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中國內 高句麗山城의 發掘 現況과 主要 遺構·遺物의 檢討

        백종오(Baek Jong-Oh)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3

        본고에서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활발히 진행된 중국내 고구려산성의 발굴 현황과 주요 유구·유물을 정리해 보았다. 이 기간 동안 고구려 산성은 모두 15개소가 발굴조사되거나, 현재 진행 중에 있다. 이 중 발굴보고서나 間報 등을 통해 알려진 유적 10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고구려 산성의 발굴조사는 몇 가지 경향성이 간취된다. 먼저, 2004년 7월에 “고대 고구려 왕국의 수도와 무덤(Capital Cities and Tombs of the Ancient Koguryo Kingdom)”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등재 이전에는 고구려 도성인 환인 오녀산성, 집안 국내성과 환도산성 등을 중심으로 발굴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지방 거점성을 중심으로 중국 동북지방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환인 고검지산성, 봉성 봉황산성, 통화 자안산성, 등탑 연주성, 집안 패왕조산성, 도문 성자산산성, 개주 고려성산성, 훈춘 살기성 등이 대표적이다. 조사기관은 중앙의 사회과학원 고고연구소, 지방의 요녕성문물고고연구소나 길림성문물고 고연구소 그리고 해당 현·시급 박물관이나 문물국 등이 공동조사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고구려 산성의 발굴 초창기에는 중앙정부의 주도로 추진하였으나, 현재 지방정부 주도로 주체 가 달라지는 경향이 농후하다. 이는 과거 추진된 동북공정이 어느 정도 안착되는 분위기이기에 가능하지 않을까 한다. 또한 최근 발굴조사는 성벽, 문지, 치성, 성내 주거지와 건물지, 집수지, 수구 등의 시설물에 집중되고 있다. 그리고 조사 후 보수 정비가 연이어 진행된다는 점이 우리와 사뭇 다르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향성은 고구려 산성에 대한 각종 보호방안이나 공정 등이 중앙이 나 지방 정부 단위에서 결정되고 연차적인 계획 하에 시굴조사와 발굴조사, 보수와 정비 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기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집안 국내성과 환도산성, 심양 석대자산성, 통화 자안산성 등이 그 예이다. Excavation research has been actively done on the fortresses of Goguryeo Kingdom in China recently. Prior to the registration in World Heritage in 2004, the research has been widely done in northeast areas in China centering around key fortresses in local regions, unlike the excavation research led by capital city authority such as Wunu Fortress in Huanyin, Guknaeseong and Wandou Fortress in Jian.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Gaojiandi Fortress in Huanyin, Fenghuang Fortress in Fengcheng, Zian Fortress in Tonghua, Yanzhou Fortress in Junfang, Bawangchao Fortress in Jian, Tumenshan Fortress in Tumen, and Gaolicheng Fortress in Gaizhou. These fortresses were investigated by joint research team of a province-level arc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and a town and county-level. In the early stage of excavating fortresses of Goguryeo, central government has led the research, but currently it is notable that the authority to perform the research has been moved to local governments. It is assumed to be possible owing to the Northeast Project of China which has been promoted and has achieved somewhat stable status now. Recent excavation research done during 2005~2015 focused on fortress walls, fortress gate site, fortress with the convex-form of walls for defense(“Chiseong”), residential site in the fortress, building site, water reservoir, and water collection facility. Repair and maintenance work immediately followed by the investigation,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out research procedure. This is possible because various protection plans and projects on the fortresses of Goguryeo are decid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evel and then excavation research, and repair and maintenance works are conducted sequentially according to annual plan. The examples are Guknae Fortress and Wandou Fortress in Jian, Shi Tai Zi Fortress in Shenyang, and Zian Fortress in Tonghua.

      • KCI등재

        한국 성곽 문화재 보존 관리의 방안과 과제

        백종오(Baek Jong 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60 No.-

        문학산성은 인천의 鎭山인 문학산에 자리한 테뫼식 석축산성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산성의 보존관리방안 수립 및 사적승격을 준비를 위해 기존의 산성유적의 사례를 들어 비교 검토하였다. 우선, 기존의 복원 및 보존사례를 국가사적과 지방기념물로 나누어 살폈다. 국가 사적은 그간 정비 복원이 꾸준히 진행된 보은 삼년산성, 단양 온달산성, 영월 정양산성, 충주 장미산성 등이고 지방 기념물은 현재 국가 사적 승격을 준비하는 안성 죽주산성, 청주 부모산성, 인제 한계산성, 인천 계양산성 등이다. 이 유적들을 통해 문학산성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보존 관리 방안에 대해 학술조사, 종합정비기본계획, 정비 복원, 관리 및 활용 순으로 사적 지정을 위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문학산성은 1997년 한 차례의 실측(지표)조사를 진행하였고 2009~2010년에 성벽 잔존 구간의 정비·복원을 실시한 바 있으며, 2015년 군사지역에 대한 조건부 개방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구체적인 학술 조사가 미흡했던 것은 성내에 50여 년간 군부대 주둔이라는 특수 상황 때문이었다. 올바른 정비·복원에는 반드시 ‘원형 고증과 진정성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학술조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지표조사와 시·발굴조사 뿐만이 아니라 식생조사, 생태조사를 실시하여 환경과 조화로운 유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비·복원시 그 전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수리보고서가 작성되어 산성 유적의 좋은 표본이 되길 바란다. 이를 통해 문학산성이 국민들의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Cultural identity) 확립’에 도움되기를 기대한다. Munhak Fortress is a stone-piled fortress built surrounding the top part of Mt. Munhak, a great mountain located in the backside of the Incheon. This fortress was built in the Three-kingdom Era and had been used till Joseon Dynasty. Since the mid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operated mainly focusing on the signal fire platforms in the fortre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t preservations plans for Munhak Fortress and prepare for getting promotion to the status of a national historic site through comparison of existing fortress sites. First, it reviewed existing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cases by dividing the relics into national historic sites and regional monuments. National historic sites include Samnyeon Fortress in Boeun which have steadily continued repair and restoration work, Ondal Fortress in Danyang, Jeongyang Fortress in Youngwol, and Jangmi Fortress in Chungju. Regional monuments include Jukju Fortress in Anseong which anticipates to get promoted to national historic site, Bumo Fortress in Chungju, Hangye Fortress in Inje, and Gyeyang Fortress in Incheon. Through the relics, this study suggested opinions regarding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of Munhak Fortress in the order of academic investigation, basic plan for comprehensive recovery, repair and restoration, and management and utilization, for getting promotion to national historic site. As for Munhak Fortress, there was one-time (surface) survey and research in 1997, and repair and restoration work on the remained section in the fortress walls during 2009~2010, and conditional opening of military region in 2015 to the present. Due to the special circumstance in which military army has stationed for about 50 years, specific academ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sufficiently. For correct repair and restoration, historical research for original form and securing truth’ should be based in essential. For the purpose, academic research should be done. Also, vegetation survey and ecological research should be done to harmonize with environment, as well as surface survey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by the city. In addition, the repair report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whole process can be reviewed in organized way in case of repair and recovery work to provide a good example for fortress relics. I sincerely hope that Munhak Fortress is utilized as a place for historic education and furthermore,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of Korean people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高句麗 瓦當의 毁棄와 그 象徵的 意味

        백종오(Baek, Jong-Oh)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6

        이 글에서는 고구려 와당의 훼기와 그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훼기와당의 출토사례와 훼기 방법 그리고 불교 교리를 통한 와당 훼기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훼기와당이 출토되는 유적은 고분?성곽?사찰 등으로, 이들 유적의 입지는 강이나 하천 등에 가까운 수변유적들에 해당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 훼기와당의 문양은 복선연화문, 단판연화문, 조합연화문, 복합연화문 등 4종류에서 나타나며, 화판수를 보면 복선연화문은 6엽과 8엽, 단판연화문은 6엽과 9엽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복선연화문 단계 이후로는 용면문과 인동문으로 훼기습속이 확대되는 점도 주목된다. 그리고 훼기와당은 적석총에서 먼저 출현하여 이후 성곽이나 사찰 등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와당의 주연부 훼기는 연화문와당 단계부터 확인되며 이것은 불교 교리인 輪廻思想 즉 四劫(成劫, 住劫, 壞劫, 空劫)과 관계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주연을 훼손하는 행위는 태양과 광명, 윤회를 상징하기 때문에, 지붕에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할 때는 주연의 훼손행위를 거쳐 물과 관련되는 유구에 埋納 또는 投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에는 중국 남북조시대에 크게 유행한 三劫思想을 설명한 俱舍論은 佛敎思想으로 와당의 문양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결국 輪廻를 구성하는 三劫 또는 四劫이 도상학적으로 표현된 것이 瓦當의 文樣이며 이는 佛敎學的으로나 美術史學的으로 중요한 의미를 품고 있다. 이에 앞으로 와당에 대한 연구는 건축부재로써만이 아닌, 상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In order to verify the damage to roof-end tiles (瓦當) of Goguryeo Kingdom(高句麗) and its symbolic mea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s of damaged roofend tiles(毁棄瓦當) that were excavated, the damaging method, and the meaning of damage to roof-end tiles in terms of the doctrines of Buddhism. First of all, the relics in which the damaged roof-end tiles were found are tombs, fortresses, and temples. The location of those relics is near to river or streams, which is noteworthy characteristic. The patterns of those damaged roof-end tiles consist of 4 kinds ? “double-line lotus pattern(輻線蓮花文)”, “single-petal lotus pattern(單瓣蓮花文)”, “mixed lotus pattern(組合蓮花文)” in which various patterns are mixed into a single lotus pattern, and “combined lotus pattern(複合蓮花文)” in which more than two patterns are combined. As for the numbers of petals, both of double-line lotuspattern and single petal lotus-pattern were found in the lotus pattern having 6 petals or 8 petals. It is also notable that the custom of intentional damage was applied expanding to dragon-face pattern(龍面文) and honeysuckle-pattern(忍冬文) since the phase of the double-line lotus-pattern. The damaged roof-end tiles were first found in stone-pile tomb, which were spread to fortresses and temples. The roof-end tiles of which edge part was damaged were found in the stage of roof-end tiles having lotus pattern. In that sense, it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doctrine of Buddhism - the eternal recurrence(輪廻), that is, the Four KalpasI(四劫): formation and completion of the world (成劫), existing or abiding (住劫), destruction (懷劫) and annihilation (空劫). In particular, since the activity to damage the edge part intentionally symbolizes sun, light, and eternal recurrence, when the roof tiles were not used for a roof and reused, they were buried or dumped with the relics which were related to water, after damaging the edge part of the roof-end tile. It was suspected that the Kosa Theory (俱舍論) explaining Thoughts of Three Kalpas (三劫思想), which was greatly popular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China as a doctrine of Buddhism, would have some influence on the patterns of roof-end tiles. In conclusion, the patterns of roof-end tiles are iconic representation of the doctrines of Four Kalpas or Three Kapas consisting of eternal recurrence and they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science of Buddhism and/or art history. Multilateral approach is required for further studies of roof-end tiles in the future for comprehending symbolic significance, not as auxiliary materials related to construction.

      • KCI등재

        高句麗 城郭 築城術의 擴散에 대한 豫備的 檢討

        白種伍(Baek, Jong-Oh) 고구려발해학회 2017 고구려발해연구 Vol.59 No.-

        본고에서는 최근 발굴된 중국내 고구려 성곽의 주요 유구를 바탕으로 고구려 축성술의 확산에 대한 예비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다시 말해 성내 시설물인 다각형 건물지, 원형 석축 집수시설, 성벽 시설물인 성문 및 성벽 통과식 배수시설, 계단식 기단부 치성, 치성과 각루의 구분과 전개, 용도의 기원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최근 보고문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기존 발굴보고서가 간행된 국내성과 환도산성, 석대자산성 등을 비교 ·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국내성과 환도산성은 고구려의 수도라는 위상에 걸맞게 명실상부한 “최고의 축성술”을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 막연히 “최고의 축성술”이라는 생각을 가져왔을 뿐 실제 어떠한 성곽의 입지와 환경, 현황과 구조, 시설물 등이 당대 최고의 기술력을 보여주는지 구체적으로 접근하지는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고구려성곽의 성벽 축성술 만이 아니라, 계단식 기단부 치성, 돌출부를 짧게 내민 세장방형의 각루, 성문 및 성벽 통과식 배수시설, 문지 좌우편 적대 설치 등 국내성과 환도산성에서 가장 전형적인 원형 모델(prototype model)을 보이며 주변 지역의 성곽 건설에 기준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먼저 성내 시설물인 다각형 건물지는 집안 환도산성 궁전지의 倂置現狀이 용인 할미산성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원형 석축 집수시설은 심양 석대자산성에서 부속 건물지와 담장시설 등이 가장 완벽한 상태로 발굴되었으며 청주 부모산성과 거제 폐왕성, 남해 대국산성도 원형 석축 집수시설이 확산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국내성 서벽과 환도산성 남벽의 성문 및 성벽 통과식 배수시설은 대형 괴석(석재)을 개석으로 사용하며 출수구 상면도 동일하게 대형 석재를 덮고 있다. 이런 양상은 국내성은 물론 환도산성, 자안산성, 석대자산성등에서도 관찰되는 고구려 특유의 우수 방지 시설이었다고 하겠다. 계단식 기단부 치성은 국내성 동북벽 치성에서 보이고 심양 석대자산성에서 구조적인 완성을 이룬 후 도문 성자산산성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 사직선 기단부 치성은 등탑 연주성을 정점으로 후대에 인천 계양산성 등에서 그 구조적인 유사성이 확인되고 있다. 문지 좌우의 적대 설치도 국내성 북벽 서문을 시작으로 환인 고검지산성 북문지, 심양 석대자산성 북문지와 서문지 등 다수의 사례가 보고 되었다. 한편 국내성 서남각루는 4면 벽체의 독특한 구조로 角樓의 원형이 되었다고 추정되며 이후 금산 백령산성 북 치성과 하남 이성산성 동남회절부의 1 · 2차 치성 등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기존에 치성이라는 막연한 명칭보다는 각루로 지칭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 한다. 이처럼 고구려 중앙의 국내성과 환도산성의 축성술이 이후 지방의 거점성 및 백제와 신라지역에도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4세기 국내성, 5세기 환도산성의 중앙 축성 양식이 지방 거점성을 건설하는데 원형 모델이 되었으며 이는 축성법이나 각종 시설물의 구조에 그대로 반영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물론 백제나 신라지역에서도 유사한 양상들이 간취되고 있다. 추후 고구려 성곽의 발굴 자료가 증가한다면 보다 정치한 확산 과정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used major remaining relic structures that have been excavated so far as basic materials to figure out central and local fortress construction methods,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and influential relationship and exchange among the three nations of Goguryeo, Bakeje and Shilla (“The Three Nations”). That is, building methods of fortress walls, pentagon-shape building sites in the fortress, stair-type pedestal part of a fortress with the convex-form of walls for defense (“Chiseong”), fortress gate, drainage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fortress walls, circular water collection facility made of stones, differences and development between Chiseong and vigilance tower on the corner of a fortress (“Gakru”), and their origins of use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recent reports, this study also utilized the analysis materials regarding Wunu Fortress, Guknae Fortress, Wandou Fortress, and Shitaizi Fortress through comparison. As located in a capital city of Goguryeo Kingdom, Guknae Fortress and Wandou Fortress showed “the best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which deserve the worthy of the names. It was true that we could not access them specifically and how they demonstrated “the best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in terms of location and environment, current state and structure, and facilities of the fortress, though we assumed that they must have done so.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typical prototype models were found in Guknae Fortress and Wandou Fortress as well as the building techniuqe of fortress walls of Goguryeo’s fortresses, such as stair-type of pedestal part of a Chiseong, fine-square shaped Gakru with short protrution, drainage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fortress walls and gates, defense pedestal (“Jeokdae”) installed on the gate tower. They became the standards for building fortresses around the neighbor regions. That is, stair-type pedestal part of Chiseongs were found in the east and north walls of the fortress in Guknae Fortress, achieved structural completion in Shitaizi Fortress in Shenyang. They assumed to have been developed to Chenzishan Fortress in Tumen. As for the oblique-lined pedestal part of Chiseong, Yanzhou Fortress in Junfang demonstrated the most complete example and it had structural similarities with Gyeyang Fortress in Incheon of later times. As for the installation of Jeokdae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n the gate tower, many cases were reported, including the west gate of the north wall of Guknae Fortress, north gate site of Gaojiandi Fortress in Huanyin, north gate site and west gate site of Shitaizi Fortress in Shenyang. Southwest Gakru in Guknae Fortress has unique structure of 4-wall sides, which became the prototype of Gakru. It had influence on the north Chiseong of Baekryong Fortress in Geumsan, 1st and 2nd Chiseongs in the south-eastward diffracted part in the Yiseong Fortress in Hanam, etc. It is judged that Gakru is more reasonable term than Chiseong. The drainage facility passing through the west wall of Guknae Fortress and the gate of the south wall of Wandou Fortress used giant-sized stones as the roof stones. Also, giant stone was covered for the water collection facility in the same way. They were the unique rain leakage protection system of Goguryeo Kingdom and they were observed in Wandou Fortress, Zian Fortress, Shitaizi Fortress as well as in Guknae Fortress. In this way, the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s in central regions such as Guknae Fortress and Wandou Fortress were reflected in the key fortresses in the local regions. Guknae Fortress in the 4th century and Wandou Fortress in the 5th century became the prototype model for building a key fortress in local regions, which were reflected in building techniques and the structure of various facilities as they were. More detailed comparison and reviews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in later times with increased materials.

      • KCI등재

        한일고대집수유구출토유물(韓日古代集水遺構出土遺物)의 의례성연구(儀禮性硏究) -산성출토와당(山城出土瓦當)을 중심(中心)으로-

        백종오 ( Jong Oh Baek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6 No.-

        이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집수유구에서 출토된 고대 와당의 의례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유적 사례를 검토한 후 훼기와당(毁棄瓦當)의 매납 양상과 특징, 공반유물의 의례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본의 경우, 와당을 제사유물로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들 와당의 의례성을 설명하기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랐다. 하지만 서일본지역 우물 출토품과 쿠마모토(熊本) 키구치성(鞠智城) 저수지(貯水池)의 출토품 그리고 회외사(檜외寺)와 전중폐사(田中廢寺), 대재부(大宰府) 등 훼기와당의 제시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동일한 매납 양상을 논증할수 있었다. 한국과 달리 일본은 기와류 자체에 대한 재활용이나 의례성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山城= 戰爭’, ‘瓦當= 建築部材’라는 인식하에서만 바라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정된 관점은 한국과 일본에서 와당의 의례성을 연구하는데 가장 큰 장애 요인이 된다. 또 대부분의 발굴조사 보고서는 출토 상태, 즉 출토지점, 층위, 공반유물 등을 정확하게 수록하지 않고 있기에 내용 기술이나 도면, 사진 등을 통한 정보 파악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다. 쿠마모토 키구치성은 일본내 고대산성 중 유일하게 저수지가 발굴되었는데 그 내부에서 연화문수막새가 출토되었다. 이는 한국 산성 출토 집수유구의 훼기와당과 상당히 친연성(親緣性)을 갖는 사례로 판단된다. 면밀한 검토를 통해 당시 한반도 고대인(古代人)과 일본 열도내도래인(渡來人)의 정체성(正體性)을 구명(究明)할 수 있는 좋은 자료로 여겨진다. 금번 분석 대상인 등원경(藤原京) 우경일조육방(右京一條六坊)의 토광(土壙) 출토 연화문수막새, 평성경(平城京) 우경이조삼방(右京二條三坊)·삼평(三坪)의 SX801 토갱(土坑) 출토법륭사식(法隆寺式)의 연화문수막새 37E형식(型式), 평성경(平城京) 우경일조북변이방삼평(右京一條北邊二坊三坪)·사평(四坪)의 SE-103 우물 출토 연화문수막새 6227D형식, 대관대사(大官大寺)의 SE580 우물 출토 서까래 기와 등은 일본 내에서 와당의 의례성을 보여주는 좋은 단서가 된다. 그리고 훼기와당은 고대부터 한반도와 활발한 교류가 있던 교토(京都), 나라(奈良), 후쿠오카(福岡) 등 서일본 지역에서 주로 검출되고 있다. 모두 아스카시대(飛鳥時代) 초기 유적으로 유적은 비조사(飛鳥寺), 회외사(檜외寺) 등이다. 이외 오사카역사박물관(大阪歷史博物館) 전시품인 오사카성(大阪城) 하층(下層)과 죠카마치(城下町) 출토품으로 연화문수막새는 헤이안시대(平安時代), ‘東大寺大佛壇’銘수막새는 가마쿠라시대(鎌倉時代)라는 점이 흥미롭다. 이는 아스카시대(飛鳥時代) 나라시대(奈良時代) 헤이안시대(平安時代) 가마쿠라시대(鎌倉時代)까지 훼기와당의 전통이 면면히 이어진다는 사실을 반증해 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entionally damaged roof-end tiles focusing on their burial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and ritual properties of the associated relics excavated together, in order to identify ritual properties of roof-end tiles of the ancient times found in water-collecting places in Korea and Japan. The study was done after reviewing the relic cases first. As for Japanese relics, there were a lot of limitations in explaining ritual properties of roof-end tiles, because roof-end tiles were not recognized as the relics for ancestral memorial rites. However, through the demonstrations of relics excavated in west japan area, those in the reservoir of Kikuchi Castle in Kumamoto, and damaged roof-end tiles in Dazaifu Temple, Hinokuma temple, and the abolished Tanaka Temple site, it was proved that Korea and Japan had identical burial patterns of relics. Unlike Korea, there was completely no study of reutilization or ritual properties of rooftiles in Japan. It was because Japan sees that ‘fortress=war’ and ‘roof-end tiles=construction materials’. Such prejudice was big hindrance in studying ritual properties of roof-end tiles in Korea and Japan. Also, as most excavation reports did not record about the excavation state of relics accurately, that is, the excavation location, layer, the associated relics excavated together, etc., it was quite difficult to grasp information through related descriptions, drawings, and photos. Among the ancient fortresses in Japan, there found a reservoir only in Kikuchi Castle in Kumamoto. Inside the reservoir, lotus-patterned male roof-end tiles were excavated, which assumed to have very close connection with damaged roof-end tiles of water-collecting places found in fortresses in Korea. They were regarded as useful materials to verify the identity of people who moved to Japan from Korea and ancient Korean people at that time living in Korea through careful examin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otus-patterned male roof-end tiles excavated in soil ditches in Fijiwara(藤原京右京一條六坊), 37E-type lotus-patterned male roof-end tiles found in the SX801 ditches in Heijokyo(平城京右京二條三坊·三坪), 6229-style lotus-patterned male roof-end tiles found in the SE-103 well located in Heijokyo(平城京右京一條北邊二坊 三坪·四坪), and rooftiles for rafflers found in the SE580 well in Daikan Temple (大官大 寺). They showed the ritual properties of roof-end tiles well in Japan. The damaged roof-end tiles are mainly found in Kyoto, Nara, and Fukuoka area that have actively had exchanges with Korea since ancient times. All of them were the relics in the early times of Asuka Era and their representative relics are Asuka Temple and Hinokikuma Temple. On top of that, lotus-patterned male roof-end tiles were found in the lower level of Osaka Castle in Jokamachi(城下町). They were exhibited in Osaka History Museum along with male roof-end tiles with the inscriptions of Dodaiji Temple(東大寺大佛壇’銘). It is interesting that the former come from Heian Era while the latter come from Kamakura Era. This proves that the tradition of damaged roof-end tiles were continued in the order of Asuka Era→Nara Era→Heian Era→Kamakura Er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