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노동시장 참여변화 궤적과 삶의 만족도

        백옥미 ( Baik Ok M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노년기 노동시장 참여변화의 궤적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종단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패널 1~3차년도(2006, 2008, 2010) 자료를 활용, 1~3차년도 조사당시 노동 지속여부를 측정, 전 조사시점 기간동안 일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노인그룹과 중단한 그룹, 새롭게 시작한 그룹, 간헐적으로 일을 하고 있는 그룹 및 일을 전혀 하지 않는 그룹 등 5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일반화추정방정식모형(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을 적용해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 노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제반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동 참여궤적은 노년기 삶의 만족도 결과와 연관된다는 점이 드러났다. 노년기 노동 참여의 궤적과 심리적 복지 결과를 분석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했던 노년층의 노동시장 참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ition in employment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outcomes,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the 3 waves (2006, 2008, and 2010) of 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including 4,170 older adults aged 60-105.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categorized employment transition groups through 3 waves into 5 categories: a continuous employment group, a continuous nonemployment group, a discrete employment group, an employment-to-nonemployment group, and a nonemplyment-to-employment group.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 modeling was utilized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ransition group membership and life satisfaction outcomes. The results showed that engaging in continuous employment status or in employment status later in 3 wav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with various controls compared to it of the nonemployment group. More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mechanism behind older people`s trajectory in employment engagement.

      • KCI등재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경로 -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경로를 중심으로 -

        백옥미 ( Baik Ok-mi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발생 경로를 파악, 자기방임 위험이 높은 고령 독거노인들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히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자기방임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에 주목해 자기방임의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고령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령 독거노인의 자 기방임은 사회적 지지 및 우울이 직접적으로, 혹은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매개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간 자기방임의 직접적 원인 규명에만 머물렀던 관련 분야에서 자기방임의 발생 경로를 새롭게 파악함으로써 고령 독거노인의 자기방임 행위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h of self-neglect of the older-old adults living alone, and to provide data for preparing policy and pract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focused on the mechanisms of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caused by self-neglect to establish a path model of self-neglect for the older-old adults living alone.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a pat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neglec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directly caused b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r by social support through depression. In addition, economic and health conditions were found that those directly affect depression. Therefore, the path leading to self-neglec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eems to have a effect on social support, economic and health conditions and de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helped to understand the self-neglect behavior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y grasping the path of self-neglec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KCI등재

        중 · 노년층의 음주행위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백옥미(Ok Mi Baik)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주행위의 특성을 파악,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음주행위를 과음행위, 폭음행위, 문제음주행위로 구분, 우울과의 관계를 2차 자료를 이용해 분석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Wisconsin Longitudinal Study로서 가장 최근에 수집된 2개 조사 시점의 자료를 분석했으며, 주요 연구문제의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권고 기준 이상의 과음행위나 폭음행위의 경우 우울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며, 오직 문제음주 행위만이 이전의 우울과 인구사회학적, 건강상태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우울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범주의 음주행위와 우울의 관계를 종단 분석한 본 연구는 음주와 우울에 관한 기존 가설들의 적용에 측정의 문제가 중요함을 제기했으며, 나아가 기존 음주-우울 관련 이론들이 측정 방법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함을 제안했다. 문제음주 행위의 우울에 대한 영향력이 입증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음주 행위를 보이는 중·노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사정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일선 의료기관 및 복지기관에서 상시적으로 문제음주를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입증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fold: 1) to examine what aspects of drinking behaviors are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2)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For examining these aims, this study utilized a logistic regression using a panel data of the Wisconsin longitudinal study(N=4,578). Only problem drinking among men was related to later depressive symptoms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No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alcohol use/binge use and depressive symptoms was found in the current study. These results may reflect that what aspects of drinking behaviors are measu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could be different, and further, the association between drinking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could vary across individuals who represent etiologically distinct subgroups. Overal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add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suggesting that individuals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represent a complex group with significant psychosocial consequences and treatment needs.

      • KCI등재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통합력의 조절효과

        백옥미(OkMi Ba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이 연구는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울러 통합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2차 자료를 활용, 477명을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과 삶의 질은 관련이 있었으며 통합력 역시 삶의 질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디지털정보 활용 수준과 통합력은 삶의질에 대한 영향에 있어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에 있어 디지털정보 활용수준및 통합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본 연구는 향후 독거노인 대상의 디지털 지원정책 수립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of seniors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For this purpose,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a nationwide surve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as used. Also,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477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quality of life of seniors living alone were related, and that sense of coherence was also related to quality of life. However, moderating effe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sense of coherence did not appear in their impact on quality of life. This study, which confirmed the impact of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e and sense of coher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s living alone,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igital support policies for seniors living alone in the future.

      • KCI등재

        농촌 독거노인의 스마트 홈 활용 경험

        백옥미 ( Baik Ok Mi ),홍석호 ( Hong Seokho ),이미영 ( Lee Miyoung ),장은하 ( Jang Eunh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4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생생한 적응 경험을 탐색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지원의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받은 초고령 지역의 독거노인 9명을 대상으로 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것을 비롯해, 이들의 스마트 홈 서비스의 보급 및 관리에 관련된 핵심 정보 제공자 11명을 대상으로 별도로 2회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4개의 개념, 39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기계적응 스트레스>와 <사회복지 실천의 확대>이며,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정보 취득> <안전 염려> <사회 동참>, 맥락적 조건은 <접근성> <경제성> <지원 및 관리>이며, 중심현상을 조절ㆍ대처하기 위한 행동/상호작용 전략은 <적응을 위한 고군분투> <이익을 체험> <도움 요청> <제도적 보완>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상황은 <노인 성향> <도움 줄 존재> <편리성>이었으며, 결과는 <더디지만 점차 익숙해지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들의 스마트 홈 경험의 핵심 범주는 “더디지만 ‘사람’의 도움으로 스마트 홈에 적응해가고 있음”으로 결정되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노인 사용자 기반의 스마트 홈 기술의 개발과 효율적인 전달체계 수립을 위해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actical adaptation experiences that rural older adults in using pilot smart home services. To this e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in highly-aged areas who received smart home services, a government-supported pilot project. Also, two separat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key information provide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their smart home services.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y Strauss & Corbin (1998)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ur analysis derived 84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6 super-categories. In the paradigmic dimensi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 mechanical adaptation stress > and < expans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 the causal condition of the central phenomenon was < information acquisition > < safety concern > < social participation >,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 accessibility > < economic efficiency > < support and management >, and the behavior/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and coping with the central phenomenon was < struggle for adaptation > < experience benefits > < request help > <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 The interventional situation was < elderly tendency > < presence of help > < convenience >, and the result was < slow but gradually getting used to it >. The core category of the smart home experien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was determined to be “Slowly but adapting to the smart home with the help of ‘people’”. Based on the main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technology based on elderly users and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백옥미 ( Ok-mi Bai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인지기능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노년기 인지기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종단적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 1∼3차 조사자료를 활용, 1차 조사시점 당시 65세 이상이면서 전체 조사시점 동안 응답을 유지한 총 2,711명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인지기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점차 감소하며, 초기 인지기능이 높은 노인들일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기능의 감소속도가 더딘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노년기 인지기능을 예측하는 다양한 변수들의 초기치를 예측변수로 투입한 잠재성장모형의 조건부모형 분석 결과 연령 및 학력수준, 일상생활동작능력, 우울증상이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느려졌으며,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느렸다. 또한 일상생 활동작능력이 좋지 않을수록 인지기능 감소속도가 빨랐으며, 우울증상의 초기값이 높은 노인일수록 인지기능이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지역사회 일반 노인들의 인지기능 저하의 원인을 이해하게 하는 강력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인지기능 저하의 예방과 치료적 개입을 위한 서비스 마련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1) the trajectory of cognitive functioning and 2) its predictors in the trajector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volving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N=2,711).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cognitive functioning was decreased over 3 waves and the elderly who had higher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1 tend to less decreased in cognitive functioning over time. Also,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ge, educational level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ing. In detail, the older age, the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the better activity of daily living were predictors the less decreasing in cognitive function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주거환경만족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독감의 매개효과 검증

        백옥미 ( Okmi Bai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노년기 주거환경만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독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거환경의 물리적 요소 및 환경적 요인들이 주는 생활만족도 혹은 삶의 질에 대한 영향을 규명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우울에 대한 영향 검증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을 통한 양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 & Kenny(1986)가 제안했던 일련의 다중회귀분석 절차를 이용해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고독감은 노인의 주거환경만족과 우울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노인의 주거환경만족 정도는 고독감으로 이어지며 이 고독감이 우울감을 상승시키는 기제로 작동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에서야 관심을 받고 있는 노인의 주거환경과 우울, 고독감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eelings of loneliness in the effects of elderly residential satisfaction on depression. Most of the studies to dat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r quality of life, and furthermore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on depression was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The result show that lonelin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leads to a feeling of loneliness, and this loneliness acts as a mechanism to increase de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depression, and loneliness, which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only recently in Korea.

      • KCI등재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

        백옥미(Ok Mi Bai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4

        본 연구는 중·노년기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고찰하고 나아가 중년기에서 노년기에 걸쳐 경험하는 대표적 생애전이 사건인 은퇴와 사별의 경험이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 패널조사자료를 활용, 2차 분석을 실시했으며 1차와 3차에 응답을 유지한 7,46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분석하고 중·노년기 생애주기요인인 은퇴여부와 사별 여부가 이 두 요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방식의 다중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1차년도 우울증상 및 은퇴 및 사별 여부 요인이 각각 3차년도 인지기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 났다. 또한 우울증상과 은퇴여부 간 그리고 우울증상과 사별여부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1차년도 인지기능, 연령, 학력수준, 성별이 3차년도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노년기에 한정해 우울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분석하였던 것에서 임상적으로 의미를 지니는 시기인 중년층을 포함하여 우울증상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전국 규모의 대규모 종단 자료를 활용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기존에 논의가 미흡했던 중·노년기 생애주기요인인 은퇴와 사별 요인이 우울증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기능 악화를 초래하는 기제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and 2)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tirement and bereavement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the analysis for the research questions was performed by hierarchical multiful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ve symptoms, retirement factor and bereavement factor at time 1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3. Also, The findings indic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retirement factor and bereavement factor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ing. Among the controls, cognitive functioning at time 1, age, education level, sex were related to the later cognitive functioning longitud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for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의 사회적 지지: 암 병기 및 생존단계별 비교분석

        백옥미 ( Ok Mi Baik ),임정원 ( Jung Won L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2 No.-

        본 연구는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들의 병기별, 생존단계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고찰, 생존자들의 특수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 욕구를 이해함으로써 개별화된 사회사업적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다양한 측면을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을 포괄하는 다양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했다. 연구대상은 유방암 및 부인과 암으로 진단받은 110명의 성인 여성으로, 서울에 위치한 5개의 종합 병원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가장 진행된 형태인 3기 진단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가장 낮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2기 진단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다. 또한 3기 진단의 응답자들이 암 치료 및 적응과 관련한 제반 서비스의 이용 횟수도 낮았으며, 향후 서비스 이용 욕구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기간별 분석에서는 진단받은지 2년 이하의 급성 생존단계 응답자들이 진단 후 2-5년 경과된 확장 생존단계의 사람들이나 진단 후 5년 초과된 영속 생존단계 응답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서비스 이용욕구를 보였다. 이와함께 서비스 이용 욕구 면에서도 생존단계별로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기 유방암 및 부인과 암 생존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병기별, 생존단계별로 차별화된 사회사업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support among Korean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cancer stage at diagnosis and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Thus,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based on the survivors` specific nee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0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the cancer stage at diagnosis from 0 to 3 stage and three groups such as acute, extended and long-term survival stages. Analyses of covariance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at stage 3 at diagnosi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at earlier stages. The participants at stage 3 also showed lower use of supportive care services and needs for services. The participants at acute survival sta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eeds for supportive care services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at the later survivorship stages. Overall, this study evidenced that the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have distinct recognition and needs related to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ir cancer stage and their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the cancer stage and the stage of survivorship.

      • KCI등재

        노인 단독가구의 사회자본이 인지적·기능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백옥미(OkMi Ba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는 노인 단독가구의 사회자본과 거주환경이 인지적, 기능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1년 6월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는 전국에 거주하는노인 단독가구원으로서, 총 557명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사회자본 수준은 노인 단독가구의 인지적, 기능적 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고령 친화 거주환경은 노인 단독가구의 인지적 건강 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으나 기능적 건강과는 직접적 관련은 없었다. 특히 사회자본과 거주환경은 노년기 인지적, 기능적 건강에 상호작용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거주환경이 노인 단독가구의 건강에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입증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령 친화환경과 사회자본의 형성 방안에 정책의 관심이 집중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living environment on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collected in June 2021. That data included elderly single household members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557 elderly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ffected the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e age-friendly living environment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gnitive health level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but was not directly related to functional health. Social capit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cognitive and functional health in elderly single househo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focus policy attention on a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ways to form social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