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룹치료의 이해

        배진애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7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3 No.1

        청각장애인은 정상적인 신경학 체계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청부모의 선택에 의해 언어적 사고 능력을 습득하지 못한 체 성인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건청인이 자연스럽게 모국어를 습득하는 것과는 달리,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대부분 부모와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부모의 말을 모방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부모의 선택에 따라 언어의 입력 환경이 달라질 수 있다. 가정은 아동이 언어를 습득하 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각장애인의 경우 특히 부모와의 언어 상호작용은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간주된다. 부모의 지나친 욕심으로 청각장애인의 상황을 무시한 채 언어 습득을 압박함으로서 청각장애인에게 위축감, 의사소통에 대한 불안감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대화를 회피하고, 열등감과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청각장애인은 언어습득시 정상인보다 교육적 환경의 영향을 더 받는다. 그래서 구화지도를 위해서는 조기교육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청각장애인은 대부분 조음장애를 보이므로 구화에 대한 자신

      • KCI등재

        의미 단서가 중등도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

        배진애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if differences in naming abilities existed when presenting K-BNT semantic cues and ontological semantic cues to moderately impaired Broca aphasics. Methods :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1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oderate impaired Broca's aphasia by P·K-WAB-R. The experimental tools used by Jung (2016) were appl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ontological semantic cues on the naming. Results : First, compared with three conditions, namely before presenting semantic cues, and after presenting K-BNT and ontological semantic cues, the naming ability was shown to be high when semantic cues were presented. Second, after examining whether the K-BNT semantic cues or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have more influence on naming,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were more effective in naming in patients with moderate Broca's aphasia. Third, the mean of each stage of the ontological semantic cu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corrective responses between the three stag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Although the study's population is small and difficult to generalize, we could see that semantic cues are an effective way to facilitate word retrieval in naming in aphasic patients. However, in the case of hierarchical semantic cues, such as ontology, it can improve naming ability, and the presentation of semantic cues is considered a good approach for naming intervention in aphasic patients. 목적: 이 연구에서는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에게 K-BNT 의미 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를제시하였을 때 이름대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대상자는 파라다이스ㆍ한국판 웨스턴 실어증 검사에 의해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으로 진단된 15명을대상으로 Jung(2016)이 온톨로지 의미 단서가 경도의 명칭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미치는 영향을살펴보기 위하여 사용한 실험도구를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의미 단서를 제시하기 전과 K-BNT 의미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를 제시한 후 이름대기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 의미 단서를 제시하였을 때이름대기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시 K-BNT 의미 단서와 온톨로지 의미 단서 중 어떤 단서가 이름대기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온톨로지 의미 단서가 중등도의 브로카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에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세 단계로이루어진 온톨로지 의미 단서간의 정반응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의미 단서단계에 따른 평균을 비교한 결과, 모든 단계간의 의미 단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어의 의미 자질을 고려하여 위계적으로 구성된 의미 단서가 이름대기 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단서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 이번 연구의 모집단이 너무 작아 일반화시키기에 무리가있지만, 의미 단서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시 단어 인출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있었다. 온톨로지 의미 단서처럼 위계적으로 구성된 의미 단서일 때 이름대기 수행력을 더 향상시킬 수있으며, 의미 단서 제시는 임상에서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중재 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법이라고생각된다.

      • KCI등재

        실문법증을 설명하는 이론에 대한 문헌 고찰

        배진애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4

        Purpose : Agrammatism is one of main symptoms of Broca's aphasia that it often appears in shaping of sentence. In the 1980s to the early 2000s have been many theories developed to explain how agrammatic patients active and passive sentence understand. This study tried to analyze many agrammatic related studies of published in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The goal of this paper was to review many theories of agrammatism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 of korean agrammatic research. Methods : A total of 51 articles related to theory of agrammatism were selected. These articles were analyzed by types of agrammatic theory and results of tested hypothesis per each theory. The tasks used in the studies were also classified by types. Results : There are two positions to explain of agrammatism, one is a linguistic deficit, the other is a strategic use as compensation. Many theories treated agrammatic comprehension than the agrammatic production. To explain of agrammatism were used many tasks like comprehension of active and passive sentence, picture description and story telling, spontaneous speech including interview, as well as use of tense, use and comprehension of functional categories(Tense, Complimentizer, Agreement), and completion and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Conclusions : This paper reviewed articles about many theories of agrammatism, studies of hypothesis test per each theory, and types of used tasks in the studies. 목적: 실문법증은 브로카실어증의 주요 증상으로 문장 형성 시 자주 나타난다. 1980년대부터2000년대 초반까지 인도 유럽어에서 실문법증 환자들의 능동문과 수동문 이해를 고찰하기 위하여 많은이론들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나 석·박사 논문에 발표되었던 실문법증 관련 연구들을분석하고, 실문법증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을 고찰하여 향후 한국 실문법증 연구의 방향을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문법증 이론을 살펴본 총 51편의 국내외 논문을 선정하여 실문법증을설명하는 이론의 종류, 각 이론을 검증한 연구 결과, 그리고 연구들에 사용된 과제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 실문법증에 대한 이론은 크게 언어학적 결함과 보상적 전략으로 설명하는 두 입장으로 분류되고, 실문법적 표현보다는 실문법적 이해를 다루는 이론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각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사용된 연구들의 결과는 언어권이나 언어 양식, 과제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실문법증을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과제 유형으로는 능동문과 수동문의 이해 과제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그림설명이나 이야기 말하기, 시제 사용, 기능 범주 사용 및 이해, 임상가와 환자의 인터뷰를 통한자발화 산출, 문법 형태소 삽입이나 사용 과제가 많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실문법증을설명하기 위해 자주 거론되는 이론을 소개하고, 각 이론마다 검증한 연구들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각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과제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고찰이 향후 한국 실문법증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뇌졸중 후 삼킴장애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배진애 한국언어치료학회 2023 言語治療硏究 Vol.32 No.4

        Purpose: Stroke patients suffer from various aftereffects such as dysphagia, and these symptoms affect the overall life of strok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Dysphagia Handicap Index (DHI) for patients with dysphagia after stroke to examine how dysphasia affect patients’ phys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aspect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swallowing of stroke patients. Methods: 40 patients with dysphagia due to stroke were studied. The DHI of stroke patients, sub-domains of DHI,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the patients’ self-report evaluation via the DHI.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HI of stroke patients between the youth and the elderly. This means that the DHI increases with age. Second, in the sub-domain of the DHI of stroke patients, both groups scored higher in the order of functional>physical>emotional domain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ll sub-domains of the DHI.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the DHI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bu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duration of prevalence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troke patients can cause more discomfort and lower quality of life in terms of phys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aspects when swallowing as they ag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s.

      • KCI등재

        실어증 환자의 실독증 특성

        배진애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ding characteristics of aphasia patients and normal adults by reading regular words, irregular words, and non-words. Methods: Aphasic patients and normal adult groups of 15 read three word types aloud: regular words, irregular words and non-words consisting of two syllables. The words were shown via PowerPoint.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of regular words, irregular words, and non-words between aphasic patients and normal adults. Second, compared with reading ability by word types in aphasics,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for regular words-irregular words, and regular words-non-words. In normal ad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for regular words-irregular words. Third, the most common error type in aphasics was substitution error of the three word types. However, the most common error type in normal adults was ommission error of regular words. Fourth, from the error analysis of the aphasic patients reading irregular words, visual error was the most frequent. Error frequency of reading irregular words according to phonological rule types in aphasics was the most frequent aspiration. Conclusions: There were lexicality and regularity effects in the aphasic groups, but only regularity effects in the normal adults. Aphasic patients made the most substitution errors in reading the three word types. In reading irregular words, the most common error was visual error in application of phonological ru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effective to mediate words rather than non-words and regular words rather than irregular words. 목적 : 본 연구는 규칙 단어, 불규칙 단어, 비단어 읽기를 통해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의 읽기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해 실어증으로진단받은 환자 15명과 정상 성인 15명으로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어증 환자들이 보이는읽기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2음절로 된 규칙 단어, 불규칙 단어, 비단어 각 30문항씩 총90문항을 PowerPoint로 제시하여 읽게 하였다. 결과 : 첫째, 규칙 단어, 불규칙 단어, 비단어읽기 시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이 보인 정반응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정상 성인이 실어증 환자보다 읽기 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특히 비단어 읽기 시 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 모두 비단어, 불규칙 단어, 규칙단어 순으로 오류 수가 많았다. 이는 본 연구의 실어증 환자들이 음운 실독증의 특성을 가장 많이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어증 환자의 단어유형에 따른 읽기 수행력을 살펴본 결과, 실어증환자들은 규칙 단어-불규칙 단어, 규칙 단어-비단어 읽기 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정상 성인은 규칙 단어-불규칙 단어 읽기 시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의오류유형을 비교한 결과, 실어증 환자는 세 단어유형에서 대치 오류가 가장 빈번히 나타났고, 정상 성인의 경우 규칙 단어에서는 생략 오류, 불규칙 단어와 비단어 읽기 시에는 대치 오류가가장 많이 산출되었다. 넷째, 두 집단 간 불규칙 단어의 오류유형을 살펴본 결과, 음운변동을적용하였을 때에는 두 집단 모두에서 시각적 오류가 가장 빈번히 산출되었다. 불규칙 단어 읽기과제에 적용된 음운변동의 경우 실어증 환자는 정상 성인에 비해 기식음화, 설측음화, 비음화, 경음화, 구개음화, ㅎ탈락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실어증 환자들의 경우 비단어보다는단어를, 불규칙 단어보다는 규칙 단어 읽기 시 수행력이 높은 어휘성과 규칙성의 효과가나타났지만, 정상 성인에게서는 규칙성 효과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실어증 환자의 읽기 중재시 비단어보다는 단어를, 불규칙 단어보다는 규칙 단어를 우선적으로 중재하는 것이 효과적임을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내용어와 기능어의 산출 비교 연구

        배진애(Jin Ae B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2

        본 연구는 실문법증을 보인 브로카 실어증 환자 10명의 자발적 발화와 그림 묘사 및 동화 재현을 통한 구조적 발화에 나타난 내용어와 기능어의 산출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표현언어는 정상인에 비해 전체적으로 제한되어 있고, 기능어보다는 내용어를 자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어증 환자들은 내용어 중에서도 명사를 가장 빈번히 산출하였으며, 이는 또한 정상인에게서도 마찬가지였다. 환자들은 내용어 중에서 형용사를 가장 적게 산출하였다. 특히 동사의 산출 시 가장 많은 오류를 보였는데, 정상인과 비교 시 산출된 동사 수에 비해 오류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환자들은 실제로 명사를 가장 빈번히 산출하였으나, 명사에서는 더 적은 오류를 보였다. 실어증 환자들에게서는 음소착어증보다 의미착어증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 이런 현상은 환자보다 더 적은 오류를 보인 정상 성인에게서도 마찬가지로 관찰되었다. 실어증 환자들이 정상인보다 기능어를 더 적게 산출하였지만, 자발적 발화나 구조적 발화에서 기능어를 사용할 능력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발화에서 두 집단이 산출한 기능어의 비율은 별 차이가 없는 반면에, 자발적 발화에서는 두 집단간 기능어의 산출 빈도에 차이를 보였다. 실어증 환자들에게서는 기능어의 생략 오류 뿐만 아니라 대치 오류도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오히려 기능어를 대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정상인의 경우 대치 오류가 전반적으로 우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문법증 환자들이 산출한 표현언어를 토대로 내용어와 기능어의 산출 빈도 및 오류 유형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agrammatic production of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in Korea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en Broca aphasics having prototypical agrammatic speech production and ten normal adults were selected. The methods and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come from Menn & Obler(1990), who provided a consistent format to describe agrammatic produc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pontaneous speech and structured speech: telling the history of an illness, telling of a popular folktale, completion of a picture action and using the modified Wechsler-Bellevue stories. A comparison of the controls with the patients revealed interesting differences. The number of total word produced by aphasics was lower than the controls; reduced variety and simplification of syntax were also observed. The proportion of the content word was much higher for the aphasics than the controls on their spontaneous speech. Nouns were the most commonly produced words by the aphasics and the controls. Although both groups produced more nouns than verbs, the aphasics made more errors with verbs than nouns in the free interviews and the narrative elicited tasks. Adjectives were produced less often in the open class words. The agrammatic production was more often distorted by semantic paraphasia than by phonemic paraphasia. The function words were substituted more by both the agrammatic patients and the controls, even though the closed class elements were omitted. For the function words, the controls had higher rates of substitution than did the agrammatic patients. Overall, the results from the word production in Korean agrammatic patients showed similar patterns as was reported by Menn & Obler(1990). However, some symptoms(e. g. more semantic paraphasia and more substitutions) seem to have a different pattern in Koreans.

      • KCI등재

        한국에 대한 일본 MZ세대의 중립적 태도 분석

        정근하,배진애 대한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 Vol.99 No.-

        2010년 중반, 일본은 2차 한류(韓流: Korean wave)붐이 일고 있었지만, 혐한(嫌韓) 관련 서적이 베스트셀러로 선정되었고, 우익단체들은 일본 각지에서 '헤이트스피치(憎惡發言: 특정 민족·인종에 대한 증오 표현)' 를 전개하며 험악한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이러한 혐한의 분위기 속에서 감수성 예민한 10대를 보냈던 MZ세대들은 기성세대와 달리 한국을 ‘일본과 비슷한 나라’라든지, ‘첨단 유행의 발신지’, ‘동경하는 나라’로 인식을하고 있어 일본 사회가 놀라고 있다. 이처럼 일본의 기성세대와 MZ세대는 매우 대조적인 인식이 구축되어있다는 점에서 이를 학술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문헌조사와 인터뷰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사실은 일본의 기성세대가 청년층과 MZ 세대가 자랑스러운국민으로 성장하도록 부끄러운 역사를 왜곡하고 축소한 결과 한국에 대한 공백 상태를 만들었고, 세계 최정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는 한국의 아이돌들을 완성된 상품으로 인식하며, 이러한 인식을 한국 사회에투사하면서 한국을 발전한 국가, 동경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던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일본의 기성세대들이 예측하지 못한 결과로 역사를 왜곡하고 은폐한 결과가 어떤 결과를초래하는지를 보여준 사례라 판단된다.

      • KCI등재

        대학교수의 음성자각정도와 음향학적 특성 연구

        김지원(Ji-Won Kim),배진애(Jin-Ae Ba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3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 사용자인 대학교수의 음성장애지수 하위영역별 자각정도와 음향학적 매개변수의 값을 측정하여 대학교수 집단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학교수들의 음성보호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성질환이 없는 대학교수 총 30명을 대상으로 음성장애지수와 모음 /아/ 음성샘플을 수집한 후 음성자각 특성, 음향학적 특성 및 음성자각정도와 음향학적 특성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은 음성장애지수의 하위영역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여성은 신체적 영역이 기능적, 정서적 영역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MDVP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음향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F0, Jitter, Shimmer, NHR 모두 정상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자각정도에 따른 음향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에서 여성은 F0에서 음성자각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남성은 Shimmer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음성자각정도와 음향학적 특성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 남성은 음성장애지수의 정서적 영역과 Shimmer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여성은 신체적 영역과 F0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대학교수 집단의 음성 특성은 음성 보호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교수의 음성에 대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관적 및 객관적 음성평가를 사용하여 직업적 음성 사용자인 대학교수의 음성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professors by measur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each sub-domain of the Voice Handicap Index(VHI) and acoustic parameters of professional voice use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ir voices. To this end, a total of 30 university professors without voice disorders collected VHI and vowel /a/ speech samples, and analyzed voice awarenes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voice awarenes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domains of the VHI for men, but women hav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physical domain than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domain. The analysis of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using MDVP found that F0, Jitter, Shimmer, and NHR were all within the normal range. The comparis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gree of voice awar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0 for women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immer for men.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degree of voice awarenes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me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al domain of the VHI and Shimmer, while wo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domain and F0.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professors’groups shown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fundamental data for voice protection and management. Future studies of university professors’voices will require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ofessional voice user’s voice using a variety of subjective and objective voice assess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