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레임 이미지의 사이에 관한 연구: 19세기 광학기기와 구조영화의 고정되지 않는 깊이감

        변재규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3 아시아영화연구 Vol.16 No.2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서 잔상은 정통적인 필름영화나 애니메이션의 움직임 에 관한 동역학적 착시만을 위해 기여 하는 것이 아니다. 19세기 원시영화에서 페나키스트스코프의 잔상이 운동환영을 보여주었다면 쏘우마트로프, 스테레오 쏘우마트로프의 광학기기는 지각적으로 합성된 공간을 구현했다. 그리고 1960 년대에 이르러 현대미술의 미니멀리즘적 경향이 두드러지는 동안, 동시대의 구 조영화에서 1820년대의 유형학적 사진, 쏘우마트로프를 보는 듯한 지각적 실험 들이 영화의 시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쏘우마트로프 와 구조영화에 구축된 이미지의 동시성을 통해 가늠하려 한다. 이를 통해 간과되 거나 분류되지 않았던 모호한 지각적 깊이의 계보를 추적한다. Afterimages between frames do not contribute only to dynamic optical illusions about movement in traditional film movies or animations. In the early stages of 19th century pre-cinema, if the phenakistoscope showed the illusion of motion, the repetitive intersections of optical devices of the thaumatrope and stereo thaumatrope realized a perceptually composited space. While the trend of minimalism in modern art in the 1960s was emphasized, similar perceptual experiments, like watch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ypological photography and thaumatrope in the 1820s in structural films, appeared as temporal experiences.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the space between frames through the simultaneity of images constructed and shown in thaumatrope and structural film. Through this, we trace the genealogy of ambiguous perceptual depth that has not been overlooked or classified.

      • KCI등재

        창의인재육성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변재규,서지연,김성국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개인의 역량 강화와 국가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하는 창의인재육성 실현이라는 비전을 추진하기 위해, 한국적 토양과 문화를 고려한 창의인재육성의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사회, 예술, 과학 영역 및 산학연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적 창의인재에 대한 정의와 그 요소, 이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적 전략을 ‘융합’과 ‘통합’의 키워드에서 찾을 수 있었고, 세부적으로는 평생교육측면에서 창의인재육성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연구할 수 있었다. Enhancing individu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national competitiveness by fostering creative human resources are one of the important visions of the nation. Thus, fostering creative human resources should be important mission of the 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type of creative human resources is possible, based on Korean culture and background. Qualitative research experts was given to six experts of academics, institutes, and industries in scienc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 The result indicated that key words for fostering creative human resources in Korea are 'fusion' and 'integration', and the definition and factors of creative human resources as well as educational strategy to foster it depend upon them. How to foster creative human resources in life-long learning also discussed.

      • KCI등재

        프레임 구축의 미학 : 이토 다카시의 작품 <Spacy>을 중심으로

        변재규 한국영상학회 201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1 No.1

        이토 다카시의 대표작품 <스페이시 Spacy> (1981)은 순수하게 공간운동만으로 구성된 매우 시각적인 작품 이다. <Spacy>의 프레임은 회화나 사진의 구성을 닮아있다. 비록 영화는 일점원근법을 렌즈 안으로 계승 하였지만, <Spacy>는 그것이 가진 단절된 프레임공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열려져 있고 지속적으로 확장 될 수 있는 공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사진이나 회화적 프레임은 공간을 내부로 집중시키는 데 비해, 물리적 운동이 첨가된 프레임의 구조체는 열려있는 공간으로 우리의 의식을 확장시켜 주는 것이다. 이토는 실공간의 기억을 수공적 촬영 메커니즘에 의해 사진매체위에 공간이미지로서 정착하고, 물리적 시 공간의 이미지들을 구조화한다. 필름매체에 있어서 작가의 의식은 영화와 직접적이며 등가적인 관계를 가 진다. 이렇게 ‘프레임 바이 프레임’과 ‘복제’를 통한 반복적 편집을 통해, 이토는 일상의 시공간적 이미지를 비일상화하는 영화의 방법론을 보여 준다.

      • KCI등재

        본다는 것의 매체적 성찰

        변재규 ( Byun¸ Jae Kyu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회화, 사진, 필름, 비디오를 관통하는 ‘본다는 것’의 전개 양상에 주목하고, 본다는 것의 탐구가 예술 장르를 구분하지 않는 영상문화의 실천적 계기임을 밝히고자 한다. 매체고고학의 핵심적 개념은 역사 안에서 발견되는 반복성과 순환성을 매체에 남겨진 물질적 흔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이에 동시대 예술 매체인 회화, 사진, 비디오, 영화 매체의 비교를 시야에 두고, 예술가들이 탐구하고자 했던 보는 의미가 작품에 따라 어떻게 사용되고 규정되는가를 구현, 사유, 전경화, 측정을 중심으로 접근한다. 마지막에는 필름 베이스의 구조 영화가 시각 행위의 시간화를 특화한 경위를 알아보고, 구조영화 작가들이 수행했던 시도들이 영화의 본성을 재고한다는 논리 제시와 함께 다양한 시각 매체의 물질적인 흔적을 지닌 역동적이고 동시적인 ‘다층적 구성체'임을 진술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at an exploration of 'Seeing' is a practical opportunity for the visual culture, regardless of art genres,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Seeing' penetrating through paintings, photographs, films and videos. The core concept of Media Archaeology is to examine the repetitiveness and circularity discovered in history as the remaining material traces in media.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investigate how the meaning of ‘Seeing’, which artists have tried to explore, is used and prescribed in each work, around ‘Realization’, ‘Thinking’, ‘Foregrounding’ and ‘Measuring’, by comparing the contemporary art media including paintings, photographs, videos and films. Finally, it also intends to review the process in which film-based structural films have specialized the temporalization of seeing act, suggest the theory that the attempts performed by the “structuralist” filmmakers allow us to reconsider the nature of cinema, and state that structural films are the dynamic and synchronic ‘multi-layered construction’ with the material traces derived from a variety of visual media.

      • KCI등재

        측정과 조각적 행위

        변재규 ( Byun Jaeky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7 예술과 미디어 Vol.16 No.1

        본 연구는 1960년대 말, 실험영화 작가들이 제작했던 지각(적)영화(Perceptual Film)를 소환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자는 그들의 작품 안에서 발견되는 프레임 조합의 의미가 대안적 영화의 가능성을 내포하는 행위였고, 프레임을 매개한 `측정`과 `조각적 행위`는 성찰적 순간에 직면하기 위한 절차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각 영화에 대한 재검토이기도 하다. 지각 영화는 과학적 방법의 측정(Measurement)을 닮아 있어, 측정은 지각 영화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과학적 개념이다. 또한 과학으로서 이해되는 측정을 대표적인 지각 영화에 적용하면 `측정`은 예술적 `행위`의 실천적 기회가 될 수 있다. 셀룰로이드(celluloid)라는 물성을 중시 했던 이 영화는 필름을 물리적 상황에서 조작하여 영화를 정의하였으며, 영화 환경을 구성하는 스크린과 관객까지도 작품의 의미 속에 포함 하였다. 지각 영화의 빛과 소리는 일종의 이진법의 부호와 같이 각각 프레임으로 정량화 되었으며, 엄격히 절제된 미니멀한 기호의 시청각적 현상을 통해 관객에게 접수된다. 단위화 되었지만 개념화 되지 않은 신호의 교환 속에서 작품의 의미는 매번 재설정(reset)된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작품의 개념 전달에 중점을 두기보다 어떤 미적 체험으로 지각(Perception)을 중요시 했기 때문이다. 측정적 상황에서 측정과 행위는 창작과 수용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는다. 창작자의 고유한 권한이었던 행위는 수용자인 관객에게도 영화에 대한 심리적인 주체성을 부여하여 작품의 독자적 해석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지각적 경험은 작자와 관객에게 모두 유효하게 작용하였으며, 전통적인 극영화에 통용되던 관객성은 거리두기식의 낯선 상황에 직면하였다. 그러므로 관객과 영화의 의미 전달 관계는 고정화 되지 않으며, 상영 시에 매번 재고(再考)된다. 지각 영화는 자리 잡힌 상태가 아닌, 언제나 부유하는 존재들로 시간과 공간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This study attempts to recall the perceptual film produced by experimental filmmakers in the late 1960s. This researcher intends to reveal that the meaning of the frame construction found in their works was an act involving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film and that the `Measurement` and `Sculptural activity` through the frame were the procedures to face the moment of introspe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a reflective review of the Perceptual Film. Perceptual Film resemble the measurement of scientific methods, and measurement is a scientific concept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ual Film. In addition, applying measurements understood as science to representative Perceptual Film, `measurement` can be a practical opportunity for artistic `Activity`. The film, which emphasized the celluloid, defined the film by operating the film in physical condition, and included the screen and the audience composing the film environment in the meaning of the work. The light and sound of a Perceptual Film are quantified as a frame, like a kind of binary code, and are received by audiences through a strictly restrained minimalistic visual and auditory phenomenon. In the exchange of signals that are unitized but not conceptualized, the meaning of the work is reset each time. This was possible because it emphasized perception as an aesthetic experience rather than emphasizing the concept of work. In the measurement situation of these films, Measurement and Activity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boundaries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The activity, which was the original authority of the artist, gives the audiences the psychological subjectivity of the film to enable the independent interpretation of the work. In other words, this perceptual experience was effective for both the artist and the audience, and The spectatorship of traditional narrative film faced the unfamiliar situation of the alienation effect. Therefore, the mea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Film is not fixed, and is re-considered each time it is screened. The meaning of the Perceptual Film is not fixed, but always floating, which is different according to time and space.

      • KCI등재

        용접에 의한 Metal 3D Printing의 동향

        변재규(Jae-Gyu Byun),조상명(Sang-Myung Cho) 대한용접·접합학회 2016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4 No.4

        Metal AM(Additive Manufacturing) has been steadily developed and that is classified into two method. PBF(Powder Bed Fusion) deposited in the bed by the laser or electron beam as a heat source of the powder material and DED(Directed Energy Deposition) deposited by varied heat source of powder and solid filler material. In the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applying high productivity process of solid filler metal based DED method to the aerospace and defense sectors. The price of the powder material is quite expensive compared to the solid filler metal. A study on DED method that is based on a solid filler metal is increasing significantly although was low accuracy and degree of freedom.

      • KCI등재

        Ti-6Al-4V의 AM에서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Interpass Peening의 영향

        변재규(Jae-Gyu Byun),이희준(Hui-jun Yi),조상명(Sang-Myung Cho) 대한용접·접합학회 2017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35 No.2

        Ti-alloys have high specific strength and are widely used for the filed of space aeronautics pla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cess Ti-Alloys due to its high yield strength and it cannot raise the machining speed because it has a possibility of catching fire while processing.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processes for the Ti-alloys, the researches related to Additive Manufacturing(AM)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at the moment. As for the initial stage of AM market related to Ti-alloys, it started to use the raw material of powder metal, and it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based on welding. In this study, Interpass peening reduced the size of the primary β grain in the z-axis direction, increased the nucleation site of α-colony, and decreased the length and width of α laths as though interpass rolling. Interpass peening leads to an increase in yield/ultimate tensile strength without decrease elongation, resulting decrease in anisotropy of the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