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이탈여성의 ‘표준어’ 수행과 젠더화된 국가의 성원되기

        백미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20 여성학논집 Vol.37 No.1

        이 글은 북한 이탈여성이 ‘북한 말투’를 감추거나 바꾸어 표준어를 사용하는 행위의 의미를 분단체제의 젠더화된 국가 정체성 맥락에서 분석했다. 북한 이탈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북한 말투는 북한이라는 출신 국가와 직결된 아비투스로 한국 사람과 구별되는 ‘열등함’을 상징한다. 분단체제인 한국 사회에서 북한의 장소적 의미는 근대 국가 공간 구성 과정에서 억압되고 타자화되는 속성이다. 북한 이탈여성들의 표준어 수행은 한국사회의 성별, 연령 등 억압 체계와 맞물려 쉽게 달성되기 어렵고, 북한 말투는 교정되었다 해도 불쑥 드러나는 신체화된 차이로 보존된다. 이러한 북한 이탈여성들의 언어수행은 남한 사회의 규범적 국가 공간에 갈등과 균열을 일으켜 차이의 정치를 확장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This articles aims to explore the cultural meaning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language use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South Korea. In order to analyze specific circumstance with regard to language use, speakers' emotions and the societal and cultural meaning,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were conducted.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could be considered to become members having linguistic habitu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North Korean speech style, connected to their identities as the 'people from North Korea', is a cultural indicator distinctive from South Koreans, and a kind of symbolic capital presenting their class statu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Fo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peaking the Standard Language is a part of doing gendered labor, and linked to their intention of becoming the middle class mother in South Korea. In their lives, both Munhwaeo and 'Standard Language' are used switching, and they are linguistic identities chosen and practiced in the interactions with the South Korean society, where they chose to live.

      • KCI등재

        20~30대 비혼 여성들의 주거 경험과 주거 취약청년 담론의 재구성: 청년주거정책 제도화 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백미록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3 젠더와 문화 Vol.16 No.1

        본 연구는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21~′25)」 주거 분야 정책이 20∼30대 비혼 여성들의 주거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교차성 기반 페미니스트 정책 분석(FPA) 방법을 적용하여 서울 지역 20~30대 비혼 여성들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와 1차 계획 주거정책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현실과 정책 간의 분리(decoupling)가 나타났다. 첫째, 청년주거정책은 정책목표에서 젠더를 누락하고 있으며, 청년주거와 관련한 젠더, 계급, 연령 등 불평등 중 취약청년을 중심으로 한 계층 문제만을 반영하고 있다. 둘째, 청년 여성과 청년 남성의 주거 수요를 모두 고려하고 있지 않아 20∼30대 비혼 여성들의 안전 요구가 정책에서 배제됐다. 셋째, 주택 공급 위주의 현 정책은 공/사 이분법을 근거로 결혼, 재생산, 소유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20~30대 여성들의 주거 의미 재배치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여성운동 및 페미니스트 그룹의 성평등 주거권이나 가족 구성권 의제와도 괴리된다. 본 연구는 청년 여성들의 경험에 정합하는 젠더 관점의 주거정책 담론 재구성을 제언한다.

      • KCI우수등재

        지방자치단체 여성정책 후퇴 과정 분석

        백미록 한국여성학회 2023 한국여성학 Vol.39 No.2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anti-feminist forces on the implementation of women’s policies by focusing on the behavior of bureaucrats during a period when the influence of anti-feminist forces in Korean society increased significantly around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It examines the epistemological, material, and normative mechanisms by which some bureaucrats exert “hostile opposition to gender.” First, bureaucrats employ the same language as anti-feminist forces to attack women’s policies and oppose political recognition of gender equality. Second, the refusal to cooperate with women’s policy units, inadequate funding, and exclusion from meetings and reports reinforce the material mechanisms of resistance. Third, there is a regression that restores the normative goals and targets of women’s policy to men. The effect of anti-feminist forces on the women’s policy process can be observed in the discursive retreat of women’s policies and their weakening implement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feminist public policy enforcement is needed to counter the expanding counter-politics of anti-feminism.

      • KCI등재

        지방행정조직의 역설적 관료 남성성 : 신공공관리 행정의 행복통치가 만든 합리적 이성의 역설

        백미록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3 여성학연구 Vol.33 No.2

        이 글은 전통 관료제의 합리적 남성성이 시민과 긴밀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일선 행정조직에서 어떻게 균열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기초지방자치단체 행정조직 A시를 대상으로 행정문서 분석과 정책행위자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지방정부 간 인구 및 재정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시민 행복은 새로운 통치 이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행복한 시민’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통 관료제의 ‘합리적 관료 남성성’은 신공공관리행정의 성과주의, 관료의 사적 이익 추구, 시민의 고객화와 관련하여 세 가지 방향으로 분열한다. 첫째, 예산 확보 및 지역 사업 유치에 성공하는 ‘기업가적 관료’, 둘째 시민과 조직 내부를 돌보는 ‘온화한 가부장’, 셋째, 긍정적 태도로 시민과 상사의 만족 및 행복을 창출하는 ‘협력적 남성성’이다. 이 남성성들은 기존 합리적 관료 남성성과 역설적 관계를 형성한다. 합리적 기술관료의 ‘차가운 이성’은 자신의 ‘영혼을 갈아 넣고’ 시민의 행복을 고양하는 ‘영혼 관리자’로 변해야 승진 등 사적 이익이 충족되는 역설을 생산한다. 본 연구는 이를 합리적 이성의 역설적 관료 남성성으로 분석했다. 역설적 관료 남성성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균열을 보여주지만, 제도적 남성성 규범 자체를 전환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rational masculinity of the traditional bureaucracy is transformed by the bureaucrats of the street-leve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ho interact closely with citizens. To this end, I conducted an analysis of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olicy actors in City A, a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Citizen happiness is emerging as a new governing ideology amidst intensifying population and financial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happy citizens,” the “rational bureaucratic masculinity” that pursues efficiency through division of labor in the traditional bureaucratic organization splits into three directions in relation to the new public management administration's performanceism, bureaucrats' pursuit of private interests, and citizens' customerization. First, the “entrepreneurial bureaucrat” who succeeds in securing budgets and attracting local businesses in highflier positions; second, the “gentle patriarch” who cares for citizens and the organization; and third, the “cooperative masculinity” who creates satisfaction for citizens and superiors with a positive attitude. These masculinities form a paradoxical relationship with the traditional rational bureaucratic masculinity. The “cold rationality” of rational technical bureaucrats requires them to transform into “soul managers” who “sharpen their souls” and enhance the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citizens, which requires them to engage in irrational practices to fulfill their private interests such as promotion. This study analyzes this as irrational bureaucratic masculinity. It shows a crack in hegemonic bureaucratic masculinity, but has the limitation of failing to transform institutional masculinity norms.

      • KCI등재

        경기도 재생산 정책에 대한 젠더 분석

        백미록(Mirok Bae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0

        이 글은 국가와 함께 재생산 정책의 중요한 책임 주체인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산 정책을 젠더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제사회 기준인 재생산 건강 및 권리 중심(reproductive health & rights) 정책 분석틀을 구성하고 경기도 저출산 관련 자치법규 및 제3차 저출산 · 고령사회기본계획 지방자치단체 시행계획을 젠더 관점에서 평가했다. 그 결과 경기도는 정책목표에서 재생산 건강 및 권리 보장이나 성평등 실현 누락, 정책내용에서 출산장려 인구정책 프레임 유지, 정책 대상에서 이성애 중심성을 강화하는 한계가 나타났다. 이에 성 · 지역 인지적 재생산권 보장 정책 실현을 위해 첫째, 재생산 건강 및 권리 보장 중심의 자치법규 제정 둘째, 월경-피임-임신중절-난임-출산전 과정에 대한 정보 제공권과 서비스 접근권 보장 정책 수립 셋째, 출산 및 법률혼 가족중심성을 탈피한 보편적 재생산 정책 시행이 요구됨을 제언했다. 본 논의는 그 동안 국가 정책 위주로 진행된 저출산 정책 분석을 지역 단위로 확장하여 지방정부 재생산 정책의 성평등성을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analysis of local regulations on low fertility and the implementation plan for the 3rd basic plan for aging society and population by local governments, one of important agent of the reproduction policies with national government with gender perspectives. For this, the gender analysis framework focusing on reproductive health & rights was made. As a result, Gyeonggi-do had limitations such lacking in guaranteeing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omitting to realize gender equality, keeping the frame of population policies promoting birth in the policy contents, or enhancing to focus on heterosexuality in the subjects of the policies.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e policies guaranteeing gender and region-sensitive reproductive rights, the article makes suggestions about the following requirements: First, the enactment of local regulations focusing on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seco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guaranteeing to offer the information about the entire process of menstruation, contraception, abortion, infertility, and birth, and to warrant the rights to access the services, and third, the execution of universal reproductive policies avoiding concentration on birth and heterosexuality. It is expected that the implications will contribute to promote gender equality in reproductive policies by local governments by expanding low fertility policies which have been done in national level, into regional on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남성 공무원의 젠더정책 수행 경험 연구 - 관료제 노동규범과 젠더 갈등을 중심으로

        백미록(BAEK, Mi-Rok) 한국여성연구소 2020 페미니즘 연구 Vol.20 No.2

        이 글은 A지방자치단체 남성 공무원의 젠더정책 수행 경험을 분석했다. 관료제 노동규범, 젠더정책, 공무원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 공직가치 관련 법규를 검토하고, 젠더정책 담당 부서에서 근무하는 남성 공무원에 대한 심층 면접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관료제 노동규범은 공/사 분리, 중립성의 추구, 상명하복, 조직 우위, 권력 중심성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화된 규율이다. 젠더정책 부서에서 근무하는 남성 공무원들은 젠더정책 부서의 낮은 위상과 여성의 권익 증진이라는 정책 목표에 대한 성별이익의 충돌을 경험한다. 관료제 노동 규범의 주류 성별로서 남성과 젠더정책 수행자로서 ‘여성화된’ 남성은 개별 남성 공무원들에게 젠더 갈등을 야기한다. 그에 대응해 남성공무원들은 동의되지 않는 정책을 소극적으로 추진하거나, 실제 입장과 달리 중립을 가장하는 이중성을 보인다. 반면, 젠더 전문가를 통한 성과주의 전략이나 사적 개인으로서 젠더 평등 문화를 노동규범에 통합하는 전략은 젠더정책의 형식주의 및 탈정치화 극복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젠더정책 실효성 강화를 위해 중립적 주체가 아닌 공/사 통합적 주체로 공무원상을 재정립하고, 관료제 노동의 남성 중심적 기반과 가치 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정책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male civil servants’ gender conflict with public service values in order to seek to find the way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women and gender equality polices. The analyses find the following: male public servants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gender equality tend to experience gender conflicts between their own masculine gender as public servants and their department’s goal of enhancing gender equality; responding to the gender conflicts, male civil servants work passively on the policies to which they do not agree. and performs a dualism that assumes a neutral position to hide their actual masculine positions. This article offers the following as its policy suggestions: first, it is better and truer to approach civil servant not as a neutral agent but as an individual pursuer of interest; the masculine culture of beaurocratic labor culture needs to be changed for a higher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for the higher effects of gender equality policies. This also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policies need to turn from thos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hanges in recognition to those which effectively lead to the changes in the system of values and the material ground of beaurocratic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