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부유층의 기부 수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변은지(Byun An Gie),이종은(Lee Jong Eun),이경은(Lee Kyoung Eun) 한국비영리학회 2008 한국비영리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울?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부유층 128명을 대상으로 부유층의 기부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 특히 기부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개인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환경적 요인으로는 모임/종교단체를 통해 기부할 경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책임성 인지여부(-), 경제적 안정도 수준(+), 노력으로 이룬 재산(+), 시간기부경험여부(+), 현물기부경험여부(+) 등이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타 성별(-), 종교여부(+), 연평균소득(+)이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부자의 역량, 기부자의 경험, 기부자 접근, 기부자 관리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eterminants of charitable giving of the wealthy in Korea. Sample of the 128 wealthy were gathered by using snowball sampling and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to predict the factors.<BR>  Results show that communities of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giving goods(+), giving time(+), stability of discretionary resources(+), proportion of non inherit property(+), sex(-), religion(+), income(+) have significant effects to the degree of giving amount.<BR>  Based on investigations on giving behaviors and processes of donors and prospects, this study discusses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he fundraising skills for the wealthy in Korea.<BR>  This study suggests the new strategies to deal with the following needs more effectively for accomplishing newly emergent goal in Korea: the need for utilizing various giving options: utilizing individualized development strategies and providing customized benefits; the need for building philanthropic leading environments: the focus on donor trust and cause fundraising; the need of upgrading & nurturing (potential) wealthy donors and giving culture in Korea.

      • KCI등재

        기부영역 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 사회복지영역과 비사회복지영역 및 비기부 집단의 비교

        강철희 ( Chul Hee Kang ),변은지 ( An Gie Byun ),구지윤 ( Ji Youn Ku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1

        본 연구는 나눔문화 확산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주제인 일반시민의 기부영역 선택행동을 탐색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 재단 기부문화연구소가 격년으로 전국민을 대상(시민 1,016명)으로 실시하고 있는 조사 자료 『Giving Korea』2008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기부선택 분야를 대상 영역 중심의 네 범주(사회복지영역 비사회복지영역-사회복지 및 비사회복지영역 모두·비기부)로 구분하여 기부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해 보았다. 기부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사회·행동적 요인(사회기관에 대한 신뢰, 나눔사회화, 자원봉사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서는 다항로짓회귀분석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을 사용하였다. 우도비 검증 결과, 심리사회·행동적 요인 중 사회기관에 대한 신뢰와 나눔사 회화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종교(개신교), 연평균가구소득, 직업(자영업과 화이트칼라)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사회·행동적 요인 중 자원봉사활동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제한적인 수준 (marginal level)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전까지 발표된 기부참여 여부 혹은 기부 노력 수준 등에 관한 분석을 넘어 국내에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인 기부자의 기부영역 선택에 관심을 두고 선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관련하여 실증적으로 새롭게 탐색했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영역에 집중하는 기부자들의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 기관의 자원개발과정에서 중요한 표적 인구집단이 될 수 있는 이들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oice behavior of Korean citizens on giving target areas, which is an interesting topic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giving culture. Using Giving Korea 2008 data constructed from the biennial survey of the entire nation(1,016 citizens) by the Beautiful Foundation, this study classifies giving areas into four categories (only social welfare area, only non-social welfare area, comprehensive giving- giving to both areas, non-giving) and analyzes factors influencing their choice in giving. It examines the effects of citizens` 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education, relig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household income) and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trust toward social institutions, socialization of giving, volunteering experience). For the analysis, this study employs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likelihood ratio test shows that trust toward social institutions and socialization of giving among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hoice behavior in selecting an giving area. Among demographic factors, age, marital status, religion(protestant), household income, occupation (self-employed and white colla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itizens` choice behavior. Volunteering experience in socio-psychological behavioral factors shows statistical significance at a marginal level. It is a first study on citizens`` choice behavior related to giving areas; it guides a new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choice behavior on the target areas of giving. It also has a practical implication in guiding fund-raising strategi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identifying attributes of donors concentrating on social welfare area. It broadens and promotes the understanding regarding such donor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whom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hould continuously care for and cultivate.

      • KCI등재

        한국 개신교인의 자원봉사영역 선택행동 영향요인 탐색

        정상원(Jong Sang won),변은지(Byun An gi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개신교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자원봉사영역 선택행동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종교를 가진 시민들의 봉사영역 선택 행동에 초점을 두면서 봉사영역을 세 가지로 나누고 ‘종교봉사만 참여’, ‘사회봉사만 참여’, ‘종교봉사와 사회봉사 모두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다항로짓회귀분석모형 (multinomial logit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서울·경기지역의 개신교 교회 38곳에 소속된 1,294명의 개신교인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원봉사 참여 및 자원봉사 영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세 가지 이론 즉 사회적자원이론(social resource theory), 행위설정이론(behavior setting theory), 그리고 집단자원봉사이론(group volunteer theory)을 적용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비봉사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분석한 결과, 종교봉사만 참여하는 집단의 경우 개인의 믿음, 교회 출석, 교회내 관계망이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소속교회의 크기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사회봉사만 참여하는 집단의 경우는 개인의 믿음, 교회내·외의 관계망, 그리고 교회 정기간행물의 사회봉사 정보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종교봉사와 사회봉사 모두 참여하는 집단 역시 개인의 믿음, 교회출석, 교회내 관계망이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소속교회의 나눔에 대한 설교와 감리교 소속이 두 가지 봉사 모두에 참여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종교봉사나 사회봉사 한 가지 봉사만 참여하는 집단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부터 유의한 영향이 없었던 반면 종교봉사와 사회봉사 모두에 참여하는 집단은 연령, 직업, 어린자녀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수도권 지역 개신교 교인에 국한되어 종교와 시민참여활동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으나 그간 한국사회에서 드물게 시도된 종교인구의 자원봉사 참여와 자원봉사영역선택행동의 기제를 밝히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로서 함의를 갖는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종교기관의 역할과 자원봉사 동기화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volunteering behavior among Christians which is an interesting topic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civic engagement. Particularly, this paper explores determinants of different areas of volunteering: religious only volunteering, secular only volunteering, both religious and secular volunteering, and non-volunteering. For the analysis, this study employs a multinomial logit model.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294 respondents from 38 churche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To understand what factors affect volunteering participation and the pattern of volunteering behavior to choose the volunteering area, this study employs three theories: social resource theory(hama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variables), behavior setting theory(church size), group volunteer theory(denomination, sermon, and bulletin). The result of likelihood test shows that with the non-volunteer group as a reference, the importance of faith, church attendance and in-church network size has a positive effect on religious volunteering but church size has a negative effect. The secular volunteering is affected by the importance of faith, in-church and out-of-church network size and frequency of volunteering information on the church periodicals. Both religious and secular volunteering is positively affected by age, in-church network size, importance of faith, church attendance, Methodist denomination, and frequency of sermon but negatively affected by employment, children, and church size. This study guides a new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on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and the areas they involved in. It broadens and promotes understanding regarding such volunteer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whose religious organizations should continuously care for and cultivate. It also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guiding the volunteer mobiliz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 KCI등재

        비영리조직의 마케팅 활동과 브랜드 자산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이동영(Lee Dong-Young),변은지(Byun An-gie)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2

        본 연구는 마케팅적 관점의 브랜드 자산 개념을 비영리조직인 자선모금기관의 기부시장에 적용하여 마케팅 활동과 브랜드 자산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자선모금기관에서 차별화된 가치창출, 전략적 포지셔닝, 그리고 지속적 기부관계 유지를 위한 마케팅 활동에의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 조사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SEM)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마케팅 믹스 중 촉진은 브랜드 인지와 연상/이미지에, 절차는 인지된 품질, 브랜드 연상/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중에서는 브랜드 연상/이미지가 유일하게 브랜드 자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부상품의 특성과 현재 우리나라 기부시장의 발달특성이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자선모금기관은 고객이 인지하는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고 긍정적 브랜드 연상/이미지 구축을 위한 신뢰증진적 촉진전략과 접근용이한 절차개발에 보다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ing activities and brand equity in nonprofit organizations, specifically investigating the relational linkage between four selected marketing mix elements and brand equity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brand equity dimensions. Emplo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empirically tests research hypotheses and finds some important implication for brand equity creation strategies for nonprofits. The results show that brand association is the only dimension that is positively related to brand equity, reflecting the current donation market in Korea where nonprofits have such a low presence that donors have little knowledge and chance to identify their brands and to build trust relationships with them. Furthermore,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and roles of promotion and process marketing efforts, as they are proved to enhance brand association. The study also finds that promo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brand awareness and process contributes to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 that nonprofits make further efforts on active promotion and process development to create positive, differentiated images and better accessibility, and finally improve their brand eq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