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장부호를 사용한 효과적인 중국어 최장명사구 식별기법

        백설매(Xue-Mei Bai),이금희(Jin-Ji Li),김미훈(Mei-Xun Jin),정유진(You-Jin Cheng),이종혁(Jong-Hy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일반적으로 중국어의 명사구는 최단명사구, 기본명사구, 최장명사구로 분류된다. 최장명사구에 대한 정확한 식별은 문장의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문장의 정확한 지배용언을 찾아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성에 따라 5개의 클래스로 세분화된 문장부호를 학습자질로 사용하여 최장명사구 자동식별을 진행한다. 제안된 기법은 평균길이가 4인 최장명사구의 식별실험에서 기본모델(baseline)보다 4.5% 향상된 평균 85.1%의 우수한 F-measure 성능을 보인다.

      • 문장부호 정보와 확장된 청크에 기반한 중국어 최장명사구 식별

        백설매(Xue-Mei Bai),김미훈(Mei-Xun Jin),이금희(Jin-Ji Li),정유진(You-Jin Chung),이종혁(Jong-Hy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5 No.10

        명사구는 기본명사구와 최장명사구로 분류된다. 최장명사구에 대한 정확한 식별은 문장의 전체적인 구문구조를 파악하고 문장의 정확한 지배용언을 찾아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청크(chunk) 개념과 다섯 개의 클래스로 세분화된 문장부호 정보를 사용한 최장명사구 식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본모델(baseline)보다 4.05% 향상된 평균 88.63%의 우수한 F-measure 성능을 보인다.

      • KCI등재

        확장청크와 세분화된 문장부호에 기반한 중국어 최장명사구 식별

        백설매(Xue-Mei Bai),이금희(Jin-Ji Li),김동일(Dong-Il Kim),이종혁(Jong-Hy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4

        일반적으로 명사구는 기본명사구와 최장명사구로 분류되는데 최장명사구에 대한 정확한 식별은 문장의 전체적인 구문구조를 파악하고 정확한 지배용언을 찾아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청크(chunk) 개념과 다섯 개의 클래스로 세분화된 문장부호 정보를 자질로 사용한 두 단계 최장명사구 식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기본모델보다 2.65% 향상된 평균 89.66%(F₁-measure)의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In general, there are two types of noun phrases(NP): Base Noun Phrase(BNP), and Maximal-Length Noun Phrase(MNP). MNP identification can largely reduce the complexity of full parsing, help analyze the general structure of complex sentences, and provide important clues for detecting main predicates in Chinese senten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2-phase hybrid approach for MNP identification which adopts salient features such as expanded chunks and classified punctuations to improve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 shows a high quality performance of 89.66% in F₁-measure.

      • KCI등재

        충청남도 해미읍성 유적지 주변 남문1로와 남문2로의 가로시설물의 특성 분석을 통한 디자인 제안

        백설 ( Bai Xue ),시치팡 ( Shi Zhi Fang ),한상윤 ( Han Sang 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세계화가 지속되면서 대규모 도시계획과 건설에 의해 지역문화가 빠르게 소실되고 있다. 특히 많은 역사마을과 유적지 등이 점차 고립되고 있으며 지역 내 가로시설물과 마을 유적지 간의 연결점 부족과 시설물 디자인의 획일화와 평준화 및 무특색으로 지역 특색을 반영하지 못한 시설물 디자인 및 가로시설물 부족 등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성이 두터운 해미읍성 유적지를 보호하며 고유성을 진작시키고 특색있는 주변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주변의 가로시설물 보완에 필요한 합리적인 디자인 제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해미읍성 유적지 주변의 도로를 중심으로 가로시설물의 개념과 분류에 관한 문헌조사를 토대로 체계적인 이론 고찰과 더불어 해미읍성 유적지 주변의 남문1로와 남문2로에 대한 대상지 현장실사를 바탕으로 주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가로시설물의 현존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미읍성 유적지 주변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여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가로시설물디자인 근거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역사 및 문화를 지속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사적 116호 해미읍성을 중심으로 한 주민생활권에 대해 역사유적지의 기존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가로시설물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둘째, 시설물 현황 연구를 기반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가로시설물의 외관과 내용에 관한 기본적인 디자인 방향에 따른디자인 모델 및 가로시설물에 적합한 색채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디자인 사례를 기반으로 해미읍성에 적합한 가로시설물의 디자인 근거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마을의 문화 계승 및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Local culture is rapidly disappearing due to continuous globalization and large-scale urban planning and construction. In particular, many historic villages and historic sites are gradually isolated,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local street facilities and historic village sites, uniformity, leveling and non-characteristics of facility design, facility design that does not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lack of street fac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asonable design proposals necessary to supplement street facilities around the Haemieupseong.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A systematic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street facilities, focusing on the roads around Haemieupseong. Based on the on-site inspection of Nammun 1-ro and Nammun 2-ro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for residents and tourists to identify the existing problems of street facilities and to derive design elements for street facilities. Then, this study proposed a rational for an applicable and reasonal street facility design.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two meanings. First, in order to continuously inherit history and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ign of street facilities that could utilize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historic sites for residents living areas centered on Haemieupseong, Historic Site No. 116. Second, this study raised the problem to be solved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and proposed a design model and color suitable for stree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basic design direction for the appearance and contents of street facilitie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be able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the village by presenting the design rationale and specific method for street facilities suitable for Haemieupseong based on design cases.

      • 동양(한.중.일) 화예 분석을 통한 화예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일본 전통화예를 기반으로-

        백설 ( Bai Xue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3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34 No.0

        현대사회의 대중들은 생활 품질이 높아짐에 따라 여가생활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화예디자인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마음 및 감정을 표하는 방식이기도 하지만 공간장식의 기능도 있다. 미국, 영국 화예디자인으로 대표하는 서양 화예가 있고 한국, 중국, 일본으로 대표하는 동양 화예디자인도 있다. 서양 화예디자인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듯이 동양 화예디자인 또한 관련 교육, 상품개발 등 분야에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동양 화예디자인 관련 교육 및 상품개발을 진행하기 위해 동양 화예디자인의 전반적으로 조사, 정리,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동양(한국, 중국, 일본)화예의 나라별 디자인 형태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동양 전통 화예를 정의하고, 향후 현대 화예디자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Flower Design is a way to express one's heart and feelings between people, but it also has a function of empty decoration.In order to conduct educ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related to oriental painting design, research on overall research, organization, and analysis of oriental painting design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define Oriental traditional ar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ms by country of Oriental (Korea, China, and Japan) art and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use as a modern art design.

      • KCI등재후보

        중국 화예디자인에 사용된 전통 고정 방법 사례 연구 -살(撒)을 중심으로-

        백설 ( Bai Xue ),이주현 ( Lee Joo Hyun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4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50 No.0

        중국 전통 화예디자인은 오랜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꽃 같은 소재 그 자체의 모습을 찾아 표현하는 동양적인 꽃 예술이다. 자연 이미지의 단순한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배경, 모양과 정신, 풍경과 감정을 함께 혼합하는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중국 전통 화예디자인에서 소재를 고정하는 방법은 예술 창작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며, 고대부터 중국 전통 화예디자인에는 소재를 고정하기 위해 천연 재료나 재사용이 가능한 방법을 사용해 왔으며, 이 중에서 대표적인 고정 방법은 살(撒), 화삽 (침봉)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전통 화예디자인의 고정 방법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특히 고정 방법인 ‘살(撒)’을 중심으로 정리, 분석 작업을 수행한 다음에 체계적인 분류 및 향후 응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중국 전통 화예디자인, 고정 방법의 유형 및 기타 관련 이론적 지식을 이해하고 특히 살(撒)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과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음은 살(撒)의 기원에 관련 역사적 기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 책에서 살(撒)의 소개와 분류를 조사, 분석하고 정리하고 살(撒)의 제작 재료와 제작 방법을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화예디자인의 전통 고정 방법인 살(撒)의 역사적 유래, 제작 재료, 종류, 제작 방법 및 응용 등의 조사, 자료 수집 및 분석하여 관련 연구에 체계적인 이론적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국 전통 고정 방법을 중심으로 진행된 학술적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이라 본 연구의 참고문헌은 주로 서적이라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런 한계로 인해 본 연구는 주로 살(撒)의 정리, 분석 및 체계적인 분류에 집중이 되었으며, 살(撒)의 특징 및 응용에 방향 제시를 하였다. 향후 중국 전통 화예디자인뿐만 아리나 모든 화예디자인의 고정 방법에 대한 연구와 응용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다양한 유형의 고정 방법을 관련 분석과 실제 응용을 확대하여 많은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Chinese traditional flower arrangement art has a long history and cultural background, Chinese traditional flower arrangement art pursues natural beauty, focuses on discovering the beauty and integration of the material itself, which is not only a simple repetition of natural images, but also to blend the meaning with the situation, shape with the spirit, scenery and emotion together.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Chinese flower arrangement art, the method of fixing the material is an important part of artistic creation. From ancient times, traditional Chinese flower arrangement has used natural materials to fix the flower material, and the more representative methods of fixing them are ‘Sa’, HuaCha(Kenshin), etc. This study takes the fixing methods of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as the object of research, especially focusing on the fixing method of ‘Sa’. The research methodology is to first understand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 types of fixing methods and other related theoretical knowledge, and then summarize detailed research on Sa, especially on Sa. Then, in order to learn about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origin of Sa, the introduction and classification of Sa in relevant books were investigated, analyzed and summarized, and th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Sa were summarized, and finally conclusions were drawn. This study investigates, organizes and analyzes the historical origins, materials, type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flower arrangement, so as to provide systematic theoretical research materials for the study of flower arrangement. We hope to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fixation methods for not only traditional Chinese artistic designs, but also for all artistic designs, and we look forward to further research on the analysi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various types of fixation methods.

      • KCI등재

        콘텐츠 내부요인과 현지시장 외부요인을 활용한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 분석

        임몽로 ( Ren Meng-lu ),조혁수 ( Cho Hyuk-soo ),백설 ( Bai Xue ),번영 ( Fan Rong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중국소비자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종속변수(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관련 8개의 독립변수가 설정되었다. 이 중 내용 완성도, 유교적 전통요소, 현대적 감각, 출연자의 인지도는 내부적인 요인을 설명하고 있으며, 접근 용이성, 기술적 진보, 현지 정부 규제, 대중적 관심은 외부적 요인을 반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조절변수(문화적 근접성) 관련 영향력도 분석하였다.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중국소비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47개의 응답 자료가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내용 완성도, 현대적 감각, 출연자의 인지도, 기술적 진보, 대중적 관심이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정부 규제는 오히려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문화 근접성 관련 조절효과는 제한적으로만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with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environments. The case of Chinese consumers who enjoy Korean dramas was empirically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e set internal factors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such as performance quality, confucian value, modern style, and actor popularity. External factors including accessibility, technology advancement, government regulation, and isomorphism among consumers were determined. The eight variables are independent variables in terms of the dependent variabl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contents.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proximity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eight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Chinese consumers who enjoy Korean dramas. In specific, 447 responses were used to verify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found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empirically tested by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performance quality, modern style, and actor popularity did play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contents. Also, technology advancement and isomorphism among consumers may increase the consumption. Increasingly, unlike the hypothesis, government regulation can be positive to increase the consumption. Limited moderating effects could be supported by the empirical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