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콘텐츠 내부요인과 현지시장 외부요인을 활용한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 분석

        임몽로 ( Ren Meng-lu ),조혁수 ( Cho Hyuk-soo ),백설 ( Bai Xue ),번영 ( Fan Rong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중국소비자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종속변수(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관련 8개의 독립변수가 설정되었다. 이 중 내용 완성도, 유교적 전통요소, 현대적 감각, 출연자의 인지도는 내부적인 요인을 설명하고 있으며, 접근 용이성, 기술적 진보, 현지 정부 규제, 대중적 관심은 외부적 요인을 반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조절변수(문화적 근접성) 관련 영향력도 분석하였다.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중국소비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47개의 응답 자료가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내용 완성도, 현대적 감각, 출연자의 인지도, 기술적 진보, 대중적 관심이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정부 규제는 오히려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문화 근접성 관련 조절효과는 제한적으로만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with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environments. The case of Chinese consumers who enjoy Korean dramas was empirically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e set internal factors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such as performance quality, confucian value, modern style, and actor popularity. External factors including accessibility, technology advancement, government regulation, and isomorphism among consumers were determined. The eight variables are independent variables in terms of the dependent variabl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contents.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proximity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eight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Chinese consumers who enjoy Korean dramas. In specific, 447 responses were used to verify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found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empirically tested by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performance quality, modern style, and actor popularity did play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contents. Also, technology advancement and isomorphism among consumers may increase the consumption. Increasingly, unlike the hypothesis, government regulation can be positive to increase the consumption. Limited moderating effects could be supported by the empirical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