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노동시장 참여변화 궤적과 삶의 만족도

        백옥미 ( Baik Ok M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노년기 노동시장 참여변화의 궤적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종단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패널 1~3차년도(2006, 2008, 2010) 자료를 활용, 1~3차년도 조사당시 노동 지속여부를 측정, 전 조사시점 기간동안 일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노인그룹과 중단한 그룹, 새롭게 시작한 그룹, 간헐적으로 일을 하고 있는 그룹 및 일을 전혀 하지 않는 그룹 등 5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일반화추정방정식모형(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을 적용해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 노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제반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동 참여궤적은 노년기 삶의 만족도 결과와 연관된다는 점이 드러났다. 노년기 노동 참여의 궤적과 심리적 복지 결과를 분석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했던 노년층의 노동시장 참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ition in employment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outcomes,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the 3 waves (2006, 2008, and 2010) of 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including 4,170 older adults aged 60-105.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categorized employment transition groups through 3 waves into 5 categories: a continuous employment group, a continuous nonemployment group, a discrete employment group, an employment-to-nonemployment group, and a nonemplyment-to-employment group.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 modeling was utilized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ransition group membership and life satisfaction outcomes. The results showed that engaging in continuous employment status or in employment status later in 3 wav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with various controls compared to it of the nonemployment group. More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mechanism behind older people`s trajectory in employment engagement.

      • KCI등재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경로 -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경로를 중심으로 -

        백옥미 ( Baik Ok-mi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발생 경로를 파악, 자기방임 위험이 높은 고령 독거노인들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히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자기방임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에 주목해 자기방임의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고령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 독거노인의 자 기방임은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이 직접적으로, 혹은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매개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간 자기방임의 직접적 원인 규명에만 머물렀던 관련 분야에서 자기방임의 발생 경로를 새롭게 파악함으로써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행위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h of self-neglect of the older-old adults living alone, and to provide data for preparing policy and pract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focused on the mechanisms of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caused by self-neglect to establish a path model of self-neglect for the older-old adults living alone.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a pat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neglec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directly caused b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r by social support through depression. In addition, economic and health conditions were found that those directly affect depression. Therefore, the path leading to self-neglec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eems to have a effect on social support, economic and health conditions and de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helped to understand the self-neglect behavio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y grasping the path of self-neglec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KCI등재

        중 · 노년층의 음주행위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백옥미(Ok Mi Baik)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주행위의 특성을 파악,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음주행위를 과음행위, 폭음행위, 문제음주행위로 구분, 우울과의 관계를 2차 자료를 이용해 분석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Wisconsin Longitudinal Study로서 가장 최근에 수집된 2개 조사 시점의 자료를 분석했으며, 주요 연구문제의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권고 기준 이상의 과음행위나 폭음행위의 경우 우울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며, 오직 문제음주 행위만이 이전의 우울과 인구사회학적, 건강상태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우울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범주의 음주행위와 우울의 관계를 종단 분석한 본 연구는 음주와 우울에 관한 기존 가설들의 적용에 측정의 문제가 중요함을 제기했으며, 나아가 기존 음주-우울 관련 이론들이 측정 방법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함을 제안했다. 문제음주 행위의 우울에 대한 영향력이 입증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음주 행위를 보이는 중·노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사정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일선 의료기관 및 복지기관에서 상시적으로 문제음주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입증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fold: 1) to examine what aspects of drinking behaviors are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2)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For examining these aims, this study utilized a logistic regression using a panel data of the Wisconsin longitudinal study(N=4,578). Only problem drinking among men was related to later depressive symptoms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No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alcohol use/bing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was found in the current study. These results may reflect that what aspects of drinking behaviors are measu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could be different, and further, the association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could vary across individuals who represent etiologically distinct subgroups. Overal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add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suggesting that individuals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represent a complex group with significant psychosocial consequences and treatment needs.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백옥미 ( Ok-mi Bai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인지기능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노년기 인지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종단적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 1∼3차 조사자료를 활용, 1차 조사시점 당시 65세 이상이면서 전체 조사시점 동안 응답을 유지한 총 2,711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인지기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점차 감소하며, 초기 인지기능이 높은 노인들일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기능의 감소속도가 더딘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노년기 인지기능을 예측하는 다양한 변수들의 초기치를 예측변수로 투입한 잠재성장모형의 조건부모형 분석 결과 연령 및 학력수준, 일상생활동작능력, 우울증상이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느려졌으며,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느렸다. 또한 일상생 활동작능력이 좋지 않을수록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빨랐으며, 우울증상의 초기값이 높은 노인일수록 인지기능이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사회 일반 노인들의 인지기능 저하의 원인을 이해하게 하는 강력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인지기능 저하의 예방과 치료적 개입을 위한 서비스 마련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1) the trajectory of cognitive functioning and 2) its predictors in the trajector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volving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N=2,711).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cognitive functioning was decreased over 3 waves and the elderly who had higher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1 tend to less decreased in cognitive functioning over time. Also,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ge, educational level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ing. In detail, the older age,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the better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predictors the less decreasing in cognitive function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

        백옥미 ( Baik Ok Mi ),홍석호 ( Hong Seokho ),이미영 ( Lee Miyoung ),장은하 ( Jang Eunh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생생한 적응 경험을 탐색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지원의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받은 초고령 지역의 독거노인 9명을 대상으로 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것을 비롯해, 이들의 스마트 홈 서비스의 보급 및 관리에 관련된 핵심 정보 제공자 11명을 대상으로 별도로 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4개의 개념, 39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기계적응 스트레스>와 <사회복지 실천의 확대>이며,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정보 취득> <안전 염려> <사회 동참>, 맥락적 조건은 <접근성> <경제성> <지원 및 관리>이며, 중심현상을 조절ㆍ대처하기 위한 행동/상호작용 전략은 <적응을 위한 고군분투> <이익을 체험> <도움 요청> <제도적 보완>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상황은 <노인 성향> <도움 줄 존재> <편리성>이었으며, 결과는 <더디지만 점차 익숙해지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들의 스마트 홈 경험의 핵심 범주는 “더디지만 ‘사람’의 도움으로 스마트 홈에 적응해가고 있음”으로 결정되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노인 사용자 기반의 스마트 홈 기술의 개발과 효율적인 전달체계 수립을 위해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adaptation experiences that rural older adults in using pilot smart home services. To this e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in highly-aged areas who received smart home services, a government-supported pilot project. Also, two separat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key information provide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heir smart home services.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y Strauss & Corbin (1998)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ur analysis derived 84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6 super-categories. In the paradigmic dimensi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 mechanical adaptation stress > and < expans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 information acquisition > < safety concern > < social participation >,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 accessibility > < economic efficiency > < support and management >, and the behavior/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and coping with the central phenomenon was < struggle for adaptation > < experience benefits > < request help > <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 The interventional situation was < elderly tendency > < presence of help > < convenience >, and the result was < slow but gradually getting used to it >. The core category of the smart home experi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determined to be “Slowly but adapting to the smart home with the help of ‘people’”. Based on the main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technology based on elderly users and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 KCI등재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결정요인

        백옥미(Baik, Ok-M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8

        노년기에 타인의 도움 없이 자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노인 환자의 예후 및 삶의 질, 사망률을 예측할 때 가장 중요한 잣대이다. 현재까지 관련연구에서는 질병과 같은 신체적 상태 및 심리사회적 요인이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신체적 요인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건강관련 행위들이 어떻게 노년기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이 있는지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앤더슨모형(Andersen model)을 적용, 노년기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조사한 제 1차 고령화연구 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65세 이상의 노인 총 4,165명만을 분석에 포함했으며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선행요인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 모두가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가능요인 중 공식적 사회관계망이 많을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수준이 높았다. 욕구요인중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통증이 많을수록, 우울정도가 심할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나빴다. 건강행위 중 입원진료 횟수만이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이는 직접효과만 있었을 뿐 선행, 가능, 욕구요인들을 매개하는 효과는 없었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구조화된 모형에 의해 직·간접적 영향력을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영향요인들을 다차원적으로 이해하는데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health outcomes in older adults in community by applying Andersen"s revised model. The revised Andersen model provide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functional health outcomes in older adults. Furthermore, it helps to understand the direct and indirected pathways between predisposing, enabling, need factors, health behavior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nd functional health outcomes. This study utilized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Panel Study.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predisposing factors, female gender, older age, and higher level of education were related to lower level of functional health outcomes. The more number of formal social network in the enabling factors was related to higher level of functional health. Among the need factors, more chronic diseases, more pain symptoms, and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deteriorated functional health outcomes.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behaviors was minimi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factors and functional health outcomes.

      • KCI등재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의 사회적 지지: 암 병기 및 생존단계별 비교분석

        백옥미 ( Ok Mi Baik ),임정원 ( Jung Won L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2 No.-

        본 연구는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들의 병기별, 생존단계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고찰, 생존자들의 특수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욕구를 이해함으로써 개별화된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측면을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을 포괄하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했다. 연구대상은 유방암 및 부인과 암으로 진단받은 110명의 성인 여성으로, 서울에 위치한 5개의 종합 병원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가장 진행된 형태인 3기 진단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가장 낮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2기 진단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또한 3기 진단의 응답자들이 암 치료 및 적응과 관련한 제반 서비스의 이용 횟수도 낮았으며, 향후 서비스 이용 욕구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기간별 분석에서는 진단받은지 2년 이하의 급성 생존단계 응답자들이 진단 후 2-5년 경과된 확장 생존단계의 사람들이나 진단 후 5년 초과된 영속 생존단계 응답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서비스 이용욕구를 보였다. 이와함께 서비스 이용 욕구 면에서도 생존단계별로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기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병기별, 생존단계별로 차별화된 사회사업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support among Korean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cancer stage at diagnosis and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Thu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based on the survivors` specific nee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0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he cancer stage at diagnosis from 0 to 3 stage and three groups such as acute, extended and long-term survival stages. Analyses of covariance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at stage 3 at diagnosi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at earlier stages. The participants at stage 3 also showed lower use of supportive care services and needs for services. The participants at acute survival sta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eeds for supportive care services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at the later survivorship stages. Overall, this study evidenced that the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have distinct recognition and needs related to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ir cancer stage and their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 cancer stage and the stage of survivorship.

      • KCI등재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

        백옥미(Ok Mi Bai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4

        본 연구는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고찰하고 나아가 중년기에서 노년기에 걸쳐 경험하는 대표적 생애전이 사건인 은퇴와 사별의 경험이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 패널조사자료를 활용, 2차 분석을 실시했으며 1차와 3차에 응답을 유지한 7,46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분석하고 중·노년기 생애주기요인인 은퇴여부와 사별 여부가 이 두 요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방식의 다중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1차년도 우울증상 및 은퇴 및 사별 여부 요인이 각각 3차년도 인지기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 났다. 또한 우울증상과 은퇴여부 간 그리고 우울증상과 사별여부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1차년도 인지기능, 연령, 학력수준, 성별이 3차년도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노년기에 한정해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분석하였던 것에서 임상적으로 의미를 지니는 시기인 중년층을 포함하여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전국 규모의 대규모 종단 자료를 활용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기존에 논의가 미흡했던 중·노년기 생애주기요인인 은퇴와 사별 요인이 우울증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기능 악화를 초래하는 기제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and 2)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tirement and bereavement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the analysis for the research questions was performed by hierarchical multiful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ve symptoms, retirement factor and bereavement factor at time 1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3. Also, The findings indic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tirement factor and bereavement factor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Among the controls,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1, age, education level, sex were related to the later cognitive functioning longitud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for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주거만족 관련 요인 : 체계적 문헌고찰

        장은하(Jang, Eunha),홍석호(Hong, Seokho),백옥미(Baik, Ok Mi)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2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주거만족 관련 요인을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Study)을 활용하여 연구동향 및 현황을 살피고 노인의 욕구에 부합한 주거환경 조성 및 주거정책 지원 제시와 후속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RISS, KISS, Scholar, e-article 총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 ‘노인’, ‘주거만족’ 등의 검색어를 조합하여 2019년 10월 31일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 총 2,131건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이중 중복 문헌 제거 및 그레이존(각종보고서, 학술대회 발표논문), 학위논문, 외국어 작성 문헌과 종속변수가 주거만족과 관련이 없는 문헌을 배제하고 전문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 17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만족과 관련된 연구는 어느 특정 분야만이 아닌 노인학, 복지, 보건, 주거환경 및 디자인 등 다학제 및 복합 학문적 연구로 확대되고 양적으로도 점차 증가해 오고 있다. 둘째, 노인의 주거만족의 개념은 주변 환경과 입지, 주택내부 설비 및 시설 편의성, 주거 공간 내부의 크기, 조명 등에 대한 만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여러 하위개념들로 구성되어 주거만족도를 측정하고 있다. 셋째, 주거만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영향요인들로는 성별, 연령, 학력, 수입에 대한 변인들 외에 건강, 가족형태, 가족구성원 수, 거주지역 등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넷째, 주거만족의 내부 요인으로 주거수준, 설비시설, 주거비용, 주거이동 등의 세부 영향요인들이 분석되었고, 노인의 건강과 이동성 약화를 고려하여 화장실 등의 안전 공간계획과 시설설비를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외부 환경 요인으로 녹지 환경, 공원, 의료 및 복지시설, 상업 편의시설, 대중교통 등이 분석되었으며, 이웃관계를 고려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가 주요한 특징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주거만족을 위한 후속 연구의 발전적 제언을 제시하고, 주거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언하였다. A systematic review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and to make suggestions on housing policies that meets the elderly’s needs and future research. Relevant studies were searched through RISS, KISS, Scholar, and e-article using key terms such as the elderly, housing satisfaction, or combinations of them. An initial search was resulted in 2,131 journal articles published until October 31, 2019. After removing duplications, grey literature, dissertations, studies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and non-relevant studies, 17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for further analyses. As results, first of all, there were various disciplines involved in terms of studies on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r example, gerontology, social welfare, public health, design, etc. There were also a growing number of multidisciplinary or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the area of research. Second, the concept of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has been widely used including community environment and locations, interior facilities and convenience, interior space and size, lights, and it was assessed using measures that consisted of multiple sub-scales. Third, in addition to demographic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income, factors like health status, family type, numbers of family member, and residential district were used for analyses. Forth, housing conditions, interior facilities, housing expense, and moving were found as significant internal factors of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astl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like green areas, park, healthcare and welfare facilities, commercial amen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ousing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it was significant to invigorate communities considering neighborhood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made to improve housing welfare among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