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현구 시의 ‘새’ 이미지

        백수인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2

        Up until now, research on Kim Hyeon-gu’s world of poetry has been conducted in two broad dimensions: his life and poetic views of the world in general and his literary works in connection with the poetic literature groups to which he belonged. Interestingly, thematic aspects of his poetic world have not been at the center of much related research. The present study designed to fill this gap analyzed his poems from thematic perspectives, focusing specifically on images of birds that appeared in his poems. It was brought to my scholarly attention, which invoked my intellectual curiosity leading to the present study, that he regarded birds with great affection such that even his nom de plume is Hyen-gu (black dove), unambiguously indicating his deep fondness for birds. Various types of birds were described in his poems making their unique contributions to illustrating varying degrees of emotional contents. ‘Black dove’ considered to be a self-portrait was illustrated in his poetic world as an objective correlative depicting such affective domains as loneliness, sorrow, nostalgia, moments of wandering, and so forth. ‘Turtledove’ was interpreted as representing his metaphorical tool to ventilate diverse affective facets embedded in human life such as emptiness, nihility, solitariness, grief, and anguish. However, ‘dove’ without any prefix or modifier emanates more positive and pleasant images compared to black doves and turtledoves. He would delineate such negative feelings as emptiness, solitariness, etc., making them sound positive by often altering configurations of words and adding modifiers radiating a positive sense of affect (e.g., selwum to pichna-nun selum). Also, orioles and larks represented different affective domains from what black doves and turtledoves did, with orioles mirroring pleasant images of joy, dream, and fantasy and with larks releasing positive images in general. Seagulls in his poems were recruited to express a feeling of sorrow containing loneliness and lamentation. Likewise, cuckoos represented loneliness, and his ppekkwuk-wulum was used as an auditory route to display grief of parting. Lastly, images of mountain birds in general connote loneliness. They embodied bereavement or lonesome feelings caused by the loss of a partner. For instance, mountain birds in his poem “With a little ‘you’ gone as a mountain bird” represented an affective image of bereavement. All in all, poetic images of various birds that appeared in his poems mainly depicted negative feelings in most cases such as nihility, solitariness, sorrow, death, etc. although (some) birds were poetically adopted to display positive feelings such as joy. 지금까지의 김현구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진행되었다. 김현구의 생애와 시 세계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그 하나요, 시문학파와 관련지어 그 일원으로서의 문학사적 연구가 그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김현구에 대한 주제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 글은 김현구의 시에 나타난 ‘새’ 이미지를 통해 그의 시 세계의 특질에 접근하고자 한다. ‘새’에 주목하게 된 이유는 그의 시 작품에 ‘새’가 비교적 빈번하게등장할 뿐만 아니라, ‘새’를 통해서 그의 시적 정서를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엿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가 자신의 호를 ‘玄鳩’(검정 비둘기)로 정하고, 자신을투영하는 자화상과 같은 시를 「검정 비들기」라는 제목으로 쓸 정도로 자신과 새의관계를 밀접하게 느끼고 있는 점도 이런 의도를 뒷받침한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새는 주로 ‘비둘기’, ‘종달새’, ‘꾀꼬리’, ‘갈매기’, ‘뻐꾹새’, ‘쑥궁새’ 등이고 범칭으로 ‘산새’, ‘잘새’로 나타나기도 한다. 현구 자신의 자화상이라는 평을 받은 ‘검정비들기’는 외로움, 슬픔(설움), 그리움, 방황 등의 정서에 대한 객관적 상관물로 나타난다. ‘山비달기’, ‘산비들기’는 ‘공허’, ‘허무’, ‘고독’의 상황과 비탄과 애통의 정서를 환기한다. 수식어가 없는‘비들기’는 ‘검정 비들기’, ‘산비들기’ 보다는 밝고 명랑한 이미지이다. 설움조차‘빛나는 서름’이라고 표현하여 허무, 고독 등을 바탕으로 한 부정적 이미지가 아니라 다소 긍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꾀꼬리’와 ‘종달새’의 이미지는 ‘검정 비둘기’, ‘산비둘기’와는 조금 다른 정서와 의미를 보여주었다. ‘꾀꼬리’ 이미지는 밝고 긍정적인 ‘환희’, ‘꿈’, ‘환상’과 같은 밝은 심상으로 표현되었다. ‘종달새’ 또한 대체적으로 밝고 긍정적 이미지로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다. ‘갈매기’ 이미지는 ‘외로움’과 ‘한탄’을 지닌 서러움의 표상이며, ‘두견이’ 이미지 또한 ‘외로움’의 심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뻐꾹우름”은 이별의 비애를표출하는 청각적 이미지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범칭인 ‘산새’의 이미지는 ‘외로움’을 함축하고 있다. 사별의 슬픔, 짝을 잃은 외로움을 형상화하는 기재로 작용한다. 특히 「어린 너는 산새처럼 가버리고」에서 ‘산새’는 ‘사별’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처럼 현구의 시에 나타는 ‘새’의 이미지는 ‘환희’와 같은 밝은 의미를 환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허무’, ‘외로움’, ‘설움’ ‘죽음’ 등 부정적인 정서를환기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특징으로 드러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