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환경만족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독감의 매개효과 검증

        백옥미 ( Okmi Bai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노년기 주거환경만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독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거환경의 물리적 요소 및 환경적 요인들이 주는 생활만족도 혹은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을 규명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우울에 대한 영향 검증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을 통한 양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 & Kenny(1986)가 제안했던 일련의 다중회귀분석 절차를 이용해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고독감은 노인의 주거환경만족과 우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노인의 주거환경만족 정도는 고독감으로 이어지며 이 고독감이 우울감을 상승시키는 기제로 작동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에서야 관심을 받고 있는 노인의 주거환경과 우울, 고독감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s of loneliness in the effects of elderly residential satisfaction on depression. Most of the studies to dat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r quality of life, and furthermore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n depression was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The result show that lonelin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leads to a feeling of loneliness, and this loneliness acts as a mechanism to increase de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depression, and loneliness, which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only recently in Korea.

      • KCI등재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통합력의 조절효과

        백옥미(OkMi Ba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이 연구는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울러 통합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2차 자료를 활용, 477명을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과 삶의 질은 관련이 있었으며 통합력 역시 삶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과 통합력은 삶의질에 대한 영향에 있어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에 있어 디지털정보 활용수준및 통합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본 연구는 향후 독거노인 대상의 디지털 지원정책 수립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of seniors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For this purpose,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nationwide surve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as used. Also,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477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quality of life of seniors living alone were related, and that sense of coherence was also related to quality of life. However, moderating effe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sense of coherence did not appear in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This study, which confirmed the impa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sense of coher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s living alone,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igital support policies for seniors living alone in the future.

      • KCI등재

        노인 단독가구의 사회자본이 인지적·기능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백옥미(OkMi Ba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노인 단독가구의 사회자본과 거주환경이 인지적, 기능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1년 6월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는 전국에 거주하는노인 단독가구원으로서, 총 557명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자본 수준은 노인 단독가구의 인지적, 기능적 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고령 친화 거주환경은 노인 단독가구의 인지적 건강 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나 기능적 건강과는 직접적 관련은 없었다. 특히 사회자본과 거주환경은 노년기 인지적, 기능적 건강에 상호작용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거주환경이 노인 단독가구의 건강에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입증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령 친화환경과 사회자본의 형성 방안에 정책의 관심이 집중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living environment on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collected in June 2021. That data included elderly single household members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557 elderly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ffected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e age-friendly living environment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health level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but was not directly related to functional health. Social capit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in elderly single househo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focus policy attention on a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ways to form social capital.

      • KCI등재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형용 ( Hyeongyong Ahn ),백옥미 ( Okmi Bai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이 노년기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당시 65세 이상 독거노인 1,458명이 분석에 포함되어 졌으며, 분석은 Baron & Kenny(1984)가 제안한 일련의 회귀분석 방식과 Sobel test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의 주거환경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자본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거노인의 사회심리적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뿐만 아니라 사회자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독거노인들을 위한 정책 개발에 있어 주거환경과 사회자본 형성의 중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in old ag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conducted a secondary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13th year of the Korea Welfare Panel. Total 1,458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is methods suggested by Baron & Kenny(1984) and Sobel test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environ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not only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life satisfaction, but also a factor that indirectly a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capital. In results, the necessity of continuing policy interest i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capabiliti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was rai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