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l 박막이 증착 된 Si(111) 기판 위에 HVPE 방법으로 성장한 GaN의 특성

        신대현,백신영,이창민,이삼녕,강남룡,박승환,Shin Dae Hyun,Baek Shin Young,Lee Chang Min,Yi Sam Nyung,Kang Nam Lyong,Park Seoung Hwan 한국진공학회 2005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HVPE (Hydride Vapor Phase Epitaxy) 방법으로 Si 위에 GaN/AIN/Al/Si 구조를 제작하고, AlN 버퍼층의 두께에 따른 광학적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eaN 성장을 위한HVPE에서의 공정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l을 증착한 Si 기판과 그렇지 않은 경우를 PL측정을 통해 그 효과를 관찰하였고, $5{\AA}$ 두께의 Al 대해 AlN 버퍼층의 두께를 변화시켜가면서 GaN를 성장시켜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Al을 증착한 경우가 증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AlN의 두께 변화에 대해서는 양질의 GaN를 얻기 위한 최적의 두께는 약 $260{\AA}$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SEM을 이용한 표면사진에서 GaN의 초기성장이 hexagonal형태로 성장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XRD의 회절 패턴은 GaN가 {0001} 방향으로 우선 배향성을 가지고 성장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In this work, we tried to improve the fabrication process in HVPE (Hydride Vapor Phase Epitaxy) system by using Si(111) substrate with pre-deposited Al layer. PL measurements was done for samples with and without pre-deposited Al on Si and it was also examined the dependence of the optical characteristic properties on AlN buffer thickness for GaN/AIN/Al/Si. A sample with thin Al nucleation layer on Si substrate reveals a better optical property than the other. And it suggests that the thickness for AlN buffer layer with thin Al nucleation layer on Si(111) substrate is most proper about $260{\AA}$ to grow GaN in HVPE system. The surface morphology of GaN clearly shows the hexagonal crystallization. The XRD pattern showed strong peak at GaN{0001} direction.

      • KCI등재

        균열치: 한국에서의 발병률과 치료법

        민정범 ( Jeong Bum Min ),백신영 ( Shin Young Baek ),이현아 ( Hyun A Lee ),황호길 ( Ho Keel Hwang ) 조선대학교 치의학연구원 2011 Oral Biology Research (Oral Biol Res) Vol.35 No.1

        Cracked tooth syndrome including discomfort during mastication, unexplained cold sensitivity, and pain on release of pressure is incomplete fracture of the too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incidence and treatment modality of the cracked tooth in Korea. We have analyzed the incidence and treatment modality of the cracked tooth. 153 cases in our hospital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location, and treatment modality for 2 years. Molar teeth appeared to be the most commonly involved teeth by cracked condition. Cracked tooth syndrome affected adult patients, in the age range of 30 to 60 years. Most cracked teeth were treated by invasive methods such as crown restoration, root canal treatment, and extraction. These clinical points show that diagnosis and treatment in early stage of cracked tooth syndrome are very important. The improv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cracked tooth syndrome must be preceded for effective treatment.

      • KCI등재

        1급 와동에서 상아질과 복합레진의 결합강도에 대한 중합방법의 효과

        백신영,조영곤,송병춘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5

        본 연구는 1급 복합레진 수복물에서 할로겐 광조사기를 이용한 4가지 중합방법이 상아질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발거된 상·하악 대구치 20개의 교합면측 법랑질을 Diamond Wheel Saw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1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중합방법에 따라 파동지연 중합방법 (PD) 군,연성 중합방법 (SS) 군,파동 중합방법 (PC) 군,지속 중합방법 (CC) 군의 4개 군으로 분류하고, Z250 복합레진을 각 군의 와동에 충전한 후 광조사하였다. 각 군의 시편을 주수하에 접착계면의 단면적이 1㎟가 되도록 절단하여 막대모양의 시편을 제작하였고,각 군당 20 개의 시편을 사용하여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D 군은 PC 군과 CC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2. SS 군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PC 군과 CC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1급 복합레진 수복물을 중합할 때 파동지연 중합방법과 연성 중합방법을 사용하여 중합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아질과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cro tensile bond strength in Class I cavities associated with different light curing modes of same light energy density. Occlusal enamel was removed to expose a flat dentin surface and twenty box-shaped Class I cavities were prepared in dentin. Single Bond (3M Dental product) was applied and Z 250 was inserted using bulk technique. The composite was light-cured using one of four techniques; pulse delay (PD group), soft-start (SS group),pulse cure (PC group) and standard continuous cure (CC group). The light-cur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ime and intensity (VIP,Bisco Dental product) was selected and the light energy density for all curing modes was fixed at 16 J/㎠. After storage for 24 hours,specimens were sectioned into beams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area of approximately 1 ㎟. Microtensile bond strength (μTBS) test was perform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EZ Test,Shimadzu Co.).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and Tukey's test at significance level 0.05. The μTBS of PD group and SS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PC group and CC group.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in vitro study,modification of curing modes such as pulse delay and soft start polymerization can improve resin/dentin bond strength in Class I cavities by controlling -polymerization velocity of composite re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