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외부감사에 미치는 영향 : 감사보고시차를 중심으로

        배창현,손성규 한국공인회계사회 201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5 No.2

        우리나라의 경우 소수의 지배주주에 의해 소유권이 집중되어 있으며 간접소유에 의한 기업 통제형식을 특징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지배구조 하에서는 소유와 경영의 분리에 따른 경영자와 주주 사이의 전통적인 대리인문제보다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결권승수로 측정한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외부감사에 미치는 영향을 감사보고시차로 살펴보았다. 결산일에서 감사보고서일의 누적기간으로 정의되는 감사보고시차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감사인의 노력(audit effort) 및 재무보고 적시성의 대용치로 측정되고 있다. 괴리도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지배주주의 소유-지배 괴리가 커질수록 상호출자를 통해 소액주주의 부를 지배주주에게 이전하는 터널링(Tunneling) 현상 및 보고이익에 대한 왜곡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자본시장과 외부투자자들은 이들 기업의 보고이익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분율 괴리도가 높을수록 지배주주는 자신의 사적이익을 추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성향을 감추기 위해 기업의 정보를 되도록이면 외부에 공개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기말감사를 실시하는 외부감사인의 경우, 감사대상회사의 지분율 괴리가 높을수록 지배주주의 기회주의적인 이익조정 및 사적유인 등을 고려하여 보다 주의 깊은 감사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감사보고시차의 증대로 나타날 것이다. 분석결과, 의결권승수와 감사보고시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 이는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높을수록(지분율 괴리가 클수록) 외부감사인은 소유-지배 괴리에 따른 지배주주의 기회주의적인 행동유인을 고려하여 보다 신중하게 감사절차를 수행한 결과로 해석되며, 결과적으로 재무제표의 적시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Korean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a small number of controlling shareholders have cash flow right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ir control taken by indirect possession. In such a governance structure,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agency problem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rather than to traditional agency problems between managers and shareholders based on the division of possession and managemen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gency problems measured by wedge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on audit report lag. The audit report lag, which is defined as a cumulative period between balance sheet date and audit report date, was measured as a proxy for the audit effort and the timeliness of financial reporting in the previous researches. The previous researches found that as the separation between possession and control of controlling shareholders gets larger, the possibility for the tunneling (transferring the wealth of minority shareholders to controlling shareholders) phenomenon and reported profits to be distorted gets higher. Also, the capital market and external investors do not trust the reported profits because of the possibility for controlling shareholders to take personal gains. In the meantime, it is expected that external auditors will conduct more carefully auditing for firms with larger separation between possession and control in consideration for the possibility for controlling shareholders to take opportunistic actions, and will make effort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of the firm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ms with the high level of agency problems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audit report lag. This result shows evidence indicating that external auditors appropriately monitor the reported profits of a company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for controlling shareholders to take opportunistic actions based on the separation between possession and control.

      • KCI등재

        중소기업의 ESG 경영을 위한 추진모델과 평가지표 구축연구

        배창현,이현경,김태동 한국회계정책학회 2023 회계와 정책연구 Vol.28 No.3

        to eco-friendliness, and in the case of society (S), social responsibilities (e.g., human rights, safety, etc.) should be externally certified. In the case of governance (G), ESG committees should be actually operated to manage relevant companies’ ESG risks. For ESG capability enhancement, [Purpose]In this study, to raise SMEs’ interest in ESG management, a promotion model (roadmap) and evaluation indexes for SMEs’ ESG management of will be discussed. [Methodology]This study presented a roadmap for ESG practice tasks for SMEs (Small or Medium sized Enterprises), focusing on ESG keywords in which SMEs are interested. The roadmap was divided into short-term promotion, mid- to long-term promotion, and ESG capability enhancement. Each of the stages was divided into the areas of environment (E), society (S), and governance (G), and concrete contents by management index were described. [Findings]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hort-term promotion is a stage to establish ESG goals and directivity. In the case of environment (E),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targets and plans related to clean produc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case of society (S), policies related to safety,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should be established. With regard to governance (G), ethics regu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he ESG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nd guidelines for voluntary compliance with fair trade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mid- to long-term promotion is a stage to concretely realize the ESG policies established earlier. In the case of environment (E), continuous investments and development should be made in relation the selection of core ESG issues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the case of environment (E), domestic and foreign government policies or regulations should be preemptively responded through measurement (management) of carbon emissions per unit. In the case of society (S), the accident rate of workers should be established, and safe working environments should be constructed, and in the case of governance (G), employees’ compliance with ethical regulations should be continuously checked. [Policy Implications]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n example of a roadmap through which SMEs can actually implement ESG management in the situation where interest in SMEs’ ESG management is sustain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little helpful for SMEs’ practice of ESG management.

      • KCI등재

        불성실공시 법인의 공시위반제재금 대체 부과에 관한 연구

        배창현,김태동 한국회계정책학회 2020 회계와 정책연구 Vol.25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불성실공시법인의 벌점 대체 효과에 대해 살펴보는데 있다. 불성실공시 제도는 상장법인이 자본시장법 및 시장 공시규정에 의해 공시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지 않은 경우(공시불이행, 공시번복 그리고 공시변경), 이에 대해 거래소가 벌점을 부과하는 제재조치이다. 2010년 7월부터, 일정 요건을 갖춘 상장사의 경우 벌점 대신에 벌금으로 대체 부과하여 시행하고 있는데 관련 규정에 대해 거래소에서는 기업에 선택권을 주는 취지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투자자 보호와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잘못을 저지른 회사에게 책임을 피할 수단으로 악용될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주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관련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성실공시벌점을 공시위반제재금으로 대체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어떠한 평가를 받는지 기업가치 분석을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7년 기간동안 유가증권 시장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불성실공시와 관련하여 벌점을 받은 기업과 부과받은 벌점을 제재금으로 대체한 기업을 구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즉, 벌점을 제재금으로 대체하는기업의 경우 시장에서의 평가는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니라는것이다. 이는 벌점을 제재금으로 대체하는 기업의 경우 해당 기업에 크게 문제가 없는 것으로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봤을 때 이러한 부분이 상쇄(offset)되어 나타난 결과일 수있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법인의 벌점 대체가 기업과 투자자의 정보비대칭을 악화시키거나 투자자 보호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물음에학문적 결과를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비재무적 측정지표를 활용한 연구동향 및 ESG 이슈

        배창현,김태동,신세찬 한국회계학회 2021 회계저널 Vol.30 No.2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tudy flow using nonfinancial measuring indicators and ESG issues in the field of accounting from 2000 to 2019. As for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flow analysis, first, it was grasped that studies using ESG evaluation indicator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manufacturing companies. Second, as for study keywords, it was found that studies with diverse keywords such as enterprise value, capital cost, governance, investment, accounting transparency were conducted, and studies with enterprise value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Third, the non-financial measuring indicators used by researchers in studies were shown to be the KEJI index of the Economic Justice Institute and the ESG rating of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Among ESG issues, there is an issue regarding the need for certification of the rating systems different among ESG rating agencies and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ssue referring to the movement of the European Commission abroad. In addition, the attention of evaluation agencies, companies, and government authorities to the ESG evaluation feedback process is considered necessary now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institutionalize the relevant process. In addition, various issues related to ESG are described, and it is expected that the issues will attract attention from the academia and will be reflected on governmental authorities’ policies.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회계학 분야에서 비재무적 측정지표를 활용한 연구 흐름 및 ESG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흐름을 살펴보면 첫째, 2010년대부터ESG 평가지표를 활용한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파악되며, 대부분 제조기업에 대한 연구가수행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연구 키워드는 기업가치, 자본비용, 지배구조, 투자, 회계투명성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업가치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차지하였다. 셋째, 연구자들이 연구에서 활용하는 비재무적 측정지표로는 경제정의연구소의KEJI 지수와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등급으로 나타났다. ESG 주된 이슈의 경우, ESG 평가기관별로 상인한 등급체계에 대한 인증 및 강화 필요성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 해외 유럽위원회의 움직임을 참고하여 정부당국에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ESG 평가피드백 과정에 대한 평가기관 및 기업, 정부당국의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라생각되며 이를 제도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연구가 이러한 변화의 시작점이 되길희망한다. 그밖에 ESG에 대한 다양한 이슈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학계의 관심 및정부당국의 정책에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경복궁 서측 지역의 도시조직 변화와 사회적 의미 고찰 -근대기 이후 누하동, 필운동의 주요 사례 필지를 중심으로-

        배창현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건축역사연구 Vol.31 No.3

        In the historical city center where overall development has not been made, it is not difficult to observe the aspect of the urban change process over time accumulated. Seochon(西村), which collectively refers to 13 legal dongs in the west of Gyeongbokgung Palace, is also considered a representative historical village with high value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scape because of historical context remains throughout the lot. Therefore, research examining the process of changing parcels in this area is useful for a more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ce of several layers of time. In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time of each road, the river cover process, and the current building establishment process is examined using maps after the pre-modern period and modern era. In addition, to examine the specific change process of individual lots using the old land register, building management ledger and cadastral map. 전면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역사도심에서는 축적된 시간에 따른 도시 변화과정의 면면을 개별 필지의 이용 모습에서도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다. 경복궁 서측의 13개 법정동을 통칭하는 ‘서촌’ 역시 이러한 역사적 맥락이 필지 곳곳에 남아 있기 때문에 마을 자체가 역사·문화 경관으로써 높은 가치를 가지는 대표적인 역사 마을로 평가된다. 서촌의 여러 지역 중 누하동(樓下洞)과 필운동(弼雲洞)은 이 지역에서 그간 축적된 도시조직 변화의 단면을 특히 잘 보여주는 사례가 많다. 이 지역에는 조선시대에서부터 이어져온 물길을 복개한 도로, 1920년대 이후로 형성된 도시형한옥과 골목길,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 도시형 한옥 필지를 합병하며 형성된 다세대주택, 신작로의 개통 또는 필지의 병합으로 생겨난 파편적인 대지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긴 시간의 켜를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모습은 서울의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도시경관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지역 필지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은 여러 시간 층이 뒤섞여 존재하는 현재의 상황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필요하다.이 지역은 근대기의 도시형 한옥이 들어선 약 30여 평 미만의 소형 필지, 도시형 한옥의 규모를 크게 상회하는 100여 평 이상의 대형 필지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대·소형의 필지들은 조선시대부터의 대형 필지가 현재까지 유지되는 경우, 대형의 필지가 분할되어 작은 필지들로 나누어진 경우, 소형의 필지가 병합되어 대형의 필지로 바뀐 경우, 소형의 필지가 그대로 유지된 것들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의 필지 변화과정을 고찰하는 연구는 여러 시간 층이 뒤섞여 존재하는 모습을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하기에 유용하다. 이 지역의 개별 필지들 또한 거시적 도시조직 변화의 흐름 속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되며 형성되었다. 이를 필지 규모의 변화 양상에 따라 살펴보면 첫째, 대형의 필지가 현재에까지 유지되는 경우, 둘째, 대형의 필지가 분할되어 작은 필지들로 나누어진 경우, 셋째, 소형의 필지가 병합되어 대형의 필지로 바뀐 경우, 넷째, 소형의 필지가 그대로 유지된 것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소형 필지가 병합되어 대형 필지로 변화된 과정을 누하동과 필운동의 사례를 통해 비교적 자세히 살펴보았다. 해당 필지들의 물리적 변화는 소유권 변동, 관련법규와 시대적 상황 변화 등의 맥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조선 중기 툇마루의 도입과 상부가구의 구조적 대응

        배창현,전봉희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11

        The necessity of the Toi-Maru has increased greatly in order to enter to the building or to move conveniently in the building after themid-Joseon period, when the combination of On-dolMa-ru began to be universally used.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3-Dori type upperstructure is thought to have undergone the typological changed by securing a more stable space of Toi-Maru In cases where a relatively largegirder was used,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space is divided using a pillar to place a Toi-Maru on the fro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a case where the width of the Toi-Maru exceeds 1meter due to its structural limit. The type that made additional Toi-girder to overcome thespatial constraint of this structure and replaced the method of former typology after Mid-Jpseon period. In case of 5-Dori type, Toi-Maruinstalled in between high post and Toi post in early period. In these type, the width of Toi-Maru was subordinated by the location of milledDori of roof structure and sometimes it became too excessive. 5-Dori type with Pyon-ju occurred to overcome these restriction between thewidth of Toi-Maru and the location of milled Dori of roof structure. Not a few remains of Mid-Jpseon period keeping the evidences ofchanging process of roof structure provoked by Toi-Maru installation. The consistent process of Toi-Maru installation and structural adjustmentwill be focused to consider the attempt to spatial requirement and architectural reaction in Mid-Joseon perid. 툇마루는 온돌 마루의 조합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조선 중기 이후에 건물로의 출입이나 건물 내 공간에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그 필요성이 크게 증가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툇마루는 처마 밑 공간에 좁은 폭으로 설치된 형식에서부터 시작해 보다 안정적인 공간을 확보해 나가는 방향으로 점차 그 유형적 변화를 거치게 되는데, 그 형식은 상부구조의 유형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본 연구는 툇마루의 도입과 이로 인한 상부가구의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주로 조선 중기의 유구들을 고찰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