지금까지 그 입장을 밝힌 바 없었다. 또한 부모가 지출하게 될 부양비에 대하여 손해라고 인정하는 것이 아이의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한다고 언급한 적도 없었다. 원치 않은 출산 소송에서 부양비의 손해성에 대하여 법원이 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것은 원고의 청구가 없었기도 하지만, 다운증후군, 소두증 및 구개열 파열, 윌리암스증후군은 모자보건법 제14조의 낙태적응요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임산부의 낙태권을 인정할수 없고 또한 낙태권의 침해가 없다는 이유이었다. 그러나 2019년 4월 간통죄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하였는데, 이 결정이유에서 모자보건법 제14조의 낙태적응요건에서 낙태결정가능기간의 도입을 언급하면서 모자보건법의 개정이 예정된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모자보건법이 개정되어 낙태결정가능기간이 도입된다면 1973년 낙태결정가능기간을 인정한 미국연방대법원의 Roe v. Wade 판결과 동일한 상황이 이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법원은 원치 않은 임신 소송과 원치 않은 출산 소송에서 원치 않은 임신·출산의 경우에 낙태권을 인정하여야 하고 ‘부양비의 손해성’ 여부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표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국의 일부 주, 호주의 일부 주, 프랑스 등의 외국과 같이 원치 않은 아이에 관한 손해배상에 대한 입법적 해결정책도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Except for the 96Na10449 decision, the decision of the Seoul High Court in 1996, no court decision has still examined and mentioned that the physician who committed a medical malpractice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child support expenses on the ‘wrongful conception case’ and ‘wrongful birth case’ in Korea. In addition, no court has mentioned that the approval of damages for the child support expenses violates the child’s human dignity. The court did not recognize the abortion right of the pregnant woman and found that the defendant did not infringe on the right to abortion, not revealing its position on the loss of support, because plaintiff did not request the loss of support and Down’s syndrome, microcephaly and cleft palate, and Williams syndrome do not fall under the legal abortion requirement under article 14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However, in March 2019, with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 on the abortion rule in the Criminal Act, the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nd mentioned an amendment to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by referring to the abortion requirement in Article 14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Therefore if the abortion determination period is introduced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new situation will arise on the field of ‘Unwanted Child Case’ like the era of the Roe v. Wade case in U.S.A. The Supreme Court will have to admit abortion rights in the wrongful conception case and the wrongful birth case and have an active stance on the loss of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