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 남부 새성주굿 고찰

        변진섭(Byeon Jinsup) 한국무속학회 2021 한국무속학 Vol.- No.43

        경기 남부지역에서는 집을 새로 짓거나 새 집으로 이사를 가면 성대한 의례를 치르는 데, 이를 ‘새성주굿’이라고 한다. 이 굿 속에서 성주신에 대한 각별한 대우를 확인할 수 있다. 소창을 잡고 부르는 푸살, 성주신의 좌정내력이 담긴 성주풀이, 집을 짓고 살림을 불어주는 고사덕담, 성주신을 상징하는 신체인 대성주 등이다. 새성주굿의 현장을 만나기는 쉽지 않다. 온전한 굿을 담은 관련 자료도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근래에 급속히 진행된 도시화로 전통적인 가옥이 사라지고, 집의 용도와 필요성이 달라졌다. 이에 따라 집을 위한 성주굿과 새성주굿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이 의례는 그 자체로 전통의 무형문화자산이기도 하고, 본래는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생활의 일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장점을 토대로 한 새성주굿 탐구는 요즘에 알맞은 굿으로 변화하는데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성주굿은 지금까지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다. 가정 내의 축원의례에 관해서는, 굿의 일부분만 확인될 뿐 온전하게 그 모습을 전하는 결과물은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새 성주굿의 온전한 면모와 가치는 우리의 전통적인 삶의 문화임에도 아직 모르는 새로운 대상임에 틀림이 없다. 본고의 목적은 새성주굿의 온전한 형태가 무엇인지 그 실체를 밝히는 여정이다. 하나의 갈래 혹은 큰굿으로써의 새성주굿을 이루는 굿거리들의 구성, 굿거리로써의 새성주굿을 이루는 절차들의 구성, 각 절차 속 요소들의 연행 형태의 순서가 된다.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when a new house is built or moved to a new house, a great ceremony is held, which is called ‘Saeseongjugut’. In this gut, you can see the special treatment for Sungju Shin. Fusal who catches and calls Sochang, Sungju Pool, which contains the history of the sedentary gods, Gosa Deokdam, which builds a house and blows the house, and Daesungju, a body symbolizing Sungju God. It is not easy to meet the scene of Saeseongjugut. There is not enough related data with the whole gut. As the urbanization has been rapidly progressed in recent years, the traditional houses have disappeared and the use and necessity of the house have changed., This ritual is also included in the family, which is also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tradition in itself, and is originally part of a life that enriches life., Based on these advantages, the study of Saeseongjugut is expected to present a direction for changing into a suitable gut these days. Saeseongjugut has been excluded from the study until now. Because only a part of Gut is confirmed in regard to the ritual of the family, but there is no result of conveying the whole figure., The whole aspect and value of Saeseongjugut is a new object that we do not know yet, even though it is a traditional culture of ou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true nature of the whole form of Saeseongjugut It is the order of the composition of the Saesungjugut as a branch or a big gut of the gutgeori, the composition of the procedures that form the Saseongjugut as the gutgeori, and the order of the elements in each procedure.

      • KCI등재

        경기도 새남굿 장단 고찰

        변진섭(Byeon Jinsup)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6

        경기도 남부지역의 굿에 관한 연구는 마을굿인 도당굿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마을굿에 비하여 많이 행해졌던 집굿은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굿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하여 집굿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고 그 대상으로 삼은 자료가 〈경기도 새남굿〉이 된다. 집굿의 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거의 유일한 영상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장단을 통하여 경기도 남부 집굿의 하나인 새남굿의 연행원리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굿의 대부분은 연행이 차지하며 그 연행의 근간이 되는 요소가 장단이라는 점에 기인한다. 장단은 하나의 요소에 불과하지만 여타의 모든 연행요소와 결합하여 절차를 만들고 굿거리를 구성하며 전체 굿이라는 한 갈래의 굿을 이루게 된다는 점에서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새남굿에서 사용되는 개별장단들의 음악적인 면모를 먼저 파악한 뒤, 굿거리별로 장단의 구성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굿이라는 차원에서 장단의 짜임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새남굿을 이해하는데 충분하지는 않다고 생각된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절감하지만, 부족하나마 이 글을 통하여 다른 갈래로 연구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A study on the Gut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tends to concentrate on the Dodanggut called Village-gut. Compared to Village-gut, Home-gut is very poorly researched. For research on the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Gut is needed to Home-gut, and the target material becomes the Saenamgut gut of Gyeonggi-do. It is highly valuable as the only video data in the absence of Home-gut data.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performance in Saenamgut, one of Home-gut in southern Gyeonggi-do, through Jangdan. Most of the Gut is performed by the gangdang, due to the fact that the key element behind its arrest is gangdan. Jangdan is just one element, but it is the basis that it combines with all other intrigues to create a procedure, organize a rite, and achieve a branch of Gut that is called an entire rite. The musical aspects of individual rhythms used in Saenamgut were first identified, and then the composition of the rhythms was focused on each gutgari. Based on this, we briefly looked at the structure of the rhythms of the whole good. I don’t think the above findings are sufficient to explain Saenamgut. Although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rom various angles,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lead to further researches to other branches.

      • KCI등재

        동막도당굿의 무용학적 고찰

        변진섭(Byeon, Jinsup) 한국무속학회 2014 한국무속학 Vol.0 No.28

        이 글은 동막도당굿의 무용에 대한 연구이다. 동막도당굿은 민속무용의 중요한 원천이 되는 경기도 남부굿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굿은 가무악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굿과 춤을 분리하기보다는 상호관계 속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다. 형식과 내용이라는 차원에서 굿거리는 형식이고 춤은 내용이 된다. 이 점에 근거하여 굿과 춤의 결합양상과 기능적인 면모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고찰의 주요대상은 굿거리의 형식과 춤의 종류 측면에서 다른 굿거리를 포괄하고 있는 군웅거리로 삼았다. 굿거리라는 형식적인 틀을 바탕으로 시간적 ? 공간적 차원 그리고 절차의 구성이라는 차원에서 굿과 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춤들은 굿거리라는 틀 속에 고유한 위치를 점유하며, 정화나 올림 등 형식적인 기능까지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춤은 굿의 고찰에 있어서도 주요한 요소로써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dance performed in Dongmak Dodang-gut. Dongmak Dodang-gut, from which important part of Korean folk dances originated, is a representative Gut (Korean shamanic rite) in southern part of Gyeonggi-do. As Gut consists of songs and dances, it is a desirable approach to correlate Gut with dance rather than to separate it from dance. In terms of form and content, Gut-gory (Gut performances) refer to form while dances refer to content. Based on this regard, I focused on illustrating the combination aspect of Gut and dance, the its functional aspect. Gunwoong-gory (one of ‘Gut’ performances) among others is major subject of this study, because it includes other Gut-gory, in terms of form of Gut-gory and kind of dances. On the basis of formal frame Gut-gory, I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Gut and dance in terms of time and space, as well as procedure steps. The result shows that each dance occupies its proper positions in the frame Gut-gory, and also serves formal function such as Purification and Olim. In this regard, the dance has significance as important element in the study of Gut.

      • KCI등재

        이용우의 앉은청배 연행 양상

        변진섭(Byeon Jinsup) 한국무속학회 2024 한국무속학 Vol.- No.48

        이 글은 경기도 남부 도당굿 절차 중 하나인 앉은청배의 전승현황과 연행 면모에 관한 연구이다. 앉은청배는 신을 청하는 무가를 앉아서 부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무가는 굿이라는 의례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그중에 청배의 기능을 가진 무가는 굿의 핵심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무가, 특히 청배무가는 무당이 도맡는다. 보편적으로 무당이 굿을 주도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무속권역에서 무당이 청배무가를 담당하는데 비해, 경기도 남부 도당굿에서는 이례적으로 악사인 산이가 맡는다는 점에서 독자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는 전체적인 차원에서 구체적인 면모에 접근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큰굿에서 앉은청배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그 맥락을 파악하는데 이르지는 못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력이 깊은 세습무가 출신인 이용우가 구송한 앉은청배를 대상으로 삼아 네 가지 청배의 전승 현황, 사설 및 장단 등 연행요소와 방식, 미지가 구송하는 선청배와의 상관성 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앉은청배가 포함되는 부정 · 시루 · 제석 · 군웅청배의 대상이 되는 신격은 다르지만,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설은 여러 가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해당 신격에 관한 대목을 제외한 대부분이 동일하였다. 아울러 음악적인 요소와 방식도 군웅청배 외에는 같았다. 선청배와의 상관성에 대한 고찰에서는 앉은청배가 선청배에서 변모되는 형태로 창조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새남굿이나 경사굿 등 다른 갈래의 굿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면서 산이가 청배를 맡은 이유 등 굿 연행의 원리를 찾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transmission status and performance of Sitting Cheongbae, one of the procedures for Dodang-gut in southern Gyeonggi-do. Sitting Cheongbae is the name given because he sits and sings a shamanic song asking for God. Muga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ritual of gut, and among them, it can be seen that the shamanic song that has the function of Cheongbae is the core of the gut. Muga, especially Cheongbae, is in charge of shamanic songs. This is because shamans generally lead the gut. Although it is independent, no full-sca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at shamanic songs are in charge of Cheongbae dance songs in most shamanic areas, whereas in Dodang-gut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San, a musician, is in charge of it. Existing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to approach specific aspects at the overall level, so it is not possible to grasp the context of what functions the Cheongbae seated in the big gut performs. To solve this problem,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mission of the four Cheongbae, including editorials and rhythms,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Seoncheongbae sung by the unknown were considered, targeting the seated Cheongbae sung by Lee Yong-woo, a former hereditary dancer with a long hist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s of the Buddha, Siru, Jesseok, and Gunung Cheongbae, including the seated Cheongbae, were different, but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The editorial consists of various contents, and most of them were the same except for the passage about the deity. In addition, the musical elements and methods were also the same except for the Gunung Cheongbae.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lation with Seoncheongbae, the possibility that the seated Cheongbae was created in a form transformed from Seoncheongbae was rais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finding the principles of gut performance, such as the reason why San E took charge of Cheongbae, while expanding its scope to other types of gut such as Saenam-gut and slope-gut.

      • KCI등재

        경기도 남부굿과 민속춤의 상관성 연구

        변진섭(Byeon, Jinsup)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6

        이 연구는 경기도 남부굿과 민속춤의 상관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남부굿은 예술적인 자산이 풍부하여 다양한 민속춤을 창조하는 원천으로 작용하였다. 특정한 창조자들에 의하여 탄생된 민속춤은 다수의 전승자들을 통하여 계승이 되고 있으며 이 중에 일부는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경기도 남부굿과 민속춤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적절한 사례로 깨낌춤이 있다. 깨낌춤은 굿에서 신격들의 다툼을 형상화한 신앙적인 의미를 지니는 의식행위인 깨낌에서 비롯된 민속춤이다. 이 논문에서는 깨낌이 굿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분석하고 유형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깨낌춤이 생성된 과정을 검토하여 굿과 춤의 상관성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깨낌은 춤과 씨름으로 이루어진 굿의 의식인데, 깨낌춤은 굿에서 가지고 있는 춤 부분만을 계승하여 이를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시킨 춤이라는 점이 도출되었다. 깨낌과 깨낌춤에 관한 연구는 경기도 남부굿의 유산을 발굴하고 정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써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태평무, 도살풀이춤, 진쇠춤 등의 검토를 활성화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out the correlation between Southern Gyeonggi-do gut and folk dance. Southern Gyeonggi-do gut’s rich artistic assets acted as a source to create of a variety folk dances. Folk dances that born by a particular creator handed down through the number of successors, and some of these became the subject of many discussions. In prorer cas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Southern Gyeonggi-do gut and folk dance is Kkimchum. Kkaekkimchum is a folk dance that originates from the Kkaekkim. Kkaekkim is a shaping ritual acts of the religious conflict between the godhead in the gut. In this paper, I analyzed what have meanging in the gut and orderd types. And I have made goal to reach the correlation between gut and dancing by reviewing creation process of Kkaekkimchum.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 produced two conclusions. First, Kkaekkim is gut ceremony comprised of dance and wrestling. Second, Kkaekkimchum inherits only dances of Kkaekkim and developes to dance of new dimension. Kkimchum and Kkaekkimchum study have significance as a part of the work of excavation and order for Southern Gyeonggi-do gut heritag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foundation that activates the review of Taepyeongmu, Dosalpuri, Jinsoechum, and so on.

      • KCI등재

        굿에서 민속춤으로

        변진섭(Byeon, Jin-Sup)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이 연구의 목적은 태평무와 태평무의 모태가 된 경기도 남부굿이 어떠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굿은 민속문화의 토대가 되며 현재까지도 전승되는 주요한 전통문화임에도 불구하고 쇠퇴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도 남부굿을 모태로 한 대표적인 민속춤에 태평무가 있다. 태평무는 세 가지 유파가 활발하게 전승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태평무는 굿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동시에 굿을 소재로 한 창작물을 만드는데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바로 굿의 실천적인 면모가 된다. 태평무는 춤사위와 반주음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반주음악의 장단과 구성이 경기도 남부굿과 매우 흡사하여 상호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굿과 민속춤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점의 실제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아울러 어떠한 방식으로 민속춤이 만들어졌는지 고찰하였다. 태평무는 굿의 음악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인데, 굿이라는 원형을 재구성하고 첨가하고 변용하는 방식을 통하여 춤으로 창작하였다는 점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at correlation there is between Taepyeongmu and southern Gyeonggi-do gut, which is the base of Taepyeongmu. Although the Gut is the base of Korean folk dances and on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which have been passed down up till now, it is in decline. Taepyeongmu is one of representative traditional dances based on southern Gyeongi-do gut, three styles of which are passed down. Such Taepyeongmu increased interest in the Gut and plays a pivotal role in creating pieces of work based on the Gut. This constitutes a practical aspect of the Gut. Taepyeongmu consists of dance moves and accompaniment. The fact that the beats and composition of accompaniment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southern Gyeonggi-do gut shows well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m. With this in mind, I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ut and folk dances so as to show the practical aspect of Gut, and in what way this folk dance was created. Accepting actively the music of Gut resulted in Taepyeongmu, which means that the dance is created in a way that reconstitutes, adds and transforms the prototype of the Gut.

      • KCI등재

        연행 양상을 통한 가래조 고찰

        변진섭(Byeon, Jinsup) 한국무속학회 2017 한국무속학 Vol.0 No.35

        가래조는 경기도 남부지역의 무속굿에서 등장하는 장단의 명칭이다. 이 장단은 청배와 노랫가락의 반주에 사용된다. 현재의 굿에서 출현빈도가 높지 않고, 경기도 남부굿의 화려한 장단들에 가려져 실체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장단이다. 하지만 가래조는 경기도 남부굿에서 주요한 장단이다. 그 이유는 가래조가 등장하는 굿거리가 굿의 핵심적인 재차이기 때문이다. 가래조는 구성이 323의 혼소박 형태의 6대강으로 고악보의 곡들과 연관이 된다. 연행방식은 무가의 종류에 따라 달라서 그 형태가 다양하다. 가래조와 관련된 그간의 연구는 대부분 장단자체에 집중되었으며, 그나마도 온전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주로 박자의 문제를 다루었는데, 가래조가 10박이냐 혹은 16박이냐의 문제 제기에 머물렀다. 논의가 확장되어 진전된 연구도 진행되었다. 김헌선은 서울의 중디밧산과의 비교를 통하여 장단의 기능적인 측면의 성과를 도출시켰다. 원나경은 무가와 선율 및 장단의 관계에서 접근하여 가래조의 연행면모를 밝히고 있다. 이상의 연구들은 장단의 구조와 역할 및 의의 등에 관련된 성과를 거두었으나, 일부의 사례만을 다루고 있어 전체적인 면모를 볼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연구를 확장, 심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로 가래조와 관련된 가능한 모든 자료를 대상으로 삼는다. 자료가 산만하게 존재하는데, 이들을 집적하고 정리하여 다양한 형태의 연행을 파악한다. 조사보고서에서 가래조의 의미를 찾고, 연행자료 분석을 통하여 양상을 확인한다. 둘째로 고악보, 불가에서의 화청, 동해안굿의 청보와의 관계를 통하여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측면에서 다른 곡들과의 상관성을 찾는다. 셋째로 이를 바탕으로 굿에서 가래조가 지니는 의의와 가치를 도출한다. 이 고찰에서 얻어진 소중한 사실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경기도 남부굿의 핵심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래조가 반주되는 굿거리는 제석, 군웅, 조상이다. 이 굿거리들은 굿에서 성대하게 모셔지는데, 굿을 의뢰하는 사람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자손, 마을의 안녕, 조상님과 관련된 신이 주신이 된다. 둘째, 연행방식이 다양하다는 점이다. 가래조는 청배와 노랫가락이라는 두 가지의 무가에서 기능을 하는데, 장단의 속도와 구송의 방식 및 반주와 창의 결합 측면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서 가래조의 연행방식은 이외의 장단에서는 찾을 수 없는 독자성을 지닌다. 셋째, 가래조는 고악보, 화청, 청보와 상관성을 지닌다는 점이다. 가래조는 경기도 남부굿에서만 홀로 등장하는 장단이 아님이 드러났다. 과거, 현재, 미래의 곡들과 가래조라는 장단을 바탕으로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 다른 어느 장단 못지않은 깊은 역사성과 광범위한 분포를 갖는 소중한 연행임이 확인된다.

      • KCI등재

        김포 조강치군패의 형성과 연행면모

        변진섭 ( Byeon Jinsup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人文科學硏究 Vol.49 No.-

        이 글은 조강에 인접한 마을에서 전승되는 치군패의 형성 및 배경과 연행 면모에 관한 연구이다. 치군패는 농악패의 다른 명칭으로 확인된다. 농악은 다양한 기능에 걸맞게 명칭도 굿, 매구, 두레, 금고, 취군 등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명칭은 의미를 해석한데 비하여 취군은 행진음악을 연주하는 악대로 소개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어 아직 의미가 불분명하며, 활동이나 연행 등의 면모도 구체적이지 않다. 이 연구는 김포 조강 치군패의 형성과 연행 면모를 찾으려는 시론적인 글이다. 치군은 취군과 관련된다. 대부분 취군으로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치군은 와음의 결과로 추정된다. 근대 조선인 극장에서 홍보를 담당하였던 악대가 취군이었다. 아울러 곶창굿에 참여하는 강화도의 치군패, 곶창굿과 더불어 놀이판을 벌였던 연천 고랑포구의 취군패, 김포 강령포구의 치군놀이와 조강포구의 치군패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현재 김포의 일부 지역에서만 실낱같이 이어지고 있는 치군패가 연구의 대상이 된다. 치군패의 토대가 되는 포구의 형성과 번성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조강의 자연 및 인문 지리적인 조건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김포 조강 연안 마을에 포구가 형성되고 치군패가 활발하게 된 이유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군패의 의미는 아직도 불분명하다. 아울러 활동의 면모도 구체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취군 혹은 치군은 서로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공통점은 농악과도 관련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근대 서울의 극장에서 활약하였던 취군, 강화도 곶창굿에 참여한 치군패, 연천 고랑포의 취군, 김포 강령포와 조강포의 치군놀이와 치군패의 사례들은 서로 다른 명칭 및 여건에도 불구하고 상호 공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도달하였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practical aspect of the Chigunpae handed down in villages adjacent to Jogang. Chigunpae is identified as a different name for Nongakpae. The names appear as Exorcism, Maegu, Dure, Gojang, and Chugun, suitable for various functions. While most of the names interpret the meaning, the meaning is still unclear as the Chugun remains at the level of introduction as a band that plays marching music, and the aspect of activities and performances is not specific. This article has a poetic character about Cheogun or Chi-gun. We tried to find the formation and performance of the Gimpo Chogun Chigun. Chigun is related to Cheogun. Chigun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Waeum in that most of them are recorded as Cheogun. The band that was in charge of public relations at the modern Korean theater was Cheogun.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the Cheogun Pae of Ganghwa Island participating in Gotchang-gut, the Cheogun Pae of Yeoncheon Gorang-gu, which played a game with the Cheogun Pae of Gimpo Gangnyeong-gu, and the Chigun Pae of Jogang-gu was confirmed. Currently, the target was focused on the Chigunpae, which continues only in some areas of Gimpo. The natural and human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Jogun were reviewed to find the cause of the formation and prosperity of the port, which is the basis of the Chigunpae. As a result, the reason why a port was formed in the village along the Jogun coast of Gimpo and the Chigunpae became active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Chi-gunpae is still unclear. In addition, the aspect of the activity is not specific. Nevertheless, it was revealed that the Cheogun or Chi-gun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and that the commonality is also related to Nongak. The cases of Cheogun,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theater in modern Seoul, Cheogun, who participated in Gotchang-gut in Ganghwa-do, Cheogun in Yeoncheon Gorangpo, and Cheogunnori and Chigun in Gimpo and Gangpo reached the point that despite different names and conditions,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