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에서의 마음챙김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백양숙,박호환 한국인사관리학회 201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3 No.1

        지난 30여 년 간 마음챙김(mindfulness)은 개인 차원에서 개인의 인지, 감정, 행동 및 생리적인 측면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최근에는 마음챙김이 개인의 직무스트레스 와 소진, 부적응적인 정서를 감소시키고 조직유효성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면 서 국내외적으로 조직 차원의 마음챙김에 대한 연구 및 적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국내 에서도 조직에서의 마음챙김 연구들이 축적되었지만 아직 그 연구동향을 살펴본 논문은 없다. 따 라서 본 연구는 조직맥락에서 마음챙김을 연구한 52편을 대상으로 연구빈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을 요약하고 개인수준의 연구와 조직수준의 연구로 분류하여 검토하고 그 연구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에서 조직에서의 마음챙김 연구는 2009년에 처음 시작되었고 이후 꾸준하게 증가되어 왔다. 둘째, 마음챙김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가 일치되지 않고 해석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관찰되었다. 셋째,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에 따라 연구결과가 일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의 연구가 개인수준의 마음챙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조직수준의 마음챙김과 구분하는 시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섯째, 가장 큰 문제점은 각 수준의 정의가 동형화되어 있지 않아 다수준 연 구를 수행할 경우 혼란이 야기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의 방 향을 제언하였다. Despite the growing atten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positive organizational outcomes last two decades, there is no critical review of mindfulness in the context of an organization in Korea. It is time to provide comprehensive view of mindfulness in organizational context to help practitioners as well as scholars to conduct fruitful future research. To achieve this goal, the present study integrative reviewed all mindfulness studies in organizational domain by analyzing 52 studies that are published by academic journals or presented on conference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1) many studies adopt measurements that do not reflect the definition used in the study, (2)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e directions and strengths of the effects of mindfulness on organizational variables are mixed, (3) only a couple of organizational-level studies were conducted, and (4) the definitions of organizational- level mindfulness and individual-level mindfulness are inconsistent and there is no valid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level mindful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suggested agenda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코칭 개념과 연구방법에 관한 국내외 비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리웨이,백양숙,박호환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2 코칭능력개발지 Vol.24 No.3

        There has been a steady stream of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on coaching in Korea for the past two decades or so.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iews and trends of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on coaching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have not been properly considered. And the distinction between managerial coaching and executive coaching in Korea is ambiguous, causing confusion among subsequent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duce confusion in coaching research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ture coaching research by comparing overseas and domestic studies. For this purpose of research, more than 40 coaching review papers and 250 domestic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were analyzed. This study analyzed managerial coaching and executive coaching separately.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concept aspects, measurement aspects, analysis methods and outcome aspect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cept, measurement, and results between managerial coaching and executive coaching. We discussed and made suggestions on this for the future research. This pape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oaching research by preventing confusion in coaching research and explaining the scientific theorization process. 2000년 이후 국내외에서 코칭에 관한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들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조직 맥락에서 실행되고 있는 코칭에관한 국내외의 연구의 관점과 경향이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고찰된 바가 없다. 해외에서는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을 명확히 구분하여 연구하는 반면에 국내에서는 명확한 구분 없이 연구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후속 연구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킨다. 따라서본 연구는 조직에서의 코칭에 관한 해외 연구와 국내 연구를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으로 구분하여 개념 및 측정방법 그리고 연구방법에 관해 비교·분석함으로써 혼란을 줄이고 국내 연구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코칭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연구는 2000년 이후 해외에서 개재된 코칭 리뷰논문 40여 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국내 연구는 250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을 구분하여 개념 측면, 측정도구 측면, 분석방법 및 결과 측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와 해외 연구에서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에 대한 개념적 차이와 측정도구의 차이, 분석방법 및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에 관해논의하고 제언을 하였다. 본 논문은 관리적코칭과 임원코칭 연구에 대한 혼란을 줄이고 코칭의 과학적인 이론화 과정을 위해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제언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발전에 기여한다.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운룡,백양숙,박호환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마음챙김과 셀프모니터링이 조절변수로 작동하는 메카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중국의 직장인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침묵과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 둘째,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조직침묵을 덜하고, 직무스트레스를 더 적게 받는다. 셋째, 마음챙김을 잘 하는 직원은 그렇지 않은 직원에 비해 비인격적 감독으로부터 직무스트레스를 더 적게 받고 조직침묵도 더 적게 한다. 넷째, 셀프모니터링의 경우는 마음챙김과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셀프모니터링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조직침묵을 더 많이 하고, 직무스트레스도 더 많이 받는다. 다섯째, 셀프모니터링을 잘못하는 직원은 잘하는 직원에 비해 비인격적 감독이 늘어날 때 받게 되는 직무스트레스의 증가량과 조직침묵의 정도가 더 크다. 다만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침묵의 절대적 수준은 비인격적 감독의 정도와 상관없이 셀프모니터링을 잘하는 직원이 항상 더 크다.

      • KCI등재

        마음챙김이 보상공정성인식과 영업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신갑식,박호환,백양숙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9 창조와 혁신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s of mindfulness between perceived compensation justice and sales performance. 215 data were analyzed based on a survey of salespeople with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in automobile companies.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people, it was measured by Brown & Ryan (2003) 's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MAAS), which consists of a single factor that measures attention and awareness. The study found that the perceived compensation jus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les performance(β=0.15, p<0.05), and that the effect of the perceived compensation justice on the sales performance was verified to be moderated by the mindfulness(β=-0.21, p<0.01). First, the group with high mindfulness had higher sales performance than the group with low mindfulness. In the group with high mindfulness, the difference in sale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ived compensation justi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low mindfulness had different sales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ived compensation justice(p<0.01). This result ha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organizations have an alternative to the limitations of perception based on salespeople’s value and a compensation system that cannot be completely impartial. 본 연구는 마음챙김이 보상공정성인식과 영업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동차영업 경력이 2년 이상인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 215건을 분석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주의기울임과 알아차림을 측정하는 단일요인으로 구성된 Brown & Ryan(2003)의MAAS(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보상공정성인식은 영업성과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고(β=0.15, p<0.05), 보상공정성인식이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마음챙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0.21, p<0.01). 먼저 마음챙김이 높은 집단은 마음챙김이 낮은 집단 보다 영업성과가 높았다. 마음챙김이 높은 집단은 보상공정성인식의 수준에 따른 영업성과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반면에 마음챙김이 낮은 집단은 보상공정성인식의 수준에 따라 영업성과가 달라졌는데 보상공정성인식이 낮은경우 영업성과가 낮았고, 보상공정성인식이 높은 경우 영업성과가 높았고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1). 이 결과는 완벽하게 공정할 수 없는 조직의 보상체계와 개인의 가치관에 따른 인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마음챙김을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직무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장내 갈등의 매개효과와 상사지지의 조절효과

        남영화,박호환,백양숙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2 창조와 혁신 Vol.15 No.3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직장에 보다 더 잘 적응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 하기 위하여 직무능력(업무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직장내 갈등의 매개효과와 상사지지의 조절효과 및 조 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한에 입국하여 하나원을 퇴 소한지 6개월 이상이 되고 직장경험이 있거나 현재 재직중인 20세 이상 북한이탈 주민으로 총 307건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장내 갈등은 업무기술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정(+)적 관계, 조직이해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정(+)적 관계, 문제해결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정(+) 적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자기개발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정(+)적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둘째, 상사지지는 업무기술능력과 직장내 갈등 간의 부(-)적 관계, 조직이 해능력과 직장내 갈등의 간의 부(-)적 관계를 강화시켰다. 반면에 문제해결능력 과 직장내 갈등 간의 부(-)적 관계를 약화시켰다. 마지막으로 상사지지는 업무능력 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직장내 갈등의 매개효과를 강화하였고 문제해결능력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직장내 갈등의 매개효과를 약화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직업훈련을 위한 실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