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비만의 정도가 자각적 부담척도에서의 심박수 반응 특성

        백영수(BaekYoung-Soo),정태진(JungTai-Jin) 한국체육학회 2000 한국체육학회지 Vol.39 No.1

        비만의 정도가 운동부하에 대한 심리ㆍ생리적 요인에 미치는 정도의 차이를 Borg의 RPE 척도는 다양한 신체적 특성이나 남녀, 질환의 유무, 그리고 나이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가 있어서 그 효용의 가치는 매우 넓다. 피검자는 C지역道에 재학중인 남자 중학교 1~3학년으로 학교에서 체육수업 이외에는 특별히 신체훈련을 하지않는 총 42명으로 임의선정하였다. 비만의 정도를 나타내는 body mass index(이하;BMI)에 의해 BMI가 20 이하인 자를 저체중자(underweight), 그리고 BMI가 25.1 이상인 자를 과체중자(overweight)로 분류하였다.본 연구자는 운동부하시에 비만의 정도가 Borg며의 15등급 척도 가운데 13점 척도와 15점 척도에서 나타나는 심박수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자각적 부담도를 이용한 청소년(13~15세)의 운동처방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다.1) 저체중자와 과체중자의 신장은 각각 167.0±4.79cm와 168.3±5.39cm로, 통계적으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 체중은 저체중자가 51.8±4.11kg, & 과체중자는 76.9±7.24kg이었으며, 비만도 지수인 BMI는 저체중자가 18.46±0.62, 과체중자는 27.12±1.76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예측최대심박수는 각각 저체중 자가 206.3 ±0.85bpm, 205.5 ±0.51bpm이였다.3) 자각적 부담척도 13“약간 힘들다”에 대한 과체중자와 저체중자의 심박수는 각각 140.1±7.22bpm과 160.4±5.22bpm에 상응하였고, 이들의 예측최대심박수에서 보면 각각 약 68%HRmax와 약 78%HRmax 수준이었다. 그리고 본 실험에 의하면 BMI 값이 1 증가할수록 심박수는 약2.35beats 증가하며, 두 집단간에는 자각적 부담척도 13에 대한 심박수에 통계적으로 매우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4) 자각적 부담척도 15“힘들다”에 대한 과체중자와 저체중자의 심박수는 각각 159.0±5.25bpm과 176.0±4.13bpm으로 이들의 예측최대심박수에서 보면 각각 약 77%HRmax와 약 85%HRmax 수준이었다. 그리고 본 실험에 의하면 BMI 값이 1 증가할수록 심박수는 약 1.96bpm 증가하며, 두 집단간에는 자각적 부담척도 15에 대한 심박수에 통계적으로 매우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이상을 요약해 보면, 비록 신장이 같은 수준에 있더라도 과잉의 체중은 불활성 무게로 작용하게 되어 심폐지구력이 요구되는 운동에서는 인체에 그 부담도를 가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자각적 부담도가 13에서 15 사이에서는 같은 부하에서 반응하는 심박수는 BMI가 1 증가할수록 평균 약 2beat씩 증가하기 때문에 과체중자를 대상으로 한 운동처방시의 부하강도는 정상적인 BMI 수준인 25를 넘는 자에게 정상 체중을 가진 자와 동일한 부하강도로 설정하게 되면 심혈관 기능에 과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과체중자를 대상으로 한 지구력 운동을 처방할 때에는 체중을 고려한 부하강도 설정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the heart rate in the obesity classification, using the 15 point Borg’s scale, a perceived exertion rating of 13 to 15.In a group of 21 healty junior high school male subject, referred to as the body mass index(BMI), BMI=weigh1/height2(kg/m2), when the BMI is used, underweight is defined as a value of 20 or less, overweight as a value between 25.1 and 30.0. The results are following.The heart rate of the overweight and underweight group in Borg’s 13 point scale(somewhat hard) was 140.1±7.22bpm and 160.4±5.22bpm,respectively. In the heart rate in Borg's 13 point scale, overweigh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lower than underweight group.The heart rate of the overweight and underweight group in Borg's 15 point scale(hard) was 159.0±5.25bpm and 176.0±4.13bpm, respectively.In the heart rate in Borg’s 15 point scale, overweigh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lower than underweight group.Even though a height is at the same level, physical stress will be aggravated by acting overweight as dead weight at physical exercises.In addition, it is founded that the number of heart rate in rating increases by two beat each on the average when BMI increases by about one each in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scale between 13 and 15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