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평가방법으로서 모니터링 활동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연구

        백미현(Mi-Hyun, Paek)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현장평가 방법의 하나로 병행되고 있는 모니터링 평가활동에서 나타난 전문가들의 인식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013~2019년 경기문화재단 꿈다락문화학교 모니터링 사업 약 7년의 결과자료에서 전문가 총평, 수집가능한 모니터링 운영회의록 일부와 2019년 전체회의록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1차적으로 전문가들이 현장평가에서 반복적으로 거론하는평가 이슈와 중요한 강조점 위주로 추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핵심키워드를 정리하였다. 분석틀은‘모니터링 기본철학’, ‘현장실천방법론’, ‘현장사례’의 3개 영역에 각 하위영역 총평 3개, 회의록 11개를 정의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Ⅴ장에서 총평에서 전문가들의 개별이슈와 공통이슈, 회의록에서 나타난 평가 경력전문가와 신규전문가의 인식비교, 전문가들의 평가주관성을 제시하였다. Ⅵ장 논의에서 평가에대한 전문가 인식으로‘단체의 문화예술교육 철학과 교육목적에 대한 확인, 교육방법론으로서‘과정중심’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혼란, 고민과 성찰 없는 문화예술교육의 반복적 개설에 대한비판’을 논하였다.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은 ‘1인 현장방문 평가의 한계, ‘문화예술교육평가전문가 기준의 모호함, 모니터링 평가활동의 가치·철학은 사라지고 사업만 남았다는 지적’을논하였다. 향후 문화예술교육 평가 전문성을 확보하는 ‘사전연수’시스템과 ‘모니터링 평가준거의 지속’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This study studied the perception of experts in monitoring and evaluation activities, which are being conducted as part of one metho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evaluation.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2013-2019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s monitoring projects of Toyo-culture school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of about seven years of the project, with the general review of experts and some of the collectable monitoring meeting datas and the full datas of 2019. The analysis frame is Basic Philosophy of Monitoring , Field Practice Methodology and Field case . As a result of the study, Chapter V presented ‘the individual major issues and common issues of experts in general evaluation, the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between the admirable experts and new experts in the minutes, and the subjectivity of experts assessment . The expert s perception of the assessment in the discussion in Chapter VI are: They discussed ‘confirmation of participants philosophy and purpo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nfusion over ‘process-orien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criticism of the repeated programs without worries and reflections.’ The expert s perception of the policy also discussed ‘limits of one-person field visit evaluation, ambiguity of expert standards for art education evaluation, and the point that the value and philosophy of monitoring evaluation activities have disappeared and only business remains .

      • KCI등재

        평생학습도시 구축을 위한 평생학습 실태 및 요구분석

        고혜리(Herry Koh),백미현(Mi hyun Paek),이희수(Hee Su Lee),라순주(Soon Joo Ra)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2

        평생교육은 교육에서 소외된 집단들에게 제2의 기회를 주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평생학습에 대한 연 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외된 지역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경기도 양평군의 평 생학습 생태계를 진단하고, 평생학습도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평군의 평생교육 기관에 근무하는 실무자들이 생각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양평군 주민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 특성들은 무 엇인가? 셋째,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평생교육 조직의 체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관 련 기관 실무자들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Weisbord의 6Box 모델을 사용하여 양 평군의 평생교육 기관 및 하위 조직들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들은 양평 군의 물리적 자원 환경에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학습자 서비스 및 활동에 대해 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평군 지역주민들의 평생교육 인지도와 참여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들은 평생교육을 하는 이유 중 학습지향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6Box 모델을 통해 분석한 평생교육 조직 체계는 양평군의 지역적 특징인 농업과 자영업 을 토대로 한 4050세대의 취·창업 및 직업교육 활성화와 평생교육법상의 평생교육 행정조직인 평생학 습팀, 집행기구인 평생교육센터, 심의협의 기구인 평생교육협의회의 정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남겼다. Lifelong education began with educational support for the marginalized. Minimal research of alienated areas from the national benefit of lifelong learning are found while abundant of research on lifelong learning can be found? This study aims to diagnose lifelong learning ecosystems and explore the development plan for building a lifelong learning city in Yangpyeong.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eisbord’s 6Box Model was adopted to diagnos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subsystem of Yangpyeong, and parties of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residents responded to a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persons in lifelong education rated the most positive physical resources environment of Yangpyeong, then the services and activities for the learner was scored the next highest. Second, awareness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lifelong learning appeared to be very high. Third, residents responded with the highest rate in the learning-oriented motives.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to expand Yangpyeong’s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First, redefining of lifelong learning system tailored to the physical and cultural resources environment; Second, re-organizing train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residents of awareness; Third, providing liberal arts and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후보

        링컨센터(LCI)의 교사 재교육에서 심미적 교육에 대한 고찰

        백미현,이희수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3

        일반적으로 교사들의 대표적 재교육인 교원연수는 전공과 관련한 이론 보충이나 교수법, 보편적 교양 등이며. 그 형식은 강의식과 토론 위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마다 되풀이 되는 형식과 내용으로는 교사들의 재교육 기대감이나 정신적 만족감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그로 인해 교육현장에서의 학습전이를 기대하기 힘들다. 본 연구는 기존 교사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사 재교육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제시하고자 미국 뉴욕의 링컨센터의 심미적 교육 입문과정의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링컨센터는 Dewey의 심미적 경험과 탐구이론을 수용, 이를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한 Maxine Greene의 철학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있다. 연구결과, 예술강사, 교육행정가, 기획자와 일반 교사들을 교육대상으로 적용한 이 심미적 교육의 특징은 수업설계과정과 교육과정의 순서적 특징, 선지식의 배제로 인한 상상력학습, 창작자 위치에서의 작품제작 경험, 탐구과정을 통한 예술작품의 분석, 촉진자와 전문가의 역할, 예술작품 범위의 개방성 등으로 나타났다. 심미적 교육이 교사재교육에 활용될 때 교사의 창의력, 업무처리 능력, 정신적 만족감 등이 향상되어 궁극적으로 교육현장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service training, which is one of the most typical re-educational programs teachers, is generally organized with forms of lectures on the supplementary theories which are related with teachers' majors, teaching methods, or general refinement. It is repeated again without changing the forms and contents. Therefore, it is hard to meet the teachers' needs and expect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Introductory Course of Aesthetic Education at Lincoln Center Institute for the Arts in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the value of re-education utilizing the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 LCI is developing the program based on Maxine Greene's art education philosophy that accepts Dewey's theory of aesthetic experience and inquiry. The aesthetic education programed for art instructors, educrats, architects, and teachers has features as follows; procedural synergy of class design and curriculum development, imaginatory learning excluded prior knowledge, experiencing making art work with artistic point of views, appreciating works through inquiring process, roles of facilitators and experts, and broadening boundaries of defining works of art etc. We expect spin-offs by Aesthetic Education be-all and end-all to learning environment; the program could develop teachers' creativity, performance as well as growing satisfaction when it should be applied to the re-education for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