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적 창작춤 작품분석 방법론 연구

        백현순 ( Hyun Soon Baek ),백민경 ( Min Kyung Back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2

        본 연구는 서사적 창작춤 작품 분석 방법론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서사적 창작춤 작품을 분석할 때의 방법을 제시하여 춤 작품이 관객과의 소통을 쉽게 하고 춤 작품의 바른 이해를 통해 작품의 질적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문헌연구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는 춤의 길이(시간)와 상관없이 ``서사``(storytelling)가 있어야 한다. 둘째,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 들어 있는 이야기는 오늘의 이야기로 춤 작품의 내용으로 대치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으며, 이야기로 춤 작품을 구성함으로써 관객은 안무자가 무엇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이해하기가 쉽다. 셋째,서사적 창작춤 작품에 있어서 이야기를 해야 하는 이유는 이야기가 있는 춤 작품은 청중을 몰입시키고 춤의 내용전개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며 무엇보다 이야기의 재미에 몰입함으로써 춤 공연의 대중성을 획득하기가 쉽다. 넷째, 시드 필드의 패러다임 분석은 이야기의 극적 해결을 위한 치밀한 구조를 만들어 줄 수 있는 분석표로 서사적 창작춤 춤 작품에 적용되었을 경우 춤 작품을 적절한 시간으로 배분하여 지루함 없이 관객이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methodology of dance analysis, which helps promote dancers`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enhance qualificative effects of dance performance by facilitating an understanding of dance on the audience`s part. The methodology employed here is document research based upon a qualitative on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creative dance performance should have storytelling without regard to the duration or running time of the performance. Second, the narrative of creative dance is characterized by its plausibility, tapping into contemporary ideas and accordingly, it can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of the work. In brief, the narrative being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the audience finds it easy to figure out what the choreographer aims to convey through the dance work. Third, the storytelling of creative dance allows the audience to be immersed in the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y feel more interested in how the work will be deployed and it will thus lead to enhancing the popular appeal of the work. Eventually, the paradigm analysis of Syd Field is an analysis table which creates an elaborate, well-organized structure for a dramatic solution of a story. In case, this particular method is applied to dance performanc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divide the work into an appropriate time frame so that it might help the audience to appreciate the performance without getting bored.

      • KCI등재

        스토리맵(StoryMap) 형식의 한국무형문화재 춤 전자테마지도 구축 제안

        백현순 ( Baek Hyun-soon ),유지영 ( Yoo J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한국무형문화재 춤을 테마로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분석·목록화하여 구글맵(Google Map)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맵(StoryMap)형태의 전자문화지도 구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연구개발 현황을 검토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스토리맵과의 차별성을 확고히 하였다. 그리고 구조 설계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스토리맵 시스템 설계``, ``스토리맵 시스템 구성``, ``스토리맵 구현`` 의 단계별 구축방법을 설정한 후 실제 「진주검무」를 적용하여 샘플 콘텐츠를 재현하였다. 그리고 구축을 제안한 전자테마지도의 활용가치를 콘텐츠의 교육적 활용가치, 역사 및 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 학제 간 연구활동 사례로서의 가치, 무용학 콘텐츠의 새로운 아젠다(agenda) 제공으로서의 가치, R&D 연구사업의 한계 극복으로서의 가치, 한국문화의 우수성과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는 통로 역할로서의 가치로 제시함으로써 본 콘텐츠의 독창성을 밝혀내었다. This study takes the theme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asset dances, collects, analyzes, and categorizes relevant data, and aims to suggest making an electronic theme map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asset with a StoryMap format. For this, the stat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was reviewed to make sure the StoryMap to be developed will have distinction. Also, by applying study organization plan, a method of phased establishment was set up consisting of ``design of StoryMap system``, ``composition of StoryMap system``, ``reproduction of StoryMap``, and by actually applying 「Jinjugummoo」, sample contents were reproduced. Then by presenting the value of using the suggested electronic theme map as the value of educational use, the value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the value of a cas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value of offering the agenda of the contents of dance studies, the value of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R&D projects, and the value as the channel of letting the world know about the excellence and value of Korean culture, this study highlighted the originality of these contents.

      • KCI등재

        비원형 신선을 이용한 고강도-고연성 펄라이트 강선의 제조

        백현무(Hyun Moo Baek),황선광(Sun Kwang Hwang),주호선(Ho Seon Joo),임용택(Yong-Taek Im),손일헌(Il-Heon Son),배철민(Chul Min Bae)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8 No.7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고연성 펄라이트 강선을 제조하기 위하여 비원형 신선 공정을 적용하였다. 다단 비원형 신선 공정을 A와 B로 정의한 2 종류의 가공경로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2 패스까지 수행하였다. 비원형 신선 공정과의 비교를 위해서 기존의 원형 신선 공정을 수행하고 기계적 특성과 집합조직발달에 대해 비교를 수행하였다. 원형 신선 공정으로 제조된 강선은 10 패스에서부터 박리파괴가 관찰되었지만, 비원형 신선 가공경로 B의 경우는 12 패스에서도 박리파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X-선회절로부터 측정된 집합조직 결과에서 원형집합조직의 발달이 적은 것과 연관된다. 따라서, 다단 비원형 신선 공정을 통하여 기존의 신선 공정보다 박리파괴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킴으로써 높은 비틀림 연성을 갖는 고강도 펄라이트 강선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noncircular drawing (NCD) sequence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and high-ductility pearlitic steel wires was investigated. Multipass NCD was conducted up to the 12th pass at room temperature with two processing routes (defined as the NCDA and NCDB), and compared with the wire drawing (WD). During the torsion test, delamination fracture in the drawn wire was observed in the 10th pass of the WD whereas it was not observed until the 12th pass of the NCDB. From X-ray diffraction, the circular texture component tha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elamination fracture of the drawn wire was rarely observed in the NCDB. Thus, the improved ability of the multipass NCDB to manufacture high-strength pearlitic steel wires with high torsional ductility compared to the WD (by reducing the likelihood of delamination fracture) was demonstrated.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춤 지정의 흐름과 과제 -밀양아리랑 보존과 가치전망을 중심으로-

        백현순 ( Baek Hyun-soon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4

        2019년도는 한국무형문화재 춤 지정을 둘러싸고 무용계가 많이 혼란스러웠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무형문화재 춤도 시대에 맞게 제도적 변화를 꾀하여야 하지만 여전히 제도나 전승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을 지적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2019년 한국무형문화재 춤 지정을 둘러싸고 일어났던 문제가 무엇이었는지 짚어보았다. 그 후 이를 바탕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아리랑중 하나인 밀양아리랑의 문화재적 가치에 대해 전망해 보았다. 밀양아리랑은 강원도 정선아리랑과 전라도 진도아리랑과 함께 한국의 3대 아리랑으로 밀양이라는 지역성과 고유성 외에도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경상도 아리랑이지만 경상도식 ‘메나리조’와는 다르게 흥을 지니고 있으며 다른 지역의 아리랑과는 다르게 노래의 사연말 순서가 바뀌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의 후렴구가 ‘아리당닥쿵 쓰리당닥쿵’이었음을 밝히고 원형으로 보존하여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밀양아리랑에 적합한 밀양아리랑춤을 만들어 지역의 고유한 민속 콘텐츠로 활용하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In 2019, there was a lot of confusion in the dance world over the designation of dance as a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althoug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needs to be institution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system or method of transmission. And, from a macro perspective, we looked at the issues that arose around the designation of dance as a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2019. After that, based on this, we predicted the cultural value of Miryang Arirang, one of the Arirangs registered in UNESCO. Miryang Arirang is one of the three major Arirangs in Korea along with Jeongseon Arirang in Gangwon-do and Jindo Arirang in Jeolla-do. In addition to the locality and uniqueness of Miryang, it has a special structure. Although it is a Gyeongsang-do Arirang, it is different from the Gyeongsang-do style ‘Menarijo’, and unlike other Arirangs in other regions, the order of the words in the song is differ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f we make a Miryang Arirang dance suitable for Miryang Arirang and use it as a unique folk content for the region, it will be sufficiently successful.

      • KCI등재
      • TCP 흐름 제어 기술 동향

        백현철(Hyun-Chul Baek),손태근(Tae-Geun Son),현대환(Dae-Hwan Hyun),김민아(Min-A Kim),정대원(Dae-Won Chun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0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8 No.1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은 인터넷 트래픽을 전달하므로 인터넷 성능은 TCP가 얼마나 잘 작동하느냐에 따라서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특정 버전의 TCP 성능 특징은 TCP가 채택한 흐름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제안된 해결책들은 혼잡 붕괴 현상을 제거하는 기본적인 문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인터넷과 같은 공유 개념과 고도로 분산되고, 이질적인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은 단일 TCP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용량을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얼마나 잘 협력하는가에도 달려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혼잡 제어에 대한 다양한 방법과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기법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Since the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carries Internet traffic, the speed of the Internet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how well TCP performs. The characteristics of TCP performance is defined by the flow control algorithm adopted by TCP. The proposed solution is beginning with the basic problem of eliminating the phenomenon of congestion collapse and focusing on a variety of problems. It includes measures to make effective use of network resource available in various environments. Effective use of the network in a highly distributed and heterogeneous environment with shared concepts such as the internet depends on how well a single TCP-based application can utilize the network capacity. And also depends on how well the TCP collaborate with other applications that transmit data over the same network. This paper will explain the various methods of the congestion control, and techniques generally in use.

      • SCOPUSKCI등재
      • 종합토론 : Section of Humanities and Socialⅰ: ■ Speech 1: 한국 민속춤의 원류와 가치

        백현순 ( Hyun Soon Bae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민속춤의 원류를 찾아 그 춤 속에 들어있는 춤의 가치를 밝혀 보고자 한 것이다. 한국 민속춤의 원류는 고대 제천의식의 제의에서 비롯되었으며 민족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민족의 문화를 통징하는 상징적 가치, 정신적 가치, 춤의 바탕이 되는 창조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source of Korean folk dance and the value included in the dance. The Korean folk dance dates back to an ancient harvest ritual and the folk dance contains the symbolic, spiritual, and creativ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