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百濟略有遼西’ 記事의 기술배경과 漢人 유이민 집단

        백길남(Baek, Kil Nam)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6

        이 글에서는 南朝 史書에만 전해지고 있는 소위 ‘百濟略有遼西’ 記事의 기술배경을 검토하는 가운데, 晉平郡縣 설치를 중심으로 백제와 요서지역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최대 쟁점은 백제의 군사적 행위와 요서점유 여부이다.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출처와 관련해 백제 表文이 주목된다. 백제는 동진·남조에 자국의 군사적 능력을 과시하는 표문을 지속적으로 전달했고 중국 官爵의 追認을 요청했다. 표문의 내용은 백제 입장에 편향된 과장과 허위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고, 남조 史家가 백제 표문을 근거로 사서에서 과장되게 서술했을 수도 있다. 표문의 사료 특성과 한계를 고려할 때, 백제의 군사적 행위와 요서점유를 액면 그대로 이해하는 것은 유의가 필요하다. ‘백제약유요서’ 정보가 전해진 이후 남조 사가의 선택적 기술, 축약, 改文 등의 變改를 거쳐 최종적으로 관련 정보가 사서에 기술된 것으로 이해된다. ‘백제약유요서’ 기사의 핵심정보는 백제가 요서와 관련해 군현을 설치하고 관할했다는 것이다. 특히 晉朝를 관칭한 군현명이 주목된다. 西晉시기 진조를 관칭한 군현명은 통일제국인 진조의 위용을 반영한 상징성이 있었다. 그러나 화북지역을 상실하고 南遷한 東晉시기의 진조를 관칭한 군현명은 진조 회복과 漢人 유이민 安置라는 수세적인 명분으로 주로 명명되었다. ‘백제약유요서’의 사건 시점은 1차 ‘高驪略有遼東’ 시기인 385년에 해당될 가능성이 높고, 당시 요서지역에는 여러 지역 출신의 한인 유이민 집단이 거주하고 있었다. 백제는 4세기 말 혼란기 속에서 동요하고 있었던 요서지역 한인 유이민 집단을 대상으로 樂浪太守와 진조를 관칭한 군현명을 표방하여 이들의 華夷觀念을 불식시켰을 것이다. 그리고 백제는 군현 단위로 결집된 한인 유이민 집단의 존재양태를 존중하여 요서군과 진평군현 같은 중국식 군현 단위를 설치하고 이들을 안치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써 백제는 중국 내지 한인 유이민 집단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하게 되었을 것이다. 백제는 동진·남조와 활발한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동진·남조는 백제의 漢人係 使臣과 표문을 통해 백제로 내투한 한인 유이민 집단의 유입경위(‘백제약유요서’)와 존재양태(중국 지명 태수호)에 대한 이해를 축적했을 것이다. 백제는 ‘백제약유요서’ 정보를 동진에 전달하여 진조를 지지하는 藩國의 입장을 취하면서 국왕 책봉호 승급 등의 외교적 실익을 추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writing of the ‘Baekje Occupies Liaoxi’ article which appears only in the History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doing so, it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of Jinpyeong-gunhyeon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the Liaoxi. Perhaps the information on ‘Baekje Occupies Liaoxi’ was in the Baekje diplomatic document(表文). Baekje persistently delivered diplomatic documents that paraded its military abilities to Eastern Jin and Southern Dynasties and requested the confirmation of Chinese office and peerage(官爵) from China. The diplomatic document are highly likely to include exaggeration and falsehood that are biased towards the Baekje position. The information on ‘Baekje Occupies Liaoxi’ was ultimately written in the history documents through the selective description, abridgment, and modification of Historians of Southern Dynasties. ‘Baekje Occupies Liaoxi’ occurred in the late fourth century during the time when ‘Goguryeo Occupies Liaodong’(‘高驪略有遼東’) at the edges of Eastern Jin, and during this period, many Chinese immigration from the various regions in the China were residing in the Liaoxi. In all probability the period of confusion at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Baekje used the county name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Jin dynasty and the NakrangTaishou(樂浪太守) title to attract the Chinese immigration in the Liaoxi who were agitated. Thus, Baekje tried to respect the Sinocentrism of Chinese immigration. It is assumed that Baekje then respected the mode of existence of the Chinese immigration who came from different county levels and established counties similar to the Chinese system such as the Yoseo-gun(遼西郡) and Jinpyeong-gunhyeon and settled these people in these counties. Baekje maintained an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Eastern Jin and Southern Dynasties. Baekje,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Baekje Occupies Liaoxi’ to Eastern Jin, situated itself as a dependency(藩國) supportive of the Jin dynasty. Thus, it is likely that Baekje pursued diplomatically practical benefits including the raise in the level of Chinese office and peerage.

      • KCI등재

        百濟의 王·侯號에 대한 역사적 경험과 그 활용 배경

        백길남(Baek, Kil Nam)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4

        백제는 고유한 역사적 경험과 발전 과정을 바탕으로, 5세기 후반 왕·후호를 채택하여 활용하였다. 백제의 왕·후호에 대한 역사적 경험은 3세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漢代부터 西晉代까지 수백 년간 중국왕조는 郡縣을 통해 주변 外夷와 三韓의 유력 세력에게 ‘王·侯·君·長’ 등의 爵號를 수여하면서 이들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원적이고 중층적인 삼한 사회에서 유력한 대세력만이 왕·후호를 가진다는 특별한 인식이 성립되었다. 백제 역시 동일한 역사적 경험을 거치면서 중국 爵號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였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3세기부터 6세기 초까지 백제는 한반도 서남부 일대로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백제는 복속한 소국의 수장층을 ‘온존’시키고 이들을 통해 복속지의 인적·물적 자원을 수취하였다. 백제가 복속한 수장층을 왕·후로서 임명하였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복속한 소국 수장층의 정치적 권위와 기득권을 인정해주는 일종의 ‘分封’의 형식을 적용한 것이 주목되며, 이를 상징하는 고고자료가 金銅冠帽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백제는 加耶諸國을 상대하면서 일종의 ‘宗主國’을 자처하였다. 이처럼 백제는 지역 유력 세력의 일정한 독자성을 보장하면서 중앙의 통제력을 확보하고자 했던 ‘爵的 질서’를 인정하는 지배방식을 활용하였다. 백제의 지배방식은 중앙세력에게 특정 지역의 왕·후호가 허용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3세기 이래의 왕·후호에 대한 이해는 5세기 후반 개로왕과 동성왕대에 전격적으로 채택되어 표명되었다. 이것은 관등제와는 별개로, 中國 官爵의 假授를 통해 자율적인 인사권을 행사하고자 했던 개로왕과 동성왕의 정치적 의도에 따른 것이었다. 개로왕과 동성왕은 자신에게 충성하며 功을 세운 왕족과 귀족에게 將軍號에 임명하였다. 그리고 장군호를 받은 일부 功臣에게는 특정 지역의 왕·후로서 封爵하여 그 정치적 권위를 부여하고 ‘食邑’을 지급하였다. 장군호와 왕·후호 이전에 이미 爵的 성격을 지닌 官等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신분’에 따라 임명과 승급이 제한되는 관등제의 운영 방식과는 달리, 장군호와 왕·후호의 임명 기준은 ‘국왕’ 중심으로 설정되었다는 게 주목된다. Based on Baekje’s unique historical experience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article was written assuming that Baekje would have adopted and utilized a system for Wang ·Hu title (王·侯號) in the late 5th century. From the Han Dynasty to the Western Jin Dynasty, local governments (郡縣) awarded titles to Wang ·Hu·Kun·Jang title (王·侯·君·長號) to appease and control the influential forces of the Three Hans (三韓). Thus, a perception was established in the Three Hans that only the most influential people would receive the Wang ·Hu title. Baekje would likely also have shared this perception through its historical experience with the Wang ·Hu title. From the 3rd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Baekje gradually expanded to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aekje maintained its subjugated influential forces and receiv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rom the subjugated land through them. It is noteworthy is that it applied a kind of feudal governing method (分封) that recognizes the political and vested rights of influential forces. This approach was also made in negotiations with other foreign countries such as King Gaero and King Dongseong bestowed the military officer title (將軍號) as a recognition of outstanding merit to the royal family and aristocrats who were loyal to them and made contributions to the kingdom. Some contributors were granted political authority by being invested with the Wang ·Hu title in a specific area and reaped economic benefits by Tax-village (食邑) granted to them. Originally, Tax-village were granted through appointment to and promotion in the official rank. However, unlike the official rank gradation system in which appointment and promotion were restric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status, the king’s will was prioritized in the Wang·Hu title.

      • KCI등재

        중국왕조의 ‘백제략유료서(百濟略有遼西)’ 기사(記事) 서술과 인식 - 백제군(百濟郡) 설치를 중심으로 -

        백길남 ( Baek Kil-nam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이 글에서는 『梁書』 백제전의 ‘自置百濟郡’ 구절을 중심으로, 中國史書의 편찬시기에 따라 ‘百濟略有遼西’ 기사 서술에 차이가 있음을 주목했다. 이런 현상은 중국왕조의 사서 서술방식과 백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이해된다. 北朝와 대립했던 南朝는 周邊諸國에 대한 실질적인 규제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남조는 주변제국과 朝貢·冊封관계 속에서 형식적이나마 자국의 대외적 위상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宋書』 등 남조 시기에 편찬된 사서의 외국전은 조공·책봉관계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외교기사 위주로 서술됐다. ‘백제약유요서’ 정보는 남조의 결핍을 채워줄 만한 흥미로운 소재였다. 백제가 晉朝 국명과 결합된 晉平郡縣을 설치했다는 것은 남조의 충실한 ‘藩國’임을 상징할 만한 사건으로서 해석될 수 있었다. 반면, ‘백제군’은 진평군을 대신하여 설치된 지명이었고 특히 ‘스스로 설치했다’는 표현은 ‘私假制’가 활발히 운영된 남조와 백제의 조공·책봉관계 양상과 충돌한다. 따라서 ‘자치백제군’ 정보를 인지했다하더라도, 『송서』에는 최종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唐朝는 南北朝의 자료와 인식을 계승하여 남북조 各國史를 편찬했다. 『梁書』는 남조의 자료와 대외인식을 바탕으로 저술됐다. 그리고 『양서』에는 당 시기까지 축적된 백제에 대한 정보가 반영됐고 「梁職貢圖」와 같은 南朝人의 견문 내용이 적극 인용됐다. 그리하여 『양서』에는 백제 국력의 추이와 백제 사회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반영될 수 있었다. 이는 7세기 전반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정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했던 당조의 대외인식과 무관하지 않았다. ‘東夷强國’으로의 백제의 성장과 ‘백제’ 국호의 유래에 대한 唐人의 이해가 증대되는 가운데, 『양서』에 ‘자치백제군’ 구절이 採錄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 ‘Baekje Occupies Liaoxi’(‘百濟略有遼西’)’ article based on the time period of when the history books was produced in Chinese Dynasties. The situation of Southern Dynasties(南朝) which was in conflict with Northern Dynasties(北朝) sought to secure an international status in formality within the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us, the volumes on foreign countries in Song Shu(宋書) and other compilations of Southern Dynasties were written focused on the articles on diplomacy that revealed the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The fact that Baekje installed a Jinpyeong-gunhyeong(晉平郡縣) that is related to the Jin Dynasty could be interpreted as an account that symbolized a faithful tributary country(藩國) of Southern Dynasties. However, the passage that ‘Bakeje-gun’ was installed in Jinpyeong-gun and especially the line that states that it was ‘established on their own’ disputed with the conditions of the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As such, it is assumed that even though they were aware that ‘they established Baekje-gun’ it would not be reflected in Song Shu. Liang Shu(梁書), information gathered about Baekje until the Tang period was reflected, and contents of experience of the Southern Dynasties people such as the Liang chih-kung-tu(梁職貢圖) were actively cited. This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Tang Dynasty which wanted to secur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the three dynasties of Goguryeo, Baekje, and Shilla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The Tang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growth of Baekje and the origin of the country name ‘Baekje’ increased, the passage stated ‘They established Baekje-gun’ in Liang Shu was recorded.

      • KCI등재

        2019년 백제 한성기 문헌사 연구 성과와 전망

        백길남 ( Baek Kil Nam ) 백제학회 2020 백제학보 Vol.0 No.32

        2019년 백제 한성기 문헌사 연구 성과를 3개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백제와 馬韓의 관계는 기본 자료인 『三國志』와 『일본서기』에 대한 서술 배경과 편찬 인식을 면밀히 분석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자료의 생성과정에 대한 이해 속에서 기록의 신뢰 여부를 따지고 역사적 실체를 접근하려는 연구방법은 앞으로도 발전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대외관계사 연구는 백제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중국과 일본의 입장을 고려한 다원적인 외교 관계를 파악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향후 중국과 일본 고대사 연구자와의 협업과 소통을 더욱 늘려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조공·책봉관계와 같은 정치적 교섭뿐만 아니라, 항로의 변경과 사람·정보·물건의 교류 양상을 분석한 입체적인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나제동맹에 대한 재검토는 교과서에 서술된 역사용어와 개념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였던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역동적인 삼국의 외교 관계를 복원하고자 한 시도라고 평가된다. 사회문화사 연구는 부족한 자료의 여건 속에서도 성씨, 유학교육, 여성의 節行觀, 始祖 제사, 새의 관념 등 백제 사람들의 일상과 사유를 복원할 수 있는 여러 성과가 제출되었다. 앞으로도 다양한 사회문화사 연구 주제가 계발되고 활성화되길 바란다. 백제 한성기 연구 성과는 학계뿐만 아니라 시민의 교양과 역사의식을 키우는 자양분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신 연구 성과가 반영된 대중 교양서의 출간과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정보 전달에 연구자의 관심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results of research on history of Baekje of Hanseong(漢城) period in 2019 in three parts. First, regarding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Mahan(馬韓), the research is deepening in close analysis of the narrative background and awareness of compilation about the basic materials,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and Nihon Shoki(日本書紀). A research method that attempt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materials and to approach the historical substa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materials is expected to develop in the future. Research on foreign relations history keeps attempting to grasp the pluralistic diplomatic relations considering the positions of China and Japan, rather than focusing on Baekje centered view. This research needs effort to increase further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ancient history researchers from China and Japan in the future. In addition, stereoscopic research that analyzes not only political negotiations such as tribute-investiture relationship, but also changes in courses and exchanges of people, information, and goods is being activated. On the other hand, the review of the term Silla-Baekje Alliance is considered to be an attempt to restore the dynamic diplomatic relations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apart from the research trend that uncritically accepted the historical terms and historical awareness described in the textbooks. Despite the lack of materials, the research of socio-cultural history has been submitted various results to restore the daily life and thoughts of the Baekje people such as family name, Confucianism education, women’s perspective on chastity(節行觀), ancestral rites for the first ancestor(始祖), and the notion of birds. It is hoped that various research topics in socio-cultural history will be developed and activat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research on Baekje of Hanseong period should be a nourishment to cultivate citizenship and historical awareness for citizens as well as academia. Therefore, researchers should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the publication of liberal arts books for public which reflect the latest research results and to the delivery of information using various plat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