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변은경,양현주,Byun, Eun Kyung,Yang, Hyun Joo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정신건강의 정도는 3.77±.98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정신건강은 자아탄력성(r=.450, p<.001), 인지적 정서조절전략(r=.408, p<.001)과는 정적상관관계를, 학업스트레스(r=-.469, p<.001)와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β=-.171, p=.001), 대학생활적응((β=.223, p<.001), 자아탄력성(β=.203, p<.001), 인지적 정서조절전략(β=.179, p=.001), 학업스트레스(β=-.193, p=.001)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8.4%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와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go resilienc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cademic stress on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data to increase mental health for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involved 299 nursing students in B city. The analyzed by th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In results of the study, the average of mental health was 3.77±.98. Mental heal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 resilience (r=.450, p<.001),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r=.408, p<.001),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stress (r=-.469, p<.001). Regression analysis showed 38.4% of variance in nursing student's the mental health can by experience of dating with age (β=-.171, p=.001), adjustment to college life (β=.223, p<.001), ego resilience (β=.203, p<.001),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β=.179, p=.001), academic stress (β=-.193, p=.001). The fallow-up survey about various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the mental health increasing program developing are required.

      • KCI등재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

        변은경 ( Eun Kyung Byun ),전성숙 ( Seong Sook Ju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1 정신간호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use mental health cent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88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in Busan and Kyungnam Provi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14.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quality of life was 11.3±1.70, and the mean empowerment score was 59.7±8.44.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were gender, age, residential status, number of support people, side-effects of drugs, service type, and empowerment. These factors explained 43.9%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 development and practice of program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 variety of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변은경(Byun, Eun-Kyun),장경오(Chang, Koung 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서 보육교사로 근무하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21.0을 이 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분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교 사효능감은 3.59±0.38점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연령(F=3.493, p=.016), 경력(F=5.654, p=.001), 직위(F=6.681, p<.001), 학급연령(F=2.759, p=.043), 자녀양육경험(t=5.269, p=.02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교사효능감은 자아존 중감과 순상관관계(r=.236, p<.001),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역상관관계(-.25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11.7%로 설명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반복연구를 통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중재들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gree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he factors influencing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teacher efficacy of those surveyed. A total of 280 childcare teacher in G do were surveyed. All of this data is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18.0.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work experience, position, class age, and child parenting experience. Regression analysis showed 11.7% of variance in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can by experience of dating with self-esteem and job stress. The fallow-up survey about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is needed and teacher efficacy increasing mediation way are required.

      • KCI등재후보

        최적가용기법 분석 및 연구사례조사: 반도체 업종 배출오염물질 저감을 목표로

        변은경(Eun-Kyung Byun),김수민(Soo-min Kim),이도연(Do-yeon Lee),김형일(Hyoung-il Kim) 유기성자원학회 2022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추계

        산업시설 내 배출시설 등 방지시설의 설계, 설치, 운영 및 관리에 관한 환경관리기법인 최적가용기법(BAT)은 오염물질 배출을 가장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기술적, 경제적으로 적용가능한 기법으로 최근 국내에서 도입하여 법령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국내외 반도체 업종의배출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오염물질 매체별 최적가용기법에 대해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반도체 업종은 고농도의 화학물질들이 오염물질로 배출되고 있고 그 매체 또한 다양하므로 기존의 단일공정처리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해 현재 국내 반도체 업종에서 사용하고 있는 최적가용기법은 대기오염물질은 전기히터식과 습식 기법인 POU Scrubber 혼합 사용 기법을, 수질오염물질은 응집침전처리법인 물리화학적처리 기법을, 그리고 폐기물오염물질에 대해서는 재이용-재활용 방법 또는 위탁처리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처리방식의 단점을 개선을 위해 연구된 매체별 오염물질 처리 기술의 경향에 대해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해당 연구를 통해, 현재 반도체 업종에서의 최적가용기법 활용 및 연구 현황을 살펴볼 수 있어 실제 산업 현장과연구 분야에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취업한 정신장애인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요인

        변은경 ( Eun Kyung Byun ),윤숙자 ( Suk Ja Yoo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0 정신간호학회지 Vol.19 No.4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degree of job stress for workers with mentally disabled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job stres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mployees with mental disabilities employed in job programs sponsored by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social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is study,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with stwctured questionnaires with 221 employe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IWIN 14.0.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ccording to type of employment and monthly-income. Multi-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ype of employment and social support affected job stres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ollowing should be emphasized: conditions of employment such as type of employment and social support should be improved to decrease job stress and help the employee to remain in the job.

      • KCI등재

        전문대학 학생의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변은경(Byun, Eun-Kyun),박성희(Park, Sung-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고,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 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B, C시의 전문대학 3개교에서 졸업을 앞둔 2학년 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문에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의 전공만족도와 우울 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취업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26.0%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문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전공만족과 취업에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이에 우울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Major satisfaction, employment stress, depression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for 196 Colleg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depression,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depression. The predicting factors for depression were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ress. Those factors accounted for 26.0% of depression. The fallow-up survey about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depression is needed and prevent depression program for developing depression are controled.

      • KCI등재후보
      • 간호여대생의 식이 자기효능감, 식사태도, 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변은경(Byun, Eun Kyung)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7 계명간호과학 Vol.2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female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depression. Methods: In this study, 212 female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 college in B city, Korea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etween June 9 and June 15,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The level of depression in female nursing students was 38.47±9.83. Models including the variable explained 12.7% of the variance for depression. Dietary attitude and stress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Conclusion: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will decrease the depression among female nursing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