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령층 및 저소득층을 위한 마을개선 디자인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을 배경으로-

        변승희(주저자) ( Seung Hee Byun ),백지원(주저자) ( Ji Won Baik ),안시현(주저자) ( Si Hyun Ahn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빠른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고령층 인구와 저소득층 인구가 밀집한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한 ‘장수 마을’을 환경 디자인적 관점으로 Redesign을 하고, 마을 자체의 브랜드를 구축하는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은 2015년 3월 ~ 6월 15주간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공간환경스튜디오VII>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이로서 10개 팀 중 1개팀의 작업물을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는 방문객과 마을 거주민이 즐거운 공생을 할 수 있는 환경 재건을 목표로 하였다. 저소득층 인구 비율이 많은 마을의 자립을 위해 필요한 시설들을 제안하였으며, 방문객 역시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 환경 개선을 제안하였다. 또한 마을 로고와 로고타입, 색을 제작하여 마을자체 브랜드를 제안해주었다. 이는 아이디어와 디자인, 마케팅이 융합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고령층과 저소득층을 위한 마을 환경개선 디자인 매뉴얼 개발에 있어서 그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Longevity Village’ located in Samseon-Dong, Seongbuk-gu, Seoul Metropolitan City, which was created by redesigning an area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ow-income families and the elderly population from the environmental design perspective, because a rapidly increasing aging population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issue as Korea is entering an era of aging socie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ts own brand ‘Longevity Villag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5 weeks from March to June 2015 as an assignment of the <Space Environment Studio VII> subject for students of Environmental Design Dept.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study consists of a summary of the assignment of one team selected among 10 teams. This study amis to present a way of refurbish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ymbiosis between visitors and village residents. This study proposed facilities necessary to help the village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ow-income families to become self-reliant, in addition to environmental renovation methods to make the facilities also accessible to visitors. It also suggested the village’s brand by producing village logos, logo types and colors. These are the results of ideas, designs and marketing. Lastly, this study hope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when developing a design manual for village renovation for the elderly citizens and low-income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