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콩 가로줄노린재(Piezodorus hybneri)의 형태적 특징 및 온도별 발육특성

        백채훈,이건휘,최만영,서홍렬,김재덕,Park, Chae-Hoon,Lee, Geon-Hwi,Choi, Man-Young,Seo, Hong-Yi,Kim, Jae-D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4

        콩에 큰 피해를 주는 가로줄노린재의 형태적 특징 및 온도별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은 2줄씩 콩잎이나 꼬투리에 산란하고 원형에 가까우며, 암컷 성충의 체장은 9.8 mm, 수컷 성충은 8.7mm로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크다. 부화율은 20, 25, 30 및 $35^{\circ}C$에서 $81.2{\sim}93.2%$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으며, 알의 평균발육기간은 20, 25, 30 및 $35^{\circ}C$에서 각각 10.7, 5.0, 4.0 및 3.0일이다. $25^{\circ}C$에서 1령, 2령, 3령, 4령 및 5령 약충의 평균발육기간은 각각 3.2, 3.4, 3.4, 3.3 및 5.9일로 온도가 증가 할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졌다. 각 태별 발육영점은도와 유효적산온도는 알은 $13.3^{\circ}C$와 65.5일도, 약충은 $9.9^{\circ}C$와 322.8일도, 알에서 약충까지는 10.7^{\circ}C$와 386.4일도였다. $25^{\circ}C$에서 산란전기간은 10.0일, 성충수명은 암컷이 52.5일, 수컷이 38.2일로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수명이 길었으며, 이때 성충 한 마리의 총 산란수는 496개였고, 난괴수는 21.5개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Piezodorus hybneri on soybean. The unibanded stink bug, Piezodorus hybneri, is a serious insect pest in soybean fields giving damage to seeds in pod and leaves of soybean lowering both quality and yield. Eggs were spherical and laid in two raws on the leaves and pods of soybean plants. Body lengths of females and males were 9.8 mm and 8.7 mm, respectively. Egg hatch rates were better in higher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examined temperatures, which ranged in $81.2{sim}93.2%$.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s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30 and $35^{\circ}C$ were 10.7, 5.0, 4.0, and 3.0 days, respectively. Mean developmental periods of 1st, 2nd, 3rd, 4th and 5th nymphs at $25^{\circ}C$ were 3.2, 3.4, 3.4, 3.3 and 5.9 days, respectively. Development threshold and effective accumulative temperature were $13.3^{\circ}C$ and 65.5 DD (day degree) for egg stage, $9.9^{\circ}C$ and 322.8 DD for nymph stage, $10.7^{\circ}C$ and 386.4 DD from egg to adult, respectively. Oviposition began from 10 days after emergence at $25^{\circ}C$, and the longevity of female and male were 52.5 and 38.2 days, respectively. Total number of eggs and egg masses laid by a female at $25^{\circ}C$ were 496 and 21.3, respectively, The longevity of adult female was shorten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hereas the total numbers of eggs laid by a female were decreased.

      • KCI등재

        퉁퉁마디뿔나방 월동 서식처와 발생동태

        백채훈,이건휘,최만영,노태환,심형권,Paik, Chae-Hoon,Lee, Geon-Hwi,Choi, Man-Young,Noh, Tae-Hwan,Shim, Hyeong-K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2

        퉁퉁마디 재배지에서 퉁퉁마디뿔나방 월동유충의 이동시기 및 서식처를 전북 김제와 전남 신안에서 조사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유충은 9월 중순부터 퉁퉁마디 보다 주변에 있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과 같은 염생식물에서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 염생식물 내부에서 노령유충으로 월동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월동충의 밀도비율은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각각 20.5, 28.4 및 51.1%로 해홍나물에서 월동하는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월동 후 성충 첫발생시기는 전북 김제지역과 전남 신안지역 모두 4월 19일부터 20일 사이였다. The moving period and overwinteing site of Scrobipalpa salinella (Zeller) were investigated in Gimje, Jeonbuk, and Shinan, Jeonnam in the glasswort field. Densities of Scrobipalpa salinella larvae were started to increase from mid-September in halophytes, such as Suaeda asparagoides, S. japonica, and S. maritima, rather than glasswort. S. salinella was overwintering inside the halophytes in old larva. Density ratio of overwintering S. salinella in Suaeda asparagoides, S. japonica, and S. maritima were 20.5, 28.4 and 51.1%, respectively. Overwintering population was highest in S. maritima among halophytes. The occurrence of first adult in the next spring was from April 19 to April 20 in Gimje, Jeonbuk, and Shinan, Jeonnam.

      • KCI등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난기생봉 2종에 관한 보고

        백채훈,이건휘,최만영,서홍렬,김두호,나승용,박정규,Paik, Chae-Hoon,Lee, Geon-Hwi,Choi, Man-Young,Seo, Hong-Yul,Kim, Doo-Ho,La, Seung-Yong,Park, Chung-Gy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2

        콩의 주요 해충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에서 우화하는 난기생봉을 분류한 결과 Gryon japonicum (신칭 : 노린재검정알벌)과 Ooencyrtus nezarae (신칭 : 노린재깡충좀벌)로 동정되었는데, 전자는 국내 미기록 종이다. 두 종의 분류학적 위치, 형태 및 생물학적 특정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에 대한 기생율을 보고한다. Two hymenopteran egg parasitoid species, Gryon japonicum (Ashmead) (Scelionidae) and Ooencyrtus nezarae Ishii (Encyrtidae), were emerged from eggs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The former parasitoid is first recorded in Korea. Brief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rasitism on R. clavatus eggs are described.

      • KCI등재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발육,성충수명 및 산란에 미치는 먹이의 영향

        백채훈,황창연,이건휘,김두호,최만영,나승용,김상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0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2 No.1

        27$^{\circ}C$ 항온조건(60-70% RH, 16L : 8D)에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2령유충,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1-2령 약충,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난을 먹이충으로 공급하였을 때, 애꽃노린재의 발육, 생존율, 성충수명과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암/수별 약충의 발육기간은 각각 12.2/12.8, 13.0/13.2, 17.9/17.8일로, 꽃노랑총채벌레 2령 유충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경우 가장 짧았다. 애꽃노린재 약충 기간동안 생존율은 각각 96.4, 78.4, 73.8%3-꽃노랑총채벌레 2령 유충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경우 가장 높았다. 암/수의 성충수명은 각각 55.9/51.0, 30.2/30.8, 25.8/ 25.1일로 꽃노랑총채벌레의 2령을 먹이로 공급하였을 경우 가장 길었으며, 암컷 성충의 일일산란 수는 각각 5.6, 4.1및 1.9개였다. 꽃노랑총채벌레를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 애꽃노린재는 우화 후 3-4일 경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20-40일 사이에 가장 많이 산란하였고, 일일평균 최대산란수는 7-8 개였다. Anthocorid bugs (Orius spp.) are known as polyphagous predators preying on thrips, aphids, mites, eggs of small insects and whitefl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ym-phal development, survival rate, longevity of Orius sauteri adult and oviposition, when nymphs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cotton aphid (Aphis gossypii), and eggs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itcae) were fed as diets. Nymphal development of female/male O. sauferi fed with F. occidentalis, A. gossypii and T urticae took 12.2/12.8, 13.0/l3.2, and 17.9/17.8 days at 27$^{\circ}C$, respectively, Survival rates during nymphal development were 96.4, 78.4, 73.8%, longevity of female/male adults were 55.9/51.0, 30.2/30.8, and 25.8/25.1 days, and daily oviposition were 5.6, 4.1, and 1.9 eggs, respectively. Oviposition of O. sauteri fed with F. occidentalis usually began 3-4 days after emergence at 27$^{\circ}C$, and reached at its peak of 7-8 eggs female day 20-40 days after emergence.

      • 최근 벼 주요해충 발생양상 및 피해

        백채훈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벼를 가해하는 국내 해충은 약 14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해충은 지역에 따라 혹은 해에 따라 발생량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 지역 내에서 방제가 필요한 해충은 20여 종에 불과하다. 최근 기후변화, 벼 품종 및 작부체계의 변화 등 농업생태계 변화에 따라 벼 해충의 발생양상과 피해가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해충이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과 벼 노린재(Rice stink bug) 이다. 최근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이화명나방의 발생량 및 피해가 점증되고 있고, 유충의 발생밀도가 높고 피해경률이 높아 수량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피해가 심한 포장은 줄기 당 10∼15마리의 유충이 발생하였고, 피해경률이 10∼20% 까지 피해가 심하였다. 2화기 유충의 피해유형도 변화되고 있다. 지금까지 2화기 피해는 백수현상으로만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는 백수현상 보다는 벼 줄기에 구멍을 뚫고 다니면서 줄기 내부를 먹어 태풍이나 바람에 의해 줄기가 부러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멀리서 보면 마치 벼멸구에 의한 집단고사(hopperburn) 현상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화명나방의 발생최성기가 빨라지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1화기 성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상순이었지만 최근에는 5월 하순으로 약 10일 정도 빨라지고 있고, 더불어 2화기 성충의 발생최성기도 8월 중순에서 상순으로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빨라지고 있다. 또한 벼 품종의 다양성과 추석 전 조기수확을 위한 벼 이앙시기의 변화에 따라 노린재의 발생 및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벼 노린재는 논 주변의 잡초에서 서식하다 벼의 출수기에 맞추어 이동한다. 일부 농가에서 추석 전 조기수확을 위해 경제성이 높은 찰벼를 조기이앙 재배로 인해 노린재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찰벼 재배지역에 발생하는 주요 노린재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Cletus punctiger) 등 12종이고, 피해증상으로 반점미가 발생하였다.

      • 농업기술 - 벼 이화명나방 피해양상과 관리요령

        백채훈,Baek, Chae-Hun 전국농업기술자협회 2012 농업기술회보 Vol.49 No.3

        최근 벼 재배지역의 일부 품종에서 이화명나방에 의한 피해양상 및 피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발생량과 피해가 적었던 이화명나방이 벼 품종 및 재배환경의 변화로 일부지역에서 발생량 및 피해가 많아 문제해충으로 대두되고 있어 각별한 관리대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벼 시골가시허리노린재, 우리가시허리노린재의 온도별 발육 및 산란반응

        백채훈,최만영,서홍렬,김재덕,Paik, Chae-Hoon,Choi, Man-Young,Seo, Hong-Yul,Kim, Jae-D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휴경지 인근 벼에 발생하여 반점미를 유발하는 등 미질에 영향을 주는 시골가시허리노린재와 우리가시허리노린재의 생물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와 우리가시허리노린재 알의 부화율은 20, 25 및 $30^{\circ}C$에서 각각 80.6/88.0, 91.7/96.3 및 96.4/96.2%이며, 평균발육기간은 각각 16.4/18.4, 9.4/10.2 및 6.4/7.3일이었다. 약충의 발육기간은 $30^{\circ}C$에서 1령, 2령, 3령, 4령 및 5령이 각각 평균 2.1/2.0, 3.5/4.0, 3.3/5.6, 3.2/4.8 및 5.8/6.9일이었으며, 시골가시허리노린재가 우리가시허리노린재에 비하여 약충의 발육기간이 짧았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의 산란전기간은 $25^{\circ}C$에서 8.1일, 성충수명은 암컷이 120.0일, 수컷이 117.3일로 약 4개월 정도였고,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수명이 약간 길었다. 성충 한 마리의 총 산란수는 245.5개였고, 일일 산란수는 평균 2.2개였다. 시골가시허리노린재는 산란기간 중 여러 번 교미하며, 교미한 후 90일이 경과한 뒤 산란된 알의 부화율은 수컷과 같이 넣어둔 경우에는 92.1%였으나, 30일 동안 수컷을 넣어주지 않은 경우에는 9.6%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두 종의 형태적 특징을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기술하였다. The two species of rice bugs causing pecky rice, Cletus punctiger and Cletus schmidti are often observed coexisting in the rice fields of nearby fallow land. Direct feeding damage to rice by C. punctiger and C. schmidti can lead to a reduction in grain quality and quantity.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C. punctiger and C. schmidti at various constant temperatures ranging from 20 to $30^{\circ}C$, 65% RH, and a photoperiod of 16L:8D. Egg hatchability of C. punctiger/C. schmidti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and $30^{\circ}C$ were 80.6/88.0, 91.7/96.3, 96.4/96.2%, respectively.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s of C. punctiger/C. schmidti at the temperatures of 20, 25, and $30^{\circ}C$ were 16.4/18.4, 9.4/10.2 and 6.4/7.3 days, respectively. Mean developmental periods of 1 st, 2nd, 3rd, 4th and 5th nymphs of C. punctiger/c. schmidti at $30^{\circ}C$ were 2.1/2.0, 3.5/4.0, 3.3/5.6, 3.2/4.8 and 5.8/6.9 days, respectively. Oviposition began 8.1 days after emergence at $25^{\circ}C$, and the longevity of female and male were 120.0 and 117.3 days, respectively. Total number of eggs through the life of female were 245.5 laying 2.2 eggs a day in average at $25^{\circ}C$. The development periods of egg and nymphs of C. punctiger were relatively shorter than those of C. schmidti. Availability of male had affected the egg hatchability greatly that laid at 30th day after 60 days period of oviposition in the presence of adult male of C. punctiger. The fertile eggs laid by the female together with male was 92.1% but those without male was only 9.6%.

      • SCOPUSKCI등재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 차응애에 대한 Flufenoxuron의 선택 독성

        백채훈,김상수 한국곤충학회 1996 Entomological Research Vol.26 No.1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 차응애에 대하여 flufenoxuron의 독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농도별로 침적한 leaf disc에 각 응애 종의 자성충과 난을 접종하여 시험한 결과, flufenoxuron은 점박이응애와 차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하여도 생존율에 별 영향을 받지 않아 12.5~100 ppm에서 88~96%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도 처리 농도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모든 처리 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 유.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유.약충의 생존율은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12.5~100 ppm에서 44~92%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중독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생존율, 산란수와 차세대의 성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농도라 할 수 있는 12.5~25 ppm에서의 flufenoxuron은 점박이응애나 차응애의 종합관리에서 긴털이리응애와 식식성응애류의 밀도비율 조절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lative toxicity of flufenoxuron to the predatory mite, Ambiyseius womersleyi and the spider mites, Tetranychus urticae and T. kanzawai was evaluated. Adult females and eggs of three species were placed on bean leaf discs dipped in several concentrations of flufenoxuron. Flufenoxuron was much less toxic to A. womersleyi than to the spider mites. At concentrations of 12.5∼100 ppm, flufenoxur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urvival of A. womersleyi. At the above concentrations, 88∼96% of adult female predators remained alive, Moreover, reproduction was not significantly reduced at any of the concentrations tested. Flufenoxuron did not affect the hatch of A. womersleyi eggs or the development of surviving immature predators. Survival of immature predators decreased with increasing flufenoxuron concentration. However, 44∼92% of immature predators reached adulthood at 12.5∼100 ppm. Adult female predators survived on a diet of twos-potted spider mites intoxicated with flufenoxuron, and their fecundity and the sex-ratio of the progen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Flufenoxuron at selective sublethal concentrations (12.5∼25 ppm) could be of value in adjusting predator/prey ratio in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spider mites.

      • KCI등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노린재검정알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백채훈,강석민,전용균,이건휘,최만영,오영진,박정규,황창연,Paik, Chae-Hoon,Kang, Seok-Min,Jeon, Yong-Kyun,Lee, Geon-Hwi,Choi, Man-Young,Oh, Young-Jin,Park, Chung-Gyoo,Hwang, Chang-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1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이 노린재검정알벌에 대하여 kairomone 으로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린재검정알벌의 기생률은 페로몬 트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알의 위치가 0에서 15 m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였고, 노린재검정알벌의 유인거리는 약 15 m였다. 콩 포장조건에서 노린재검정알벌의 밀도는 8월 하순과 9월 상순에 최대 발생시기를 보였고, 페로몬 트랩 설치수를 $165\;m^2$ 당 1개에서 3개로 증가함에 따라 기생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약제처리구에서 기생률이 비교적 매우 낮았다. 노린재검정알벌의 포장밀도에 대한 성비조사에서 암컷이 더 많이 유인되었다. The kairomonal activity of the aggregation pheromones of Riptortus clavatus for the egg parasitoid, Gryon japonicum, were investigated in soybean field. The parasitism rate of G. japonicum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distances between pheromone traps and egg sites were increased from 0 to 15 m. The active distance of pheromone source for parasitoid attraction was estimated to be ca. 15 m. Under field conditions, the parasitoid wasp population peaked during the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and the parasitism rate increased when the number of pheromone traps was increased from one to three per $165\;m^2$. However, insecticide-treated plots, the level of parasitism recorded is relatively low. Sex ratios in field populations of G. japonicum were female-bi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