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갤러리 포차(Gallery POCHA)"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표현 -디자인과 마케팅 융합을 중심으로-

        백지원(주저자) ( Ji Won Baek ),변승희(주저자) ( Seung Hee Byun ),안시현(주저자) ( Si Hyun An ),이경희(주저자) ( Kyung Hee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이미연(공동저자) ( Mi Yeon Lee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4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9 No.-

        본 연구는 차별화되고 젊은 세대를 겨냥한 이색 갤러리 ``갤러리포차(gallery pocha)``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4년 3윌 ~ 6윌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이로서 6개 팀 중 1개 팀의 작업 물을 정리한 것이다. 연구 범위는 4개(物, 事, 人, 場) 의 주제 중 事의 ‘문화공간``으로 한정한다. 연구 결과, 갤러리포차는 20대의 감성적이고 외향적인 젊은 남녀를 타겟으로 마케팅과 디자인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갤러리 자체 상품 개발 및 판매, 통합브랜드를 구축을 하였다. 특히, 브랜드 네이밍에서부터 로고, 심볼, 현수막 등의 그래픽 디자인과 쇼핑백, 기념품 등의 프로덕트 디자인까지 디자인과 마케팅을 모두 고려하여 ‘갤러리포차’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있어서 일관성과 객관성을 띄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갤러리포차’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함에 있어서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하여 좀 더 체계화된 G·I, P·I의 통합 브랜드 매뉴얼을 만든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이와 관련된 통합브랜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icate a series of process to develop ``Gallery Pocha`` brand identity for the unique and differentiated gallery targeting young genera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compilation of the work of a team among sx teams from their course products in the ``Brand Space Marketing`` course in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hich was provided for 15 weeks between March and June, 2014.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cultural space`` of Work among four themes (Thing, Work, Person, and Place). As a result, ``Gallery Pocha`` was developed as an Integrative brand for the gallery targeting emotionally rich and extrovert you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 and conducting its own product development and sales by incorporating both marketing and design aspects. In particular, ``Gallery Pocha`` brand identity maintained consistency and objectivity by taking into account markeing as well as design ranging from brand naming, to graphic designs such as logos, symbols, and banners, to product designs such as shopping bags and souvenirs.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reating the more systematic brand manual that integrates graphic identity and product identity by converging design and marketing in the development of the gallery brand identity.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inform the development of other relevant integrative brand designs in the future.

      • 친환경 지식 함양을 위한 아트 전시 디자인 작품 연구 -5R림(5R林); 5R을 알려 숲을 이루다-

        권지민(주저자) ( Ji Min Kwon ),백지원(주저자) ( Ji Won Baek ),정희경(주저자) ( Hee Kyung Jung ),허나윤(주저자) ( Na Yun Heo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6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서울시 녹색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시작되었으며, 친환경을 실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시민들에게 생소한 5R(Recycling, Refill, Reform, Rental, Reusing)에 대한 계몽의식 전달과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환경보존의 의식을 함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친환경 전시 박람회에서 이루어지는 일방향적인 전시관람방식의 틀에서 벗어나 ‘관람자의 참여’와 ‘예술’을 접하여 정보전달 전시의 효과적인 디자인을 연구,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기본적인 공간의 조닝(zoning)과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전시 아이덴티티(exhibition identity)를 구축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시각적 결과물로 나타낸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시를 관람한 관람객들에게 오늘날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써 5R운동의 실천을 제시하여 사람들의 참여를 통한 환경개선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서울시의 ‘녹색성장’이라는 또 다른 이미지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is initiated to set up the foundation for the green growth of Seoul and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consc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of Seoul based on 5Rs (Recycling, Refill, Reform, Rental, Reusing) new to citizens as a way of implementing eco-friendly lifestyle.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researching and proposing the effective design of the exhibition with the information delivery by combining ``Gallery participation`` and ``Art`` beyond the unidirectional exhibition visiting in the existing eco-exhibition. The study expressed a series of process forming the basic space zoning, storytelling and exhibition identity as the visual output. The study leads visitors to have the consciousness on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proposes 5R movement as a solution, cause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by the participation and builds another image of ``Green growth`` of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