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량적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자동화도구 개발 연구

        곽송해(Kwoak Song Hae),박진철(Park Jin Cheol),양옥수(Yang Ok Su),변경미(Byun Kyung Mi) 한국IT서비스학회 2010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9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에서의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정의를 보면CMMI Level3 은 조직 표준 프로세스를 통한 프로젝트 지원이며 요구사항 관리, 측정관리, Inspection 관리 등의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요구 항목을 만족하는 수준이다. 반면 CMMI Level4 는 정량적 지표를 통해 프로젝트를 관리, 예측할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한다. 정량적 지표를 통해 프로젝트를 관리한다는 것은 그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반드시 시스템을 통해 관리할 수 밖에 없으며,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을 통해 어떻게 정량적 지표를 관리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CMMI Level3 의 수준 이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며, CMMI Level4 달성의 필수요건으로 예측정보를 위한 시스템 요건을 분석하고자 한다. 관리 효율성 측면에서 프로젝트 전체를 한번에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관리되고, 그 지표를 PMS(Project Management System)에서 자동 산정한다면, PMS 가 단순 공정관리를 위한 Burden System 이 아니라, PM 및 상위 관리자들에게 중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정량적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가장 상위의 의사결정 지표로는 진척지표와 생산성지표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 2 가지 지표를 어떻게 정량적으로 시스템화 하여 관리할 것인지, 이렇게 관리하였을 경우 실제 프로젝트 현장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