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자본의 보유 및 학업적 보상 양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백병부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possession of and rewarding mechanism for cultural capital using interviews with secondary teachers in Seoul. Major findings are like these. First, while perceiving the differences in overseas trip and stay between Kangnam and Non-Kangnam or among classes, teachers don't know the differences in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and readings. Furthermore, teachers feels the differences in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and readings are resulted not from socio-economic background but from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s can help to reduce the gap. Second, students’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can be rewarded by some teachers and their friends. Especially, these teachers have a lot of high-brow cultural experiences. But most of these rewards are given through indirectly method and most teachers don’t give any reward. Third, most teachers give rewards to good personality rather than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and readings which have been used to main measures of cultural capital. Forth, this study shows the reasons of the lack of rewards for high-brow cultural activities in Korea.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chers and school field, objective and minimalist approaches of teachers in teaching and evaluation. From these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newal of definition and measures of cultural capital in Korea. 이 연구는 서울의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문화자본 보유 양상과 학업적 보상 여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 본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해외여행이나 체류 경험에서는 계층 혹은 지역 간에 차이가 확연하지만, 고급문화활동이나 독서 정도에서는 그 차이가 확연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나아가 교사들은 고급문화활동이나 독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격차는 계층보다는 개인적 기질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더 많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그 격차도 학교에서의 체험활동이나 독서 지도 등을 통해서 극복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고급문화활동 경험은 상대적으로 고급문화활동을 많이 경험한 교사들과 동료 학생들에게서 일부 인정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보상은 더 많은 관심이나 능력계발의 기회 제공 등과 같은 간접적인 형태의 것이 대부분이었고, 대부분의 교사들에게는 특별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전통적으로 문화자본의 척도로 사용되어온 고급문화활동이나 독서 향유 정도보다는 학생들의 인성을 근거로 직간접적인 보상을 제공하고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고급문화활동에 대한 학업적 보상이 서구 사회에 비해 인색한 이유와 관련하여 학교 장 및 교사의 특성, 사회적 신뢰의 결핍으로 인한 객관주의적 접근, 집단주의적 교수문화로 인한 최소주의적 접근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문화자본에 대한 정의와 그 척도가 새롭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수준별 하반 편성과 특별보충수업이 중학교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에 끼치는 영향

        백병부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활용하여 특별보충수업과 수준별 하반 편성이 중학교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특별보충수업 경험이 영어와 수학 과목 모두에서 부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과목에서 그 영향력의 정도가 훨씬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준별 하반 편성은 그 자체만으로는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반면에 학습부진학생을 수준별 중상반에 편성하는 것은 교과목 효능감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과목의 경우에는 참여지향수업 경험 정도가 특별보충수업 및 수준별 하반 편성과 상호작용하여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학생들은 이미 다른 나라 학생들에 비해 상당히 낮은 학업자아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부진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학업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다는 데 주목하면서 학습부진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교수 전략을 재점검해야 하고, 학습부진학생을 의도적으로 수준별 중상반에 배치하는 것과 같은 배려와 함께 이러한 조치에 의해 제고된 학습부진학생들의 교과목 효능감이 실질적인 인지적 성취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들에 대해 고민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s of law ability grouping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un erachievers. The major findings are like these. First,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underachievers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In particular, this effect is more apparent in math. Second, low ability grouping for underachievers has not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in itself. But allocating underachievers to middle or upper ability class raises self-efficacy of underachievers. Third, the interaction terms between participationoriented instruction and special supplemental instruction or low ability group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of underachievers.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reviewing the teachers' instruction strategy for underachievers and allocating underachievers to middle or upper ability class intentionally are considered. Further, this study urges to seek the substantial strategy for how to raise cognitive achievement through self-efficacy of underachievers.

      • KCI등재

        교사의 아비투스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 방식의 차이: 중학교 국어과 교사에 대한 사례 연구

        백병부 한국교육사회학회 2008 교육사회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교사들의 아비투스에 따라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방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중학교 국어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 본 것이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같은 학교에 재직 중인 국어과 교사들 사이에서도 문화자본 보유의 양적, 질적 편차가 있었으며, 이러한 편차는 출신 계급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문화자본의 보유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아비투스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방식도 다르게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문화자본을 가진 교사들은 ‘여유로움과 문화적 역량의 강화 추구’로 개념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을 하고 있었으며, 중간 수준의 문화자본을 가진 교사는 ‘허세와 불만 속의 순응’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 전략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낮은 수준의 문화자본을 가진 교사는 ‘의식 속의 거부와 현실적 수용’으로 유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들 교사들이 문화실조론적 사고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crutin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habitu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rough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korea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ultural capital of teachers differ from one another. This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class status of each teacher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of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ir habitus. Teachers with high states of cultural capital do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eeking generality and empowerment for cultural literacy.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eachers with middle states of cultural capital is conceptualized by a pretension and compliance in discontent; while, teachers with low states of cultural capital have a curriculum implementation strategy conceptualized by an resistance in consciousness and approval in action. Lastly, this study confirms that teachers have cultural deficiency thought. This thought can lead to reproduction by cultural capital.

      • KCI등재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졸 청년층을 중심으로

        백병부,유백산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4년제 대졸 청년층을 대상으로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편입학을 중심으로 구명하였다. 아울러 대기업 정규직으로 대변되는 입직단계와 직무할당에 따른 임금수준 모두를 노동시장 성과로 고려함으로써 편입학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입직단계에서 편입학은 대학 서열이 통제된 상태에서는 대기업 정규직 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첫 직장에서의 임금수준과 관련해서는 편입학이 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기업내부에 차별적인 보상시스템이 존재하며, 편입학 경력은 일종의 유리천장(glass ceiling)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벌 프리미엄을 노린 무분별한 편입학보다는 기회비용을 고려한 합리적인 편입학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한 교사 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사회경제적 배경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백병부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2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이 지각한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의 제고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해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ES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SES는 이전 학업성취 수준을 비롯한 여타의 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초기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있었다. 한편 SES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 증가율에 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는데, 그 영향력의 정도가 SES에 따른 초기 학업성취도에서의 격차를 만회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배경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임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둘째, 학생이 지각한 성취압력은 학업성취 수준을 제고하는 데 일정 정도의 도움을 주고 있었지만, SES에 따른 교육격차를 감소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성취압력에 대한 인식은 SES를 비롯한 여타의 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영어, 수학 과목의 초기 학업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SES와 성취압력과의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해 본 결과 성취압력에 대한 인식은 국어, 영어, 수학 모두에서 최하의 SES를 가진 학생에 비해 중상 이상의 SES를 가진 학생의 학업성취 초기값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압력을 내면화시키는 것만으로는 가정배경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를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uses SELS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tudents' perceived academic pres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ducational gap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socio-economic status (SES) has independe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SES increases the initial academic achievement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However, SES has nega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slopes of Korean, Math and English, and the effects are such that it is not possible to make up for the achievement gaps in early academic achievement from SES. Second, while academic pr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limitations to how much the educational gap created by SES may be decreased. Specifically, academic press is helpful in raising early academic achievement when other variable are controlled.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SES and academic press increas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er- and middle-SES students more than that of lower-SES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academic press has certain limitations in terms of decreasing the educational gap.

      • KCI등재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 결정 요인 분석

        백병부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underachievement in Korean middle schools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The fiv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low level of education and poverty independently influence their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 particular, poverty mediates the influences of ‘household income’ and ‘parentless family’ variables upon underachievement. Second, parental involvement has an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underachievement independently from the family’s SES variable. Parental involvement is also found to have an indirect impact on preventing children’s underachievement by increasing the hours for both self-study and private tutoring, as well as by developing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Third, this study found out the ways in which study time influences students’ underachievement. The analysis shows that private tutoring hours prevent underachievement better than self-study time, but also that self-study time has a greater affect than private tutoring hours on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both of which have independent influences on underachievement. Fourth, as alluded to earlier, subject-efficacy and the conception of the self as learner have an influence on underachievement.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eacher instruction that stimulates students’ intellectual challenges and invites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can increase subject-efficacy and self-concept as learner, which will in turn prevent underachievement. Fifth, on the school level, schools’ average SES and degrees of pressure for learning achieveme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venting underachievement. A school’s high SES is likely to lower the possibility of underachievement. These findings may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 that preventing underachievement requires diversifying student population, in particular based upon each school’s socio-economic background.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하여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구명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부모학력과 빈곤 여부가 학습부진 여부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특히 빈곤 여부는 학습부진에 대한 가구소득 및 결손가정 여부의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학업적 지원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수들과 독립적으로 학습부진 여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지원은 자습 시간과 사교육 시간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교과목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 등을 제고하는 데 영향을 끼침으로써 학습부진 여부에 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습시간이 학습부진 여부에 대해 끼치는 영향력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자습 시간보다는 사교육 시간이 학습부진이 될 개연성을 낮추는 데 더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부진 여부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교과목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이 자습 시간보다는 사교육 시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궁극적으로는 자습 시간도 사교육 시간 못지않게 학습부진을 예방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과목 효능감이나 학업자아개념이 학습부진 여부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지적인 도전감을 자극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 활동을 제공하게 되면 해당 교과목에 대한 효능감과 학업자아개념이 높아지며, 이것이 결국은 학습부진의 예방으로 이어지게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 수준에서는 평균 SES와 성취압력이 학습부진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 중에서 평균 SES가 높은 학교에 재학 중일수록 학습부진에 해당할 개연성이 낮게 나타난다는 것은 소득 재분배 정책이나 재학생들의 인적 구성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 등과 같이 학교의 평균 SES를 제고하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학습부진 예방 대책이 실효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교육행정기관의 협업 실태 분석:경기도교육청 직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백병부,나현주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1

        정책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공기관의 협업이 강조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과 같은 교육행정기관도 마찬가지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경기도교육청 구성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기관의 협업 실태를 분석하였다. 경기도교육청 소속 직원을 전문직과 일반직, 직급, 근무지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FGI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청의 협업에 대해서는 FGI 참여자 모두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평가하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협업은 사안 대처를 위한 사후적 협조 요청, 참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는 못하는 협업, 목표보다는 책임을 먼저 생각하는 협업, 관계의 질이 협업의 질을 결정하는 협업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상으로 협업이 진행되는 이유로 협업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 자신의 업무를 중심에 두고 공문으로 일하는 업무 처리 방식, 각개약진과 갈등을 부추기는 조직구조와 문화, 일반직과 전문직 간 소통과 이해 부족, 집단이기주의를 중재하고 조정할 수 있는 리더나 조정자의 역할 부재 등을 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협업적 조직 문화 형성, 구성원의 협업 역량 강화, 협업 리더십 구축, 조직 재구조화, 자연스럽게 협업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넛지 전략 등을 협업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Purpose: As the policy environment changes, collaboration among public institutions has been emphasized. The same is tru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s such as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collaboration in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agency based on the member’s recogni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method this study used was FGI based on the staff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he focus group consisted of 12 group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departments and positions. The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s divided by three categories: collaboration necessity, collaboration experience, and collaboration activ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FGI are as follows. First of all, FGI participa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Collaboration that is currently underway has some limits: unilateral cooperation requests to cope with issues, collaboration in which that all the participants cannot succeed, collaboration based on establishing responsibility first, an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is the main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collaboration. The causes of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ear and rejection of possible collaboration, the manner in which work is executed is altered, the emergence of a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that encourages conflict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general and professional staff, and the absence of leadership roles to mediate and adjust for group selfish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methods which includes the formation of a collaborative culture, strengthening of the collaborative capacity of members, building collaborative leadership roles, restructuring of the organization and nudge strategies that naturally motivate collaboration. Values: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can contribute to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llaboration with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Furthermore, this study can help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identify the conditions necessary to accept new policy demands through collaboration.

      • KCI등재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 2009년 이후 학교변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백병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GOE), which is promoting school innovation in a way that conforms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since 2009. The achievements confirmed through FGI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of GOE raised the sensitivity of the ‘schoolness’. Second,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of GOE recognized the teacher as a growing entity through linkage with the learning community and the local community. Third,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of GOE strengthened the subjectivity of students and parents. Fourth, GOE succeeded in expanding the base of school innovation. Lastly, the above results have led to the pride that Gyeonggi Province is leading the innovation of Korean education. The following tasks are identified.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at there is a wide variation in innovation among schools. The second is the problem of leader reproduction. Third, the school innovation policy of GOE does not coincide with the voice of the field. The fourth is micro and segmental school innovation. The fifth is the stagnation of innov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licy authorities need to continue to make efforts to upgrade the level of school innovation, while at the same time creating a new model of innovation in order to deepen it . 이 연구는 교육 분권과 자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2009년부터 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학교혁신 정책을 추진 중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FGI를 통해서 확인한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은 학교다움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민감성을 제고했다. 둘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은 교사를 학습공동체나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서 성장하는 존재로 인식하도록했다. 셋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은 학생과 학부모의 주체성을 강화했다. 넷째, 경기도교육청은 소수의학교를 대상으로 한 모델 창출 전략을 넘어 학교혁신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 성공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성과는경기도가 우리나라 교육의 혁신을 선도한다는 자부심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와 함께 확인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다른 무엇보다도 심각하게 제기된 문제는 학교 간 혁신의 편차가 심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리더 재생산의 문제이다. 세 번째는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정책이 현장의 눈높이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네 번째는 미시적이고분절적인 학교혁신이다. 다섯 번째는 혁신의 정체 현상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정책 당국이 학교혁신의 상향평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동시에지금까지의 성과를 계승하면서도 이를 질적으로 심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혁신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 KCI등재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 위협 요인 분석:혁신학교 확산기 경기도의 경험을 중심으로

        백병부,성열관,양성관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3

        Purpo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he year of 2015 was not only the time for Hyukshin schools spreading but also the time of new policies by the new superintendent. At the same time, questions about sustainability of Hyukshin schools had been rais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in 2015, this study summarizes the factors threatening the sustainability of Hyukshin schools.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he method of this study is FGI of the teachers in Hyukshin Schools. The 6 focus group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school level and status. The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s. Each FGI, which lasted about two hours, was recorded. We read repeatedly recorded data and analyzed in the order of segmentation, initial coding, in-depth coding, and subject gener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outside the school that threaten the sustainability of Hyukshin schools were identified as ideological controversies about academic achievement, budget reduction coupled with changes in policy focus, and mobilization and exhaustion of teachers of Hyukshin schools. In addition, the factors within the school were the transfer of innovation-led teachers,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eachers, excessive collectivism, changes in power relations coupled with conflicts between members. Value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sustainability issues raised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ing and spreading policy of Hyukshin school.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the values in that many offices of education are trying to spread Hyukshin schools by imitating the policies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이 연구는 2015년 경기도의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정리한 것이다. 경기도의 2015년은 혁신학교 확산 정책이 본격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2014년에 교육감이 교체되면서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을 비롯한 새로운 정책이 추진되는 등 여러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이와 함께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혁신학교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서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에 위협이 되는 요인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학교 밖 요인으로는 혁신학교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논쟁, 정책 중점의 변화와 맞물린 예산 감축, 혁신학교 확산을 위한 동원과 이에 따른 소진 등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학교 안 요인으로는 혁신 주도 교원의 전출 및 교원 구성의 변화, 과도한 집단주의 풍토, 권력 관계의 변화와 교육관을 둘러싼 구성원 간 갈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혁신학교 인사 정책을 혁신해야 하며, 혁신학교 지정 속도를 조절하는 동시에 질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이 연구에서는 정책의 형성과 추진 과정에서 민주성을 확보할 것과 학교의 윤리적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