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중,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서의 내용,체계 개발 및 타당성 검토

        백은희 ( Eun Hee Paik ),박은송 ( Eun Song Park ),김창호 ( Chang Ho Kim ),정수연 ( Soo Youn Jeong ),김달봉 ( Dal Bong Kim ),김진호 ( Jin Ho Kim ),이병인 ( Byoung In Lee ),김정민 ( Joung Min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의 중·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교사용지도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 타당화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실제 교육현장인 학교와 지역사회의 요구를 조사하고 반영하는 것은 교과내용의 타당도와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절차 중의 하나로 반드시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황에서, 국가차원에서 교사용지도서를 먼저 만들게 되어, 내용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사연구를 실시하게 된 것이다.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 내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 분석 및 전문가 집중 협의를 통하여 교과 교육내용의 타당성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목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를 사용하여 교사 변인별에 따른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와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지도서 영역별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용타당도 비율인 CRV를 실시하여 각 영역별에 따른 집필세목의 타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고등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서에 대한 현장 특수교사의 폐쇄형 질문에 대한 응답과 그에 대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cure the validity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ontents reflecting the field of educational need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a teachers` teaching manual for middle and highschool`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For this purpose, a quantitative study including survey and qualitative study was used for this study. For survey questions,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participated, and also for qualitative approach an analysis of discussion records and documentary opinions including researchers, council members and field reviewers were used for qualitative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lidity of teachers` manual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ontents and forms developed in 2013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tested as vali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expansion of life-centered functional approach to increase independent daily living skills such as interpersonal skills, self-direction skills, social adaptive skills and leisure skills for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ers` teaching manuals.

      • KCI등재

        정신지체 학생의 지역사회기술 훈련을 위한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 적용 효과 연구

        백은희 ( Eunhee Paik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 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진단 후교수에 중점을 둔 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ALSC-CLS: Adaptive Living Skills Curriculum-Community Living Skills, Bruinicks, Gilman, Anderson & Morreau, 1991)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ALSC-CLS는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현장 교사에게 제공되었다.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아동 61명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실험집단의 아동 30명에게는 12주 동안 ALSC-CLS(지역사회 중심 교육과정)를 적용하고, 통제집단의 아동 31명에게는 같은 기간 동안 일반교육과정을 적용하였다. 성취된 기능 수준은 K-SIB-R 검사 도구의 사전 사후 점수로 측정하였다. 웹기반 전문가 시스템을 활용한 지역사회 중심 기술교육은 아동들의 전반적인 적응행동을 향상시켰다. 더 나아가,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의 결과, ALSC-CLS는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이해, 개인위생, 이동기술 영역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4 영역에서 남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언어이해 및 이동 기술 영역에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eb-Based Adaptive Living Skills Curriculum-Community Living Skills (ALSC-CLS) in studen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61 students in areas of Seoul, Kyongki, and Chungnam participanted in this study: 30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curriculums in ALSC-CLS, whereas 31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the government-recommended usual curriculum for 12 weeks. The effect of ALSC-CLS was measured by K-SIB-R (Korean Scale of Independence Behavior-Revised). K-SIB-R score was taken two tim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ALSC-CLS. ANCOVA 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ALSC-CLS was highlighted in the four sub scales of K-SIB-R such as social interaction, comprehension, personal self-care, home-community orientation. However,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across all the four sub-scales whereas there were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both subscales of comprehension and home-community ori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정신지체 아동의 수업 참여와 수업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현숙 ( Hyeon Sook Boo ),백은희 ( Eun Hee Pai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정신지체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 및 수업방해 행동(자리이탈, 소리 내기 행동, 수업 시작 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2학년) 1명의 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통합학급 수업상황(아침 자율 활동시간, 국어시간, 통합교과 수업)에서 실행된 상황 간 중 다 기초선 설계를 하였다. 기능적 행동평가를 기초로 하여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중재, 후속결과 중재가 포함된 긍정적 행동지원을 계획하여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부분 간격 기록 법을 통하여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에서 정신지체 학생의 수업참여 행동을 증가시키고, 수업방해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tervention on on-task and disturbing behavior of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in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etting. The study utiliz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as a research design and measured the behavior using partial interval record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in which are morning recess, Korean language class and self-directed learning class of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does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increase on-task behavior of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in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etting? Secondly, does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reduce the disturbing behavior of a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in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ett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ntervention increased the rate of on-task behavior, and reduced the rate of the disturbing behavior in 3 settings, morning recess, Korean language class and self-directed learning class of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setting. The effects of the study maintaine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 KCI등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환경에서의 자폐성장애 학생의 쓰기고착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소영 ( So Young Chung ),백은희 ( Eun Hee Pai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2

        이 연구는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환경에서의 자폐성장애 학생의 쓰기고착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쓰기고착행동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자폐성장애 학생으로 기능적 행동평가를 실시하여 일반학급, 학습도움실, 컴퓨터실습실 상황에서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중재, 후속사건 중재를 포함하는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실시하였다. 실험설계는 상황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고, 부분 동간 기록법으로 문제행동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통합학급, 학습도움실, 컴퓨터실습실 각 상황별 대상학생의 쓰기고착행동 감소 및 일반화에 효과가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통합 환경에서의 기능적 행동평가에 근거한 긍정적 행동지원은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on the fixation behavior of writing for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clusive setting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is study utilized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as a research design and measured the behavior using partial interval recording. The research question was as follow; Was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fixation behavior of writing for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clusive settings eff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reduced the rate of challenging behavior of a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clusive classroom, special classroom and computer laboratory.

      • KCI등재

        비디오 모델링과 연합한 자기점검 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식사시간 활동에 미치는 영향

        신유진(Yu Jin Shin),백은희(Eunhee Paik) 한국행동분석학회 2024 행동분석․지원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비디오 모델링과 자기점검 연합 중재가 특수학교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식사시간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 1명이었으며 배식 및 잔반처리, 식탁 정리와 양치기술과 같은 식사시간 활동을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연구 대상에게 세 가지 식사시간 활동을 과제분석하여 클립 형태의 비디오 영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태블릿PC를 활용한 자기점검 전략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식사시간 활동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독립 수행의 수를 백분율로 구하였고, 측정된 자료는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비디오 모델링과 자기점검 전략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식사시간 활동의 독립적인 수행을 증가시키고, 유지되었으며 가정에서 일반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ideo modeling combined with self-monitoring strategies on meal time activities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are meal preparation, cleaning the table, tooth brushing skills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video modeling combined with self-monitoring strategies affect on meal time activities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how does video modeling combined with self-monitoring affect its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meal time activities for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e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ge 11, participated in the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video modeling combined with self-monitoring improved the meal time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 Th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removing the intervention. The average of non-overlapping data point(PND) was 96%, indicating a ‘high effective level’ intervention effect.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that video modeling combined with self-monitoring strategies were an effective intervention enhancing meal time activities for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maintained and generalized at home.

      • KCI등재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임은숙 ( Eun Sook Lim ),백은희 ( Eun Hee Pai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통합교육환경에서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을 7명의 정신지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Walker-McConnell 척도 검사와 사회적 상호작용행동 관찰지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사전·사후검사의 유의미한 차이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UDL 중재가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 향상과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의 빈도 증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on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middle school.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f 12 sessions was carried out, with 7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integrated learning environment. Walker-McConnell scale test and social interaction behavior observation form were used as an inspection tool,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data processing, there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s. SPSS programs was utilized to verify and examine research hypothesis, and t-test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social abilit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The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crease in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guarantees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opportunitien opplearn and participen opprough active support in incluive classroom.

      • KCI등재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대안학교 중등부 학생들의 적응행동 및 학교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임은숙 ( Lim Eun Sook ),백은희 ( Paik Eunhe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중·고등 대안학교 통합교육 상황에서 장애 및 장애 고위험군 학생들이 포함된 전체 2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여 적응행동과 학교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검사 평균을 비교하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학생의 적응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장애 고위험군 학생들의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전체학생의 학교분위기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장애 고위험군 학생들의 학교분위기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al level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ier 1.) on student adaptive behavior and school climat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cluding the students at risk who were diagnosed with emotional behavior disorder in an inclusive alternative scho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enty-three students aged from 12 to 15. Two students among 23 participants were at risk students. In order to see their adaptive behavior change and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before and after the universal support, dependent variables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al level of positive behavior support(tier 1.)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in adaptive behavior for the whole students. Second, universal level of positive behavior support(tier 1.) was proven to be effective on the perception of school climate improved among the whole students, including the students at risk who were diagnosed with emotional behavior disorder in an inclusive alternative school.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clima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 and post-test especially in the variables such as orders and organization. Order and organiztion is the extent to which there is emphasis on students behaving in an orderly, quiet and polite manner, and on the overall organization of classroom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