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과실책임과 유해물질 제조물책임에서의 인과관계에 관한 최근 판결의 동향 및 증명책임 경감 논의에 대한 검토

        백경희,이인재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경희법학 Vol.47 No.3

        In the case that medical negligence intervened in physical injury accident or defect of product induced personal damage, these correspond to illegal acts. Thus, perpetrator is burdened with a liability for victims of personal injury. The diversity of human in physical injury accident makes the individual difference of damage in the same physical accident. The medical characteristics in medical malpractice and the closur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product liability classed physical injury accidents as the special illegality in civil law and as the modern suit in the civil procedure code. Thus, victim of an physical accident suffers to prove a causal relationship and the reduced theories in the burden of proof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remedy this problems. However, our precedents judge medical malpractice liability and product liability through the different reduced theories for the burden of proof. Especially, civil court has lately introduced a epidemiological causal relationship in the reduced burden of proof of environmental lawsuit into product liability for the harmful substance. Because epidemiological causal relationship dose not have ‘statistical relationship’ and cannot be used as objective data, however,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judicial application of precedent is valid, and the burden of proof in the liability for physical injury accident is reduced. 인신사고 중 의료과실이 개재되었거나 제조물에 결함이 있어 손해가 발생한 경우, 이는 일종의 불법행위에 해당하므로 가해자는 인신사고를 당한 피해자 등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 인신사고에서는 인체의 다양성이 존재하므로 동일한 사고에서도 개체마다 손해의 정도가 달라진다. 그 중 의료사고의 경우 의료행위의 특수성이, 제조물책임의 경우 제조과정이 개방되어 있지 않다는 특이점이 있기에 민법의 영역에서는 특수불법행위로, 민사소송법의 영역에서는 현대형 소송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렇기에 피해자가 원인과 결과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점을 구제하기 위하여 입증책임 경감 이론이 발달해 왔다. 그런데 인신사고의 범주 내에 속하면서 입증책임 경감 이론이 적용되는 의료과오책임과 제조물책임에 있어서 우리나라 판례는 각기 다른 입증책임 경감 이론을 통하여 판단하고 있다. 특히 최근 법원은 유해물질 제조물책임에 대하여는 환경소송의 입증책임 완화법리인 역학적 인과관계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역학적 인과관계가 ‘통계적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 않아 객관적인 자료로 통용되기 어려운 경우에도 이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입증책임 완화 법리의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이해에 관한 고찰 - 대법원 2020. 8. 13. 선고 2017다248919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백경희 한국소비자원 2022 消費者問題硏究 Vol.53 No.2

        In the medical field, the duty of explanation is required as a premise for obtaining the consent of the patient in advance in case of an invasive medical practice, unless there is an emergency patient in need of an emergency or other special circumstances. Regarding the scope and degree of the duty of explanation, the Informed Consent theory is applied that sufficien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enable the patient to rationally decide on the medical treatment to be received in the future. Conversely, if this is understood from the patient's point of view, it means that the doctor's explanation must be sufficiently understandable by the patient. In the subject judgment, the Supreme Court judged whether the doctor fulfilled the duty of explanation based on the ‘written consent for surgery’, and determined the scope of the explanation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patient. However, in the medical field, before the actual invasive medical practice is performed, the doctor explains it to the patient in various processes. In addition, as long as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can be protected in advance before medical treatment, it is also consistent with the patient's consent procedure to consider that the explanation can be made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other than at the time of writing the written consent for surgery. Meanwhile, the doctor's explanation must be sufficiently explained to the patient before medical treatment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specific circumstances and education level to resolve any doubts. In particular, in the medical field in Republic of Korea,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doctor’s explanation is performed in an incomplete state because the patient's level of understanding is not taken into accou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possible to assist in the doctor’s explanation and whether various occupational groups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의료의 영역에서 의사의 설명의무는 긴급을 요하는 응급환자나 그 밖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침습성이 있는 의료행위를 할 경우, 사전에 환자로부터 승낙을 얻기 위한 전제로 의사에게 요구된다. 의료제공자인 의사의 설명의무의 범위와 정도에 대하여는 환자가 앞으로 받게 될 의료행위에 대하여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제반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이론인 ‘인폼드 콘센트(Informed Consent)의 법리’가 적용되고 있다. 이를 역으로 의료소비자인 환자의 입장에서 파악한다면, 의사의 설명은 환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상판결에서 대법원은 의사의 설명의무 이행 여부를 ‘서면의 수술동의서’를 기준으로 한정하였고, 이에 따라 의사의 설명 범위와 환자의 이해가 어느 정도까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의료현장에서는 실제의 침습적인 의료행위가 이루어지기 전에 의사는 환자에게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그에 관련된 설명을 하게 된다. 또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의료행위를 하기 전에 사전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이를 증명할 수 있다면, 그 설명이 서면의 수술동의서 작성 시점 외에 진료과정 중에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환자의 동의 과정에도 부합한다. 한편 의사의 설명은 환자가 지니고 있는 구체적인 사정과 교육 정도 등을 고려하여 의료행위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환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여 의문점을 해소해 주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이해 정도를 고려하지 못하여 설명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의료행위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므로 앞으로 의사의 부족한 설명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지 및 이를 위한 다양한 직역을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소비기한 표시제에 관한 법제 비교와 관련 판례 법리에 대한 고찰

        백경희 법제처 2022 법제 Vol.698 No.-

        In Republic of Korea, since 1985, the 「Food Sanitation Act」applied the 'Sell by Date Labeling System', which allows the sale of products to consumers from the date of manufactur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food manufacturing technology, it has been proven that the product is safe to consume if the storage method is followed even after the Sell by Date has passed. In this situation, the Sell by Date labeling system causes confusion by making consumers recognize the Sell by Date as the time of disposal. As a result, food waste increased and it became a cause of hindering the recycling of surplus food. Accordingly, Republic of Korea also revised the 「Act on Labeling and Advertising of Foods, Etc.」 on August 17, 2021 and replaced it with the Use by Date labeling system, and its enforcement is scheduled for January 1. 2023. Among the countries that use the Use by Date earlier than Republic of Korea, Germany and Japan classify the type of food according to the rate of spoilage and deterioration, and subdivide the Use by Date. In Germany, the storage method is well observed so that if the food is not spoiled, it can be consumed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consum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the Use by Date for conventional foods has been marked using various terms. However, in the United States, it was recently recommended to unify the ‘Best if Used by Date’ because various labels are rather confusing to consumers. In the case of Republic of Korea, the Sell by Date system has not been subdivided, and it is still pointed out that there is still a lack of improvement in awareness of food manufacturers, distributors, and consumers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the Sell by Date is replaced by the Use by Date. Therefore, in Republic of Korea, I think it is desirable to unify the Use by Dat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promot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n the Use by Date for the food industry and consumers.

      • The Environment for Maximal English Language Learning

        백경희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00 지성과 창조 Vol.- No.3

        ABSTRACT In the year 2000 communication is world-wide through multimedia. In this age more than ever, individuals need to know how to commnicate orally. The world "communicate" comes from the Latin communis, meaning "common". Before man can communicate, he must establish commonallity. And the greater his ocmmonness, the greater man's potential for communication. Mankind must not lose his humanity in technology but seek to communicate face to face. This document is research of the optimal environment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using the interaction method, and an investigation of the instructor's contribution in creating that environment. The researcher considers the teacher's role as well as the student's role in language learning. Suggestions are made on how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interaction and thus increase the success of language learning. As man communicates language orally, he preserves his humanity.

      • KCI등재

        비급여의료에 관한 환자유인행위의 판단기준에 관한 고찰

        백경희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叢 Vol.40 No.-

        In Korea's health insurance system, non-benefit medical care is distinguished from patients sharing of the medical cost, and there is a specificity such that a health care provider arbitrarily adjusts the amount. However, in the case of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even if it is found that the problem of non-benefit medical care, in judging patient solicitation, to be banned under the medical law, they considered how Medical care providers or medical institutions provide benefits to patients.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any of these judgments are appropriate in point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tigious regulations of the medical law.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ppeal for commercial purpose, the interpretation should b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The interpretation of the fact that it corresponds to the patients sharing of the medical cost which is regulated in Article 27 (3) of the Medical Law up to the non-benefit medical care is an extension of the text of the punishment regulation excessively and does not conform to tprinciple of legality. Even if it is directly discounted the price for non-benefit medical care by health care provider and has the appearance of the patient incentive act prohibited in Article 27 (3) of the Medical Law, if it turns out to be non-benefit medical care,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examine the additional criteria related to Article 27 (3) of the Medical Law. 우리나라 건강보험체계에서 비급여의료는 본인부담금과 구별되는 것이고 의료인이 자율적으로 금액을 조정하는 등의 특수성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판례와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을 살펴보면, 의료법상 금지되는 환자유인행위를 판단함에 있어서 문제된 의료행위가 비급여라고 판명되더라도 다시 그 의료행위와 관련하여 의료인 혹은 의료기관에서 환자 측에 대하여 어떠한 이익을 제공하고 그와 같은 내용을 공고하는 방식이 어떠하였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그 가부를 결정하고 있다. 이러한 판단의 과정 중 어떠한 판단이 의료법의 명문 규정의 해석에 비추어 적절한지에 대하여는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영리 목적 유인행위의 경우 이에 해당된다고 판단될 경우 의료법상 형사벌에 처할 뿐만 아니라 행정적 제재까지 동시에 이루어지는 중대한 범죄라는 점을 감안할 때, 그 해석은 죄형법정주의에 부합하여야 한다. 비급여의료에 대해서까지 의료법 제27조 제3항에서 규율하는 본인부담금에 해당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형벌법규의 문언을 지나치게 확장해석하는 것으로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 설령 비급여의료에 대하여 의료법 제27조 제3항에서 금하는 환자유인행위의 외관을 지녔다고 하더라도, 본래 비급여의료는 영리성을 지니고 있고 의료인 측에서 가격의 자율 조정이 가능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를 환자유인행위라고 단언할 수는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비급여의료라고 판명이 되었다면 더 이상 의료법 제27조 제3항에 관련된 추가 기준을 검토할 필요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자기결정능력 흠결 상태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의 동의에 관한 소고(小考)

        백경희(白景喜)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論叢 Vol.33 No.-

        환자로부터 유효한 동의 없이 침습적인 의료행위가 이루어졌다면,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침해된 것이고, 이로 인해 환자에게 건강상의 피해가 발생한 경우 의사는 설명의무를 위반한 것이 된다. 따라서 환자의 동의는 의사의 의료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그런데 환자가 자신의 생명·신체·건강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으로써 의사능력 내지 행위능력이 없어 의사를 결정함에 있어 흠결이 있는 경우 환자 본인이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를 할 수 없고, 따라서 환자를 대신한 자의 동의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한다. 본고에서는 자기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의 환자를 ① 미성년 환자, ② 응급상황에 처한 성년 환자, ③ 의사무능력에 이르게 된 성년 환자로 경우를 나누고, 각각 그에 관한 우리나라 법원의 판결 사안에서의 내용을 검토하여 각각의 사안의 차이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최근 개정된 민법 및 특별법의 제도들을 통하여 의료행위의 동의가 어떻게 제도적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입법적 흠결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는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지에 관한 대처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중보건의사의 의료과실에 대한 법적 책임

        백경희,김상순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8 No.4

        현행법상 공중보건의사의 신분은 의료법상의 의료인으로서의 신분 외에 농어촌의료법 규정에 의할 때 공중보 건의사는 국가공무원법상 임기제공무원에 해당하며 국가배상책임법의 규율대상인 공무원에 해당한다. 이러 한 지위를 지닌 공중보건의사가 의료행위를 시행함에 있어 주의의무를 위반하여 환자에 대하여 상해나 사망 등의 악결과를 발생시킨 경우, 공중보건의사의 법적 책임이 문제될 수 있다. 먼저 의료인의 지위에서 공중보건의사가 의료과실로 인한 환자에게 부담하게 되는 책임은 채무불이행책임이 나 불법행위책임으로서의 민사책임과 업무상 과실치사상죄로서의 형사책임이 문제된다. 다음으로 공무원의 신분으로서 공중보건의사의 의료행위는 기관행위에 해당하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공중보건의사의 의료 과실에 관한 국가배상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별도로 논의될 수 있다. 국가배상책임의 경우 공중보건의사의 의료과실이 중과실인지 경과실인지에 따라 국가책임의 존부가 결정되 므로 일반적인 의료소송에서와 달리 추가적 판단이 필요하게 되며, 향후 의료과실의 경중에 관한 논쟁이 예상 된다.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public health doctors are under a double status; the status of a medical personnel under ‘Medical Service Act', and the status of a term serving public official under ‘State Public Officials Act’, in which the ‘State Compensation Act’ applies. If public health doctors cause harm, such as injury or death to patients by violating their duty of care, the legal liability of a public health doctor may be problematic. First, as a medical personnel, a public health doctor may be charged for breach of contract or tort on the civil liability side and involuntary manslaughter or injury by professional negligence on the criminal side. Second, a public health doctor's medical treatment as a public official, is considered as an act of agency. So, whether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should bear compensation liability, is another matter to be discussed. In the case of state compensation liability, the existence of state liability depends on whether a medical malpractice is gross or not. Accordingly, unlike general medical lawsuits, an additional judgment about the weight of the malpractice is necessary. Therefore, in the future, the debate on the weight of the malpractice is to be expected.

      • KCI등재

        환자안전법상 환자안전사고의 범위에 관한 고찰

        백경희 大韓辯護士協會 2017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65

        우리나라는 환자의 안전 확보와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하여 2015. 1. 28. 환자안전법을 특별법으로 제정하였고, 하위법령의 정비도 완료하여 2016. 7. 29.부터 시행되고 있다. 환자안전법에서 수집하고자 하는 ‘환자안전사고’의 개념과 범주는 환자안전법과 그 시행규칙을 통하여 구체화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법제화된 환자안전사고의 정의가 추상적이고 불명확하다면, 해석에 의하여 환자안전사고의 범위가 무한히 확장되어 환자안전시스템에서 입법자가 의도치 아니한 불필요한 사고까지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법령에서 환자안전사고의 개념이 명확하기는 하지만 범위를 지나치게 제한한다면, 환자의 보호를 위해 수집할 필요성이 있는 사고도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배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안전법과 그 시행규칙에서 설정한 ‘환자안전사고’의 개념과 범주가 입법목적을 달성함에 유의미하고 명확한 것인지를 검토하고, 환자안전에 관한 제도가 우리나라보다 먼저 정비되어 실행되고 있는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여 비교해 보고자 한다. 환자안전법이 하위 법령을 정비하여 시행되는 것은 법의 목적이 국민의 생명과 신체,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에 있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환자안전사고와 관련하여 환자안전법제가 추구하는 목적과 다른 나라의 선례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환자안전법의 환자안전사고의 개념과 범주에 대하여는 여전히 불명확한 측면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환자안전사고의 범주에 포섭되어야 하는 영역이 무엇인지에 관하여는 향후 환자안전법령의 개정 시에 재고의 필요가 있다. To ensure patient safety and improv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n Korea the Patient Safety Act has been enacted as a special law on January 28, 2015 and with its implementing ordinances the law became effective from July 29, 2016.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as introduced in the Patent Safety Act is to be materialized through the Act and the implementing ordinances. However, if the definition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in the statute is abstract and unclear, the scope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may expand without limits to include unnecessary accidents in the patient safety system that have not been intended by legislators. On the other hand, if the scope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is too narrow, accidents which necessitate collection for patient protection may be exclud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event conflic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ute after analyzing whether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the ‘Patient Safety Accident’ as introduced by the Act and the implementing ordinances embody significances in reaching the legislative intent.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cases of the U.S. and Japan, and compares with the Korean Act and investigates on possible amendments. Patient Safety Law is enforced under the subordinate statute and it is welcomed that the purpose of the law is to protect the life, body and health rights of the people. However, there are still unclear aspects of the concept and category of patient safety accident in the Patient Safety Act of Korea in light of the purpose pursued by the Patient Safety Act and the precedent of other countries in relation to patient safety accid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nventory in the future revision of the Patient Safety Act as to what areas sh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patient safety accident.

      • KCI등재

        개물림 사고에 대한 소유자의 법적 책임에 관한 소고- 미국의 개물림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백경희,심영주 한국법제연구원 2018 법제연구 Vol.- No.54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households that rear companion animal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With the rise of household dogs, the frequency of humans that are being bitten by another’s dog has also increased. This type of accident, which is known as a dog bite accident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It can cause significant physical and emotional damage to the victims and may result in grave injuries or death. Dog bite accidents are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s and can cause immeasurable hidden costs to the community. South Korea has enacted several laws to address dog bite accidents, which include the Animal Protection Act, the Civil Act, and the Criminal Act. On March 20, 2018, the Animal Protection Act was amended to reinforce the current legislation. These amendments addressed the duty of care owed by a companion dog owner to society members and the punishment that an owner of a fierce dog would face in the event of a dog bite accident. Conversely, several states in the United States have enacted a single law that regulates the details regarding dog bite accidents, such as the type of dog or animal, the type of damage, the scope of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the scope of recognition of liabilities.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iew the present situation of dog bite legislation in several states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a variety of laws that address dog bite accidents, and compare them with current South Korean dog bite legislation. Through this research, this paper will discuss what issues may exist in South Korean’s current dog bite laws, analyze the responsibility of companion dog owners, and provide solutions to any issues that are discovered. 우리나라의 경우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점점 많아지는 경향이고, 특히 반려견이 사람을 물어 사상(死傷)을 입히는 인신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 소위 ‘개물림(Dog-bite) 사고’라고 지칭되는 인신사고이다. 개물림 사고는 피해자에게 상당한 신체적·정서적 피해를 입히는 심각한 공중 보건의 문제이자 지역사회에도 측정하기 어려운 숨은 비용을 양산하게 된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개물림 사고에 대하여 동물보호법, 민법, 형법을 통하여 규율하고 있다. 특히 2018. 3. 20. 동물보호법의 일부개정을 통하여맹견의 견주 등에게 강화된 주의의무와 처벌에 관한 법제를 마련하기도하였다. 한편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개물림 사고에 대하여 단일법에서 개 혹은 동물의 유형, 손해의 형태, 손해의 배상범위, 책임 인정의 범위 등에 관한 세부사항을 규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개물림 사고에 관한 다양한 법제를 지니고 있는 미국 일부주의 법제 현황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법제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개물림 사고에서 특히 견주의 책임에 대한 현행법에서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및 그 보완을 위한 대책으로서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아동학대행위에 대한 의사의 신고의무 제도에 관한 소고

        백경희,김자영 법제처 2023 법제 Vol.701 No.-

        In Republic of Korea, there are cases of child abuse by teachers who supervise children in daycare centers, kindergartens, or elementary schools on behalf of the parental authority or on behalf of the parental authority. Reflecting this social seriousness,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was enacted and amended, strengthening punishment for child abuse crimes,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urgent measures and protection for child victims. In the case of doctors, they are obligated to report child abuse crimes under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as well as those who can diagnose the child's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and issue a diagnosis as direct evidence. For this reason, it is also a job group with a high risk of conflict with those with parental authority in the event of child abuse by a person with parental authority or a deputy supervisor. If a doctor suspects child abuse and proceeds with appropriate procedures in accordance with the duty to report under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if the perpetrator or suspected perpetrator retaliates against the doctor, the doctor The duty of reporting of doctors is inevitably reduced, and difficulties arise in protecting the identity of doctors.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 the overview of child abuse and child abuse crimes and the current legislation related to the duty to report and the protection of reporters under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the doctor who is responsible for diagnosing and treating child abuse is In this case,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whether additional measures and systems are needed to protect both children and doctors, and if necessary, what measures will be taken, we will compare them with foreign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