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흰쥐에서 cisplatin에 의한 위벽세포의 미세구조변화에 미치는 SOD의 영향

        백두진,박규완,정호삼,Paik, Doo-Jin,Park, Kyu-Wan,Chung, Ho-Sam 한국현미경학회 1996 Applied microscopy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SOD (superoxide dismutase), one of the antioxidant enzymes, on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parietal cells caused by the administration of cisplatin in the rat. A total of 60 healthy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200 gm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Cisplatin (6 mg/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to rats pretreated with 15,000 unit/kg of SOD or rats without the pretreatment.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t 6 hours, 12 hours, 24 hours and 3 day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cisplat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D alone did not affect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gastric parietal cells in the rat. 2. Irregular shaped mitochondria, mitochondria with dim cristae, dilated cristae, ruptured outer membrane, electron lucent matrix and degenerative mitochondria were seen in cisplatin treated rat. Whorled membranous body, many lysosomes and large vacuole were observed in the gastric parietal cells in cisplatin treated rat. 3. Mitochondria with dilated cristae and electron lucent matrix and irregular shaped mitochondria were observed in the gastric parietal cells of the cisplatin treated rat with pretreatment of S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D attenuates the toxic effect of the cisplatin in the gastric parietal cells of the rat.

      • KCI등재

        한국인 손가락털의 분포

        정진욱(Jin-Wook Jung),박대균(Dae-Kyoon Park),이우영(U-Young Lee),권성오(Seong-Oh Kwon),백두진(Doo-Jin Paik),한승호(Seung-Ho Ha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4

        한국인 652 명 ( 남자 402 명, 여자 2501 명 ) 을 대상으로 손가락털(halr in the phalanges) 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손가락끝마디를 제외한 양손 l8마디에 존재하는 털 및 털주머니의 유무를 돋보기를 이용한 맨눈으로 구별하였다. 한국인의 경우 가운데 손가락의 첫마디에 털이 존재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98.2%), 집계손가락의 중간마디에 나타나는 털의 비율이 가장 적었다 (06%) .이들의 빈도는 손가락첫마디의 경우 가운데손가락 (P3)> 반지손가락 (P4) 〉새끼손가락 (F5)> 집게손가략 (P2)> 엄지손가락 (Pl) 순이었으며 손가락의 중간마디의 경우 반지손가락 (M4)> 가운데손가락 (M3)> 새끼손가략 (M5)> 집게손가략 (M2) 순이고 손가락털지수 (the score ofdlgltal halr) 는 5.05 였다. 탈의 분포양상에 따른 유형중 손가략중간마디에 털이 없고 첫마디에 모두 털이 존재하는 제 VII 형이 많았다. 반지손가략중간마디(M4), 가운데손가락중간마디 (M3), 새끼손가락중간마디 (M5), 엄지손가락첫 마디 (Pl) 의 출현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녀간의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흰쥐 폐 발생시 Laminin의 발현에 대한 연구

        정호삼,박철홍,백두진,백태경,김원규,윤지희,서윤경,Chung, Ho-Sam,Park, Chul-Hong,Paik, Doo-Jin,Baik, Tae-Kyung,Kim, Won-Kyu,Youn, Jee-Hee,Suh, Yun-Kyung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1

        Laminin은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당단백질로 알려져 있고 특히 기저막에 다량 분포되어 있어 제 4형 아교질,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및 entactin과 결속되어 있다. Laminin은 세포외기질에 함유되어 조직의 발생, 분화 및 성숙 등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세포의 분열, 이동에 관여하고 조직내 기저막의 물질 투과성에 영향을 미쳐 상피의 분화 및 재형성과 관계있음이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laminin이 포유동물에서 태자기와 신생아기에서 폐의 발생과 분화에 주요한 역할을 함도 일부 보고되어 있다. 이에 저자는 폐의 발생과정에서 조직 혹은 세포내에서 laminin의 발현과 분포 변화를 면역조직화 학염색법과 면역도금법을 이용해서 추적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발생 제 14일, 제 16일, 제 18일 및 제 20 일의 태자와 생후 1일, 3일 5일 및 7일의 신생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각 실험동물의 폐조직을 절취하고 면역조직화학염색과 면역도금법으로 laminin의 면역활성의 변동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생 제 14일, 제 16일, 제 18일 및 제 20일의 흰쥐 태자와 출생 제 1일의 신생 흰쥐 폐조직에서는 혈관, 기관지 및 폐포의 기저막과 폐포막에서 강한 laminin 면역활성이 지속되었고, 폐포가 형성된 출생 제3일 이후의 흰쥐 폐의 폐포막에서는 laminin 면역활성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2. 흰쥐 태자의 폐조직에서 laminin 면역금과립이 관찰되는 세포는 간엽세포, 혈관내피세포 및 섬유모세포였으나, 신생 흰쥐의 폐에서는 섬유모세포, 제 1형 및 제 2형 폐포세포에서 laminin 면역금과립이 관찰되었으며 금과립이 가장 많이 관찰되는 조직 부위는 공기혈관장벽을 이루는 기저 막이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결과는 태생기에서는 laminin이 주로 폐의 세포외기질에 분포되나 출생 후에는 주로 기저막에 분포되므로 패의 기능이 성숙됨에 따라 laminin의 분포상태에 변동이 일어나고, laminin을 생성하는 세포도 출생 전에는 간엽세포, 혈관내피세포 및 섬유모세포이나 출생 후에는 폐의 실질세포인 제 1형 폐포세포와 제 2형 폐포세포로 합성기능이 이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Laminin, a kind of multidomain glycoproteins, is mainly localized in the basement membranes of various tissues. It is known that laminin plays an important part in mammalian lung morphogenesis. The authors have undertake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laminin, and to find out cells which synthesize laminin during the organogenesis and differentiation of the lung. The fetal and neoantal rats (Sprague-Dawley strain)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The immunohisto-chemical methods were employed for detection of laminin within the developing lung tissue and the immunegold cytochemical methods were performed for detection of cells which synthesize laminin according to each stage of develop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uring fetal life, strong immunoreactivity for laminin is maintained in the basement membranes of the blood vessels and the bronchioles, the extracellular matrix of the mesenchyme, and basal lamina of the alveolar septum in the fetal rat lung. 2. After birth, laminin immunoreactivity at the alveolar septum is gradually reduced. 3. During fetal life, laminin is mainly detected within the cytoplasm of the mesenchymal cells, the endothelial cells of blood vessels and the fibroblasts in fetal rat lung. 4.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of type I and type II pneumocyte after birth, laminin is detected within cytoplasm of the type I pneumocytes, type II pneumocytes and fibroblasts. It is consequently suggested that laminin is largely expressed in the developing lung and laminin may be also synthesized by the type II pneumonocytes at early newborn stages.

      • KCI등재

        임플랜트 시술을 위한 치조돌기와 상악동 주변 구조물의 형태계측적 연구

        박주진,이영수,백두진,박원희,유동엽,Park, Ju-Jin,Lee, Young-Soo,Paik, Doo-Jin,Park, Won-Hee,Yoo, Dong-Yeob 대한치과보철학회 200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5 No.2

        Statement of problem: Following tooth loss, the edentulous alveolar process of maxilla is affected by irreversible reabsorption process, with progressive sinus pneumatization leads to leaving inadquate bone height for placement of endosseous implants. Grafting the floor of maxillary sinus by sinus lifting surgery and augmentation of autologous bone or alternative bone material is a method of attaining sufficient bone height for maxillary implants placement and has proven to be a highty successful.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inferior maxillary sinus and alveolar process for installation of implants. Material and method: Nineteen skulls (37 sinuses, 10M / 9F) obtained from the collection of the department of anatomy and cell biology of Hanyang medical school were studied. The mean age of the deceased was 69.9 years (range 44 to 88 years). The distance between alveolar border and inferior sinus margin at each tooth, the height of alveolar process and the thickness of cortical bone of the outer and inner table of alveolar process and the inferior wall of maxillary sinus were measured. Results and Conclusion: 1. The septum of inferior maxillary sinus were observe 28 sides (76.%) and located at the third molar (52.6%) and the second molar (26.3%). The deepest points of inferior border of maxillary sinus were located the first or second molar. The distance between alveolar margin and the deepest point of inferior maxillary sinus is $9.7{\pm}4.9mm$. 2. The length of the outer table of alveolar process were $4.9\sim28.2mm$ and the shortest point wa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molors. The thickness of them were $0.9\sim3.2mm$. The length of the inner table of alveolar process were $7.4\sim25.8mm$ and the shortest point wa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molars. The thickness of the were $0.9\sim4.6m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anatomical data for installing of maxillary implants.

      • KCI등재

        CS gas 폭로 후 흰쥐 폐 및 간조직내 Fibronectin의 분포

        박치구(Chi-Gu Park),정호삼(Ho-Sam Chung),김원규(Won-Kyu Kim),백두진(Doo 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2 No.2

        Fibronectin (FN) 은 생체의 결합조직, 중배엽성 조직 및 세포주위의 세포외기정에 분포되어 있는 당단백 (glycoprotein) 의 하나로 세포의 분화, 접착, 이동, 영역 및 세포자멸 (apoptosis)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중재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군사용 및 시위진압용으로 오랫동안 사용한 o-chlorobenzylidene malononitrile (CS) gas 를 실험동물 인 흰쥐에 폭로시켰을 때 폐와 간에서 FN 의 합성과 분포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l.CS gas 폭로 후 6 시간군과 12 시간문의 흰취 간소엽에서 FN 반응은 전역에 미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48 시간 및 72 시간군에서는 강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2. CS gas 폭로 후 6 시간군의 흰쥐에서 폐의 FN 반응은 폐포대식세포만 강한 양성반응이 나다났고 폐포막간 질에는 약한 양성반응이 보였다. 3. CS gas 폭로 후 12 시간군과 24 시간군의 흰쥐에서는 폐간질에 다수의 단핵구가 침해되었으며 폐포세포내 금과립은 증가되었고 폐포막에 약한 양성 FN 반응이 나타났다. 4. CS gas 폭로 후 48 시잔 및 72 시간군의 흰쥐에서는 폐포막의 FN 반응은 중등도의 양성반응으로 나다났고 폐포세포내 금과립은 현저하게 강소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미루어 CSgas 의 폭로는 흰쥐의 간과 폐에서 FN의 분비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 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왼온엉덩동맥에서의 짧은 허혈과 재관류 횟수에 따른 흰쥐 신장에서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변화

        박현주(Hyun Joo Park),김원규(Wonkyu Kim),윤지희(Jee Hee Youn),백두진(Doo 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0 No.1

        이 실험은 다리에서 짧은 허혈 횟수의 증가와 재관류 경과시간에 따라 멀리 위치한 신장에서 나타나는 NF-κB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세포간부착분자의 발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35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허혈양상화군으로 나누었고, 허혈양상화 처치는 왼온엉덩동맥에서 5분 허혈과 5분 재관류를 3회, 6회, 10회 실시하였다. 재관류 직후와 3시간, 6시간, 24시간, 72시간 경과 후 왼쪽 신장을 적출하여 세포자멸사를 관찰하고, NF-κB, TNF-α, IL-1β, ICAM-1 단백질에 대한 면역조직 화학염색과 Western blot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허혈양상화 처치군에서는 처치 횟수가 증가될수록, 재관류 24시간 경과 후 사망률이 높아졌다. NF-κB는 재관류 0시간부터 24시간까지는 허혈양상화를 10회 처치한 군에서 가장 높게 발현했으나, 72시간에서는 3회 처치군에서 가장 높게 발현하였다. TNF-α는 재관류 0시간과 6시간, 24시간, 72시간에서는 허혈양상화를 10회 처치한 군에서 가장 높게 발현했으나, 3시간에는 모든 처치군이 비슷한 면역반응을 보였다. IL-1β와 ICAM-1은 모든 재관류 시간에 허혈양상화를 10회 처치한 군에서 가장 높게 발현하였다. 바깥속질에서의 세포자멸사는 모든 재관류 시간에 허혈양상화를 10회 처치한 군에서 비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흰쥐 신장에서 허혈 및 재관류 손상에 관여되는 NF-κB와 TNF-α, IL-1β, ICAM-1의 발현은 왼온엉덩동맥에서 허혈양상화를 3회와 6회 처치시 감소되었으나, 10회 처치시에는 증가되어 허혈손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NF-κB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expression following courses of reperfusion after various cycle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in the rat kidney. Thirty five weeks old Sprague Dawley rats were subjected to 3, 6 and 10 cycle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that composed of 5 min ischemia and 5 min reperfusion at the left common iliac artery using rodent vascular clamp. The left kidney obtained after 0, 3, 6, 24 and 72 hours of reperfusion followed by each cycle. The expression patterns of NF-κB, TNF-α, IL-1β and ICAM-1 were detec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Western blotting methods. Apoptosis were detected by TUNEL assa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ischemic preconditioning group, the mortality increased from 24 hours after reperfusion when cyclic episodes of short ischemia and reperfusion were increased. The highest level of NF-κB expression in outer medulla of the kidney from 0 hr to 24 hrs of reperfusion is detected after 10 cycle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The highest level of NF-κB expression at 72 hrs of reperfusion is revealed after 3 cycle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The highest level of TNF-α expression in outer medulla of the kidney at 0 hr and 6, 24, 72hrs of reperfusion is shown after 10 cycle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After 3 hrs of reperfusion, all ischemic preconditioning groups shows similar expression. The highest level of IL-1β and ICAM-1 expression in outer medulla of the kidney is observed at all of reperfusion times after 10 cycle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The highest level of apoptosis in rat kidney outer medulla at all of reperfusion times is shown after 10 cycle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In conclusion, 3 or 6 times of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in the common iliac artery could reduce the expression of NF-κB, TNF-α, IL-1β, and ICAM-1. However, more than 10 times of remote ischemic preconditioning increased ischemia-reperfusion injury, caused by increased expression of NF-κB, TNF-α, IL-1β, and ICAM-1.

      • KCI등재

        한국인 관자놀이점의 형태분석

        이우영(U-Young Lee),박대균(Dae-Kyoon Park),권성오(Seong-Oh Kwon),백두진(Doo-Jin Park),한승호(Seung-Ho Han)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4

        한국인 머리뼈 l49 개의 오른쪽, 왼쪽의 관자놀이점 298 쪽에서 봉합선이 만나는 형태를 조사하고 위치 및 평균 길이를 계측하였으며 관자놀이뼈를 형성하는 경우, 인접뼈들과 만나는 양상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위치를 계측하였다. 관자놀이점의 형태는 나비마루관절이 있는 유행이 76.5% 로 가장 많았다. 관자놀이점의 위치는 눈확위모서리에서 눈귀수평면에 병행한 연장선에서 위아래 5mm 범위 안에 위치하는 유형이 8l.8% 로 가장 많았다. 관자놀이점에 대한 계측적인 위치는 광대활의 위모서리로부터 관자놀이점의 중심까지의 평균 거리 36.9 土 3.8mm 와 이마광대봉항선의 뒤모서리로부터 관자놀이점까지의 평균 거리 26.8 ± 4.5mm 였으며 관자놀이점의 평균 깊이는l2.2 ± 4.4mm 였다. 관자놀이뼈를 형성하는 경우 4 개의 뼈에 모두 만나는 경우가 40.3% 로 가장 많았고 관자놀이뼈의 위치는 눈확위모서리에서 눈귀수평면에 평행한 연장선에서 위아래 5mm 범위에 위치 하는 유형이 45.2% 로 가장 많았다.

      • 자기공명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이용한 견관절 관절낭-인대의 해부학적 연구. 역동학적 생체연구

        박태수,최일용,주경빈,김선일,김준식,백두진,Park Tae-Soo,Choi Il-Yong,Joo Kyung-Bin,Kim Sun-Il,Kim Jun-Sic,Paik Doo-Jin 대한관절경학회 200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4 No.2

        목적 : 정상견관절의 각기 다른 위치에 따른 관절와 상완 인대들의 해부학적 구조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정상 견관절 9례에 대하여 생리식염수를 주입하고 외전 및 외 회전의 위치를 달리하여(각각 $0^{\circ}$ 및 $0^{\circ},\;45^{\circ}$ 및 $25^{\circ},\;90^{\circ}$ 및 최대 외 회전) 자기공명 영상을 각각 촬영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한 후 관절와상완 인대 특히 중 및 하 관절와 상완 인대를 관찰하였다. 결과:. 중 관절와 상완 인대는 $0^{\circ}$ 외전 및 $0^{\circ}$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걸쳐 이중 곡선 모양으로 비스듬히 위치하였다가, 외전 및 외 회전이 점차 증가하여 $45^{\circ}$ 및 $25^{\circ}$에 이르면 점차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 부근에 신장되어 거의 직선에 가까운 비스듬한 주행을 보였으며, $90^{\circ}$ 외전 및 최대 외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의 상부 위치에 다시 곡선 모양을 보였다. 반면 하 관절와 상완 인대는 $0^{\circ}$ 외전 및 $0^{\circ}$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하부에서 완만한 곡선 모양으로 위치하였으며, 외전 및 외회전이 증가함에 따라 상완골 두의 전면 적도 아래에 위치하면서 아래쪽으로 볼록한 곡선 모양을 보였다가, $90^{\circ}$ 외전 및 최대 외 회전시 상완골 두의 전면 하부에 거의 직선에 가깝도록 신장되어 비스듬히 위치하였다. 결론 : 견관절을 $45^{\circ}$ 외전 및 $25^{\circ}$ 외 회전 할 때와 $90^{\circ}$ 외전 및 최대 외 회전 시 중 관절와 상완 인대 및 하 관절와 상완 인대가 각각 신장되어 관절와 상완 관절의 중요한 정적 안정화 구조물로서 작용한다고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changes in the orientation ortho glenohumeral ligaments(GHL) in different degrees of abduction and rotation of the normal healthy individuals. Materials and Methods : Saline Magnetic Resonance(MR) arthrography of nine consecutive shoulders of normal healthy adults were checked. At that time, MR images were obtained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0^{\circ}C\;and\;0^{\circ},\;45^{\circ}C\;and\;25^{\circ}C,\;90^{\circ}$ and maximum, respectively). From a series of consecutive MRI, three-dimensional images were reconstructed afte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middle glenohumeral ligament(MGHL) and the inferior glenohumeral ligament(IGHL) using workstation computer. Results : The shape of the MGHL was taken in double curved, and straight, and finally curved again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of the shoulder in sequence.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IGHL was obliquely positioned, and curvilinear, and finally straight and extended at lower part of the anterior surface of the humeral head. Conclusions : At $45^{\circ}$ of abduction and $25^{\circ}$ of external rotation, and at $90^{\circ}$ of abduction and maximal external rotation of the shoulder, the MGHL and the IGHL had the role of the most important static stabilizer of the glenohumeral joint repectively.

      • KCI등재

        한국인 배자 및 태아에서 엉덩관절의 초기발생

        장견호(Kyun-Ho Chang),박형우(Hyoung-Woo Park),김원규(Won-Kyu Kim),백두진(Doo-Jin Paik)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4 No.1

        간추림 한국인 배자 벚 태아에서 영영관절의 발생을 시기별로 연구하고자 Carnegie 발생기에 따라 발생 13기부터 발생 23 기까지의 배자 33 예와 태령 제 9 주부터 태령 제 18 주까지의 태아 18 예 풍 총 51 예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입체현미경과 디지탈카메라를 이용하여 외형관찰을 시도하였으며, 조직표본을 제작하고 hematoxylin 및 eosin 염색과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여 엉덩관절의 발생을 시기별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3 기에 하지싹이 최초로 출현하였다. 17 기에 넙다리뼈 및 볼기뼈의 중간엽농축과 한층의 간대가 관찰되었다. 18 기에 엉덩뼈 및 궁둥뼈의 연골모형이 출현하였다. 22 기에 넙다리뼈머리와 볼기뼈 사이에 명대가 출현하여 3 층의 간대가 관찰되었다. 23 기에 절구테두리가 뚜렷이 출현하였고, 세 층의 간대가 명확히 관찰되었다. 태령 제9주에 넙다리뼈머리인대의 전구체 및 절구가로인대가 출현하였고, 절구테두리는 trichrome 염색에 미약한 청색으로 반응하였다. 태령 제 10 주에 완전한 판정공간이 형성되어 있었고, 볼기뼈절구에 얕은 절구오목이 관찰되였다. 태령 제 12 주에 관절주머니가 절구테두리 가쪽으로 주행하고 있었으며, 정구오목 및 넙다리뼈머리인대에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넙다리뼈목에서 연골관이 관찰되었다. 태령 제 14 주에 넙다리뼈머리 중앙부에 연골관이 형성되어 있었고, 넙다리뼈목 가쪽에 윤활막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넙다리뼈머리인대에 trichrome 염색에 청색으로 강하게 반응하는 아교섬유가 치밀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태령 제 16 주에 넙다리뼈머리 및 넙다리뼈목에 연골관이 태령 제 14 주에 비하여 보다 많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넙다리뼈머리오목내 결항조직에 풍부한 형판이 분포되에 있었다. 태령 제 18 주에 넙다리뼈는 목이 더욱 좁아져 있었으며, 넙다리뼈머리의 거의 대부분이 볼기뼈절구 및 절구테두리에 둘러싸여 성얀 영영관절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인 배자 및 대아에서 하지의 발생은 발생 13 기에 시작되며, 영영관철은 17 기에 한 층의 중간엽세포농축의 형태로 발생하며, 관절공간은 9 주에 출현하여 10 주에는 완성되었다. 절구테두리는 23 기에 처음으로 형성되어 이후 아교섬유가 보다 치밀하게 분포되고, 넙다리뼈머리인대는 태령 제9주에 중간엽조직의 형태로 출현하고, 정구가로인대는 대령 재 9 주에 완전한 형태를 갖추는 것으로 생각된다. 관절주머니는 태령 제 12 주에 절구테두리 가쪽에서 엉덩관절을 덮고 있었으며, 윤활막은 태령 제 14 주에 관찰되어 엉덩관절은 태령 제 18 주에 이르러 성인의 엉덩관절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갖추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한국인 여자의 나이에 따른 볼기의 크기변화: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계측

        송우철(Wu-Chol Song),신현준(Hyun-Joon Shin),손현준(Hyun-joon sohn),백두진(Doo-Jin Park),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4 No.4

        골반에 대한 연구는 산과적, 체질인류학적 중요성 때문에 오래 전부터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외형상의 볼기와 실제 뼈대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골반자체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마른뼈를 이용할 수 있으나 골반뼈와 연결되어있는 다른 뼈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마른뼈나 생체를 계측하는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방사선사진을 이용한다면 골반 뿐 아니라 다른 뼈와의 관계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볼기의 크기를 결정하는 여러 요소와 산과적 의미가 있는 요소들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연구에서는 임신상태가 아니며 뼈대에 이상이 없는20세 이상 여자의 방사선사진 중 골반뼈 전체와 양쪽 넙다리뼈큰돌기가 모두 보이는 바른 자세로 찍힌 방사선사진 (KUB, IVP, Pelvis AP) 506 개를 선택하여 볼기의 크기를 결정하는 항목과 산과적 의미가 있는 항목 6 가지를 계측하였다. 계측결과 위골반문가로지름과는 모든 항목이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그 외에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와 넙다리뼈큰돌기사이거리,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와 궁둥뼈가시사이거리가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나이에 따른 평균값을 비교한 경과 나이가 많은 사람일수록 최대골반너비는 컸고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와 넙다리 뼈큰돌기사이거리는 작았다 이것을 과거의 자료와 비교한 결과 역시 나이에 따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이러한 현상이 노화의 과정 중 나타나는 변화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