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관절 관절경 검사 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변기용,이광진,김경천,김동규,김보건,Byun, Ki-Yong,Rhee, Kwang-Jin,Kim, Kyung-Cheon,Kim, Dong-Kyu,Kim, Bo-K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1

        목적: 슬관절 이상 시 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의 검사를 하지 않고,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 후 이상소견 발견 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여 초음파 검사 상 이상 소견과 실제 병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본원에서 슬관절 관절경 시술을 받았던 환자 중 류마티스 관절염 이나 패혈성 관절염과 인대 손상이 의심 되는 환자는 제외하고 시술 전 초음파 검사만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4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에서 이학적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와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 후 초음파 검사 상 이상소견이 있는 환자에 대해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고, 시술 전 자기공명영상 촬영 검사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관절경 검사 상 이상소견 발견 시에는 이에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시 전례에서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에 삼출액(effusion)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그 외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1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소견 16례, 낭종소견 2례였다. 관절경 검사 시 내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14례,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20례, 연골손상 15례였고, 내측 활액막 추벽 9례, 관절 내 유리체 2례, 연골 연화증 5례, 낭종 2례, 활액막염 2례였다. 초음파 검사상 슬개상 주머니에서 삼출액 소견이 있을 경우, 어떤 병변이든지 실제 슬관절 병변이 있을 확률은 100% 이었고, 초음파 검사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90.9%, 외측 반월상 연골판 이상 소견 시 실제 병변이 있을 확률은 81.2% 이며 낭종 소견은 100%에서 정확도가 있었다. 결론: 슬관절의 초음파 검사는 관절경 시술을 시행하기 전에 관절 내 병변 의심 시 시행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사료 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pathology & abnormal finding found by ultrasonography. Without an MRI test being done beforehand, an arthroscopy is done after an ultrasonography to show abnormal lesions during a knee abnormal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42 patients out of 49 cases, excluding those with rheumatoid arthritis, septic arthritis and patients suspected with a ligament tear, which were examined by ultrasonography alone before receiving a knee arthroscopy in our hospital from July 2007 to July 2008. In every case, a physical examination, simple X-ray and knee ultrasonography was done. An arthroscopy was performed when there was ultrasonographic abnormal finding. Before the procedure, a MRI test was not performed and when abnormal findings were found by an arthroscopy, an appropriate surgery was done. Results: During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re were various sized effusions in the suprapatellar pouch. Also, in addition there were eleven cases of medial meniscus abnormalities, sixteen cases of lateral meniscus abnormalities, and two cases of cystic lesions. Throughout the arthroscopic examination, there were 14 cases of medial meniscus abnormalities, 20 cases of lateral meniscus abnormalities, 15 cases of cartilage damages, 9 cases of medial pathologic plica, 2 cases of intra-articular loose bodies, 5 cases of chondromalacia, 2 cases of cyst, and 2 cases of synovitis. When an effusion abnormality was found by the ultrasonography in a suprapatellar pouch, there was a 100% probability of knee pathology. When a medial meniscus abnormality was found with an ultrasonography, there was a 90.9% probability of a real pathology. When a lateral meniscus abnormality was found there was 81.2% probability of a real pathology. Ultrasonography was 100% accurate when it came to cystic lesions. Conclusion: Knee ultrasonography performed before an arthroscopy seems to be a very useful examination method when suspecting intra-articular lesions.

      • 자가 슬개건과 동종 슬개건을 이용한 전십자인대의 재건의 비교

        변기용,이광진,신현대,이원석,Byun Ki-Yong,Rhee Kwang-Jin,Shin Hyun-Dae,Lee Won-Sok 대한관절경학회 199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 No.1

        We have studied the results of reconstruction by freeze-dried patellar allografts or patellar autografts in ACL-deficient patients prospectively.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5, we performed ACL reconstruction using an arthroscopic-assisted technique with patellar autografts in 21 patients and patellar allografts in 13 patients. Minimum followup time was 1 year(average 26 months). All patients were evaluated by using KT-2000 arthrometer and MRI as well as by physical examination. Final results were rated as satisfactory or unsatisfactory by using a modified Feagin knee scoring scale. Good or excellent were considered to have satisfactory results and fair or poor were considered to have unsatisfactory results. As measured by the KT-2000, 19 cases$(90.5\%)$ had a 5-mm or Jess side-to-side differential, a satisfactory results in autograft group, 2 cases of unsatisfactory results had joint instability. In allograft group, 10 cases$(76.9\%)$ had a 5-mm or less side-to-side differential, a satisfactory results, 3 cases of unsatisfactory results had joint instability including postoperative infection(1 cas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with autografts were better than those with allografts. The problem of allograft reconstruction were rehydration, aseptic control and improper mechanical tensioning. So, we thought that success of allograft reconstruction was depended on careful implant preparation including pretensioning technique.

      • 전방 십자 인대 봉합술의 수술적 치료 - 최소 4년 이상 추시 결과 -

        변기용,이광진,이석준,Byun, Ki-Yong,Rhee, Kwang-Jin,Lee, Suk-Joon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2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후 일차적 봉합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방 십자 인대 봉합수술을 받았던 25례를 대상으로 IKDC 평가표와 Lysholm score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 및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이완도를 평가하였다. 대상환자 중 18례에서는 pull-out suture를 시행하였으며, 7례에서는 박근 및 반건양근을 이용한 인대 강화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IKDC 분석 결과, 전체 환자중 3례에서 A군으로, 13례에서 B군으로, 9례에서 C군으로 평가되었다. Lysholm score는 평균 83점이었다.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인대 이완도 평가에서는 20lb에서 평균 전방 전위는 3.89mm이었으며, 30lb에서는 평균 7.3mm의 전방 전위를 보였다. 건측 무릎과 환측 무릎의 평균 전방전위도 차이는 20lb에서 1.09mm이었으며, 30lb에서 2.29mm이었고 건측과 환측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에 있어 IKDC라 Lysholm score는 재건술을 시행한 후 평가한 여타 보고에서의 결과보다 만족스럽지 못하며,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이완도 평가에서도 건측 무릎에 비해 많은 전방 전위를 보였던 바, 특히 젊고 활동성이 많은 환자에 있어서 인대 봉합술 보다는 재건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것으로 사료 된다. Purpose : To evaluate of the surgical outcome of primary repair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Material & Method : Twenty-five patients underwent arthroscopic primary repair of ACL. We performed pull-out suture of ruptured ligament in 18 cases, and suture and augumentation with gracillis & semitendinosus in 7 cases. At follow up, th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scale & Lysholm score were used to grade outcome, and also the KT-2000 arthrometer was used to evaluate objective ligament laxity. Results : In analysis of IKDC scale, final evaluation group were group A in 3 cases, group B in 13 cases, group C in 9 cases. The mean value of Lysholm score was 83 points. In KT-2000 arthrometer examination, mean anterior translation was 3.9mm at 201b, 7.3mm at 30lb. The mean difference value between injured knee and uninjured knee was 1.1mm at 201b, 2.29mm at 301b.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mean difference value between injured and uninjured knee. Conclusion : By analysis of clinical & objective data, we could confirm that the mid-term result of ACL suture is not satisfactory. So, we recommend that ACL reconstruction would be done in young active patient rather than suture.

      • KCI등재

        해외 고등교육 정책연구의 동향 분석: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변기용(Byun, Ki-Yong),이석열(Lee, Suk-Yeol),김수홍(Kim, Su-H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6

        본 연구는 고등교육과 관련된 주요 국제기구 및 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한 정책연구 보고서 분석을 통해 그 연구동향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보다 합리적이고 타당한 국내 고등교육 정책수립과 이를 위한 추가적 연구 필요영역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14개의 국제기구 및 해외 고등교육 연구기관에서 최근 10년간(2000~2009) 발간한 총 438편의 고등교육에 관한 정책연구 보고서를, 연구진이 고안한 새로운 분류기준에 따라 주제별․시기별․지역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의 고등교육 정책연구는 차별 없는 교육기회의 확보를 중심으로 교육소비자인 학생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고, 국제화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국경을 넘는 교육의 질 보장, 국가/비교연구에도 많은 관심을 쏟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전반적 동향은 시기별 각국 정부(혹은 국제기구)의 정책적 관심과, 지역별 특성에 따라서 보다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고등교육 정책연구의 경우에도 (1) 거시적․시스템적 효율성 제고 이슈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주제 영역에 걸쳐 연구가 체계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고, 아울러 (2) 현안 문제만이 아니라 폭넓고 장기적 시야를 가지고 미래에 쟁점이 될 수 있는 제반 이슈를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연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s aiming to analyze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2009 around th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and to draw some useful implications on future higher education policy making and research in Korea. To achieve this goal, 438 policy studies from 14 higher education research institut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topic, period, and reg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developed by the author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student related topics, in particular equity/access issue,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opic, followed by quality assurance for cross-border education. In addition, the reviews of national higher education systems and comparative policy studies also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context of growing importance of globalization. This overall trend, however, varied depending upon the regions, and study periods concerned in the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directions of the future Korean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put more focus on (1) institutional issues rather than system-level ones and also on (2) potential policy issues that may emerge in the future Korean society, not just limited to currently challenged issues.

      • KCI등재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이 본 박근혜 정부 대학구조개혁평가의 공과 분석과 향후 발전방향

        변기용(Byun Ki yong),변수연(Byoun Su Youn),이석열(Lee Suk yeol),송경오(Song Kyoung oh),라은종(Ra Eun j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에서 시행된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 발전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혼합연구 방식을 채택하여 2016년 6월 전국 195개 4년제 대학의 평가 관련 보직자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네 개 대학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두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였을 때 대학들은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목표와 시행방식, 평가 지표의 적절성과 타당성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소재지나 규모, 설립주체(국·사립) 등 대학의 기본 여건에 의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가 2017.3.9일 발표한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의 내용과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단기적, 중장기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rst-round institutional assessment for restructuring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ector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second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he case study, to identify what are the prerequisites of the success of the second-round assessment that is scheduled to start in 2018. By and large, administrators and staff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valuated negatively various features of the first-round assessment. The analysis of the four- college- cas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second-round assessment. Policy implications from a short-term as well as a long-term perspective were presented.

      • KCI등재

        Clark(1983)의 Triangle 모형을 적용한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 활성화 요인 분석: 미국, 유럽, 중국,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변기용 ( Ki Yong Byun ),전재은 ( Jae Eun Jon )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주요국의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의 현황과 이들 국가에서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이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된 이유를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현재 각국에 설치되어 있는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들은 그 특징과 발달정도가 상이하였는데, 이는 국가별로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이에맞는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온 결과로 생각된다. 아울러 흥미로운 것은 그동안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었던 미국 외에, 유럽, 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서도 최근 신공공관리주의에 바탕한 개혁의 확산에 따라 전문 행정가를 양성하기 위한 고등교육행정 전공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늘고 있다는 점이었는데,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의 분석틀로 채택한 Clark(1983)의 트라이앵글 모형은 이러한 발전 동향을 예측하는데 있어 상당한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1) 고등교육행정 관련 학위와 경력발전 경로의 연계성 강화; (2) 고등교육 연구소에 관련 전공 프로그램의 설치 및 사이버 과정의 도입; (3) 학문지향과 실무지향으로 차별화된 고등교육행정 전공 프로그램의 도입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Europe, China, and Japan to learn why such programs have or have not developed, depending on certain countries and regions. This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to consider in expanding and promoting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Korea. Findings show that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each country and region differ in many aspects, including governance structure, degrees offered, and program goals & target students. These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have resulted from their histories, where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have developed in response to different socioeconomic environments in each country.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th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has gradually increased where these programs have previously been little developed. Reform movements based on New Public Management have increased the need to educate administrator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ense, Clark(1983)`s triangle model has considerable explanatory potentials to predict future developments of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in Korea include (1)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academic degrees in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administrators` path for career advancement; (2) introducing higher education centers that also function as academic programs (e.g., educating students) and online-based courses in reference to examples from Japan; and (3) differentiation between academic-oriented and practice-oriented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on programs.

      • KCI등재

        고등교육의 학문적 성격과 지식기반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변기용(Byun, Ki-Y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등 선도국을 중심으로 학문으로서 고등교육의 개념과 제도화 과정, 그리고 그 학문적 성격과 지식기반을 탐색해 보는데 있다. 학문으로서의 고등교육은 지난 세기 전반에 걸쳐 급속히 발전해 왔으며 현재 미국 등 선도국가에서는 하나의 연구영역(a filed of study)으로서 비교적 명확한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다. 하지만 학문으로서의 고등교육의 성격에 대해서는 (1)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론의 부재, (2) 핵심지식 체계에 대한 경계(연구대상 및 범위)의 모호, (3) 고유한 연구방법론의 결여 등의 측면에서 그 동안 많은 논쟁이 제기된 바 있으며, 특히 핵심지 식체계가 모호하다는 점은 학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관련해서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 전공 커리큘럼 및 선행연구에 대한 주제 분석을 통해 학문으로서 고등교육을 구성하는 핵심적 지식기반이 무엇인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미국의 고등교육 전공 커리큘럼은 크게 9개의 내용 범주(분과학문 지식, 고등교육 이슈, 고등교육행정에 대한 이론과 기술, 특정영역 고등교육, 학생, 교육과정, 교수방법, 국제화 및 비교교육, 고등교육 연구방법)로, 국내외 고등교육 관련 선행연구들의 주제영역은 크게 13개의 내용범주(노동시장/자격, 연구/혁신, 형평성, 재정/경제, 인적자원, 행정/지배구조, 책무성/질 보장, 다양성/특정영역, 국제화/세계화, 교수학습/교육과정/ICT, 대학사/철학, 국가/비교연구, 기타)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결론으로서, 고등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을 높이기 위한 향후 과제와 우리나라에서의 발전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base of higher education as a field study and to draw some useful implications on developing higher education as a field of study in the Korean context. Although few people can claim that the study of higher education is a full-fledged academic discipline yet, it has emerged as an established sub-discipline or a field of scholarly study in some countries especially over the last couple of decades. However, there are still a lot of debates going on with regard to the academic identity of higher education as a field of study with a special focus on:(1) the absence of an identifiable core of knowledge about which scholars can agree; (2) few widely accepted body of theories that apply generally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3) no generally agreed-upon research methodology unique for the field. Among these, as the first one would be regarded as the most critical, the study conduct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by analysing the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U.S. universities and the themes of previous higher education research, to try to identify knowledge base of the study of higher education. The study concludes to suggest general prospects of the study of higher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in Korea.

      • KCI등재

        학부교육 우수대학의 특징과 성공요인: 5개 대학 사례연구

        변기용(BYUN Ki yong),이석열(LEE Suk Yeol),배상훈(BAE Sang Hoo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교육 우수대학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과 성공요인이 무엇인지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시행된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에서 높은 성과를 보인 5개 사립대학이다. 사례 대학별로 각종 문헌 분석과 함께 현장 방문을 실시하고, 총장을 비롯한 본부 보직자와 직원, 교수, 학생을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1) 구성원과 문화, (2) 학부교육 시행 및 지원체제, (3) 정책적ㆍ환경적 환경 등 3개 영역에서 10개의 특징과 성공요인을 학부교육 우수대학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순한 제도의 모방이 아니라 대학의 특징에 따른 창조적 모방, 장기적 관점에서의 지속적인 노력, 학부교육 체제 혁신을 위한 정부의 적절한 역할의 필요성 등을 학부교육 체제혁신을 위한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5 effective undergraduate teaching institutions in Korean Higher Education through multiple qualitative case studies. Five exemplary private universit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performance from 2011 to 2013 in Korean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mainly from interviews for institutional leaders, administrative and academic staff, and students at those five universities. The study found ten common characteristics and success factors of the five case universities with effective undergraduate programs, albeit different extent and pattern, which were presented as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University constituents and Culture, (2) The implementation and supporting system of undergraduate education, (3) Policyㆍ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as recommendations for other universities seeking to change their undergraduate programs, that (1) creative imitation of good practices of other universities taking into account a unique institutional context, (2) long-term and consistent efforts, (3) more considerate government approach to trigger individual universities efforts to reform their undergraduate education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