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와 성격

        배진성 한국청동기학회 2016 한국청동기학보 Vol.18 No.-

        부여 송국리유적에서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가 처음 알려진 이래 오랜 시간이 지났고, 발굴조사의 폭증 속에서 무문토기 자료는 엄청난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형적인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수량은 예상외로 많지 않고, 이에 대한 개별 연구도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전형의 경우 기고와 동최대 경의 계측치 분포가 대단히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있는 점에서 다른 토기에 비해 어느 정도 규격화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는 대단히 한정된 시기 동안만 사용되었기 때문에 세밀한 편 년보다는 계통 및 기능의 파악이 더 필요하다.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 범위는 자료가 증가한 현재에도 이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안정된 분포권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송국리형주거지 및 송국리식 토기 등은 분포 범위가 매우 넓은 반면,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는 송국리유형의 여러 요소 가운데 금강중 하류역에 한정되는 매우 좁은 분포권을 이루고 있다. 이것의 계통에 대해서는 평양 남경유적의 미송리형 토기에 주목하기도 하였지만, 파수와 횡집선문의 부재는 물론 금강유역에 대동강유역 무문토기의 영향이 거의 보이지 않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전기 후반의 보령 주교리 18호 출토 적색마연호에서 관창리 801호 출토 적색마연호를 거쳐 송국리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등장으로 보는 것이 형식적인 연결로서는 가장 무난하다. 금강유역의 유적에서는 주거지 외에도 저장수혈에서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가 출토되는 사례가 적지 않 다. 주거지의 경우에도 벽면에 접하여 설치된 저장수혈에서 출토되기도 하는 등 저장과 관련된 출토 정황 이 다수 확인된다. 또 금강중하류역을 벗어난 지역에서는 진안 농산유적에서만 전형에 가까운 플라스크형 적색마연호가 출토되었는데, 해당 유구는 수혈이었다. 적색마연호 자체가 의례와의 관련성이 강한 점을 고려할 때, 아직 확실한 근거는 부족하지만 이러한 수혈에서 출토되는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는 저장과 관련된 의례에 사용된 특수 용기일 가능성도 없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플라스크형적색마연호의 분포권은 특정 기물을 공통으로 하는 의례의 권역이면서, 어느 정도 규격화된 의례 용기의 사용이라는 공통의 규제가 작동하고 있었던 집단의 범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Flask-type pottery was known at first Songguk-ri Site in Buyeo. Despite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excavation and typical Flask-type Pottery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In addition, individual study for Flask-type Pottery is not being done well. It is possible that typical Flask-type Pottery has been standardized to some extent than the other pottery. It was used only for a very limited time.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function rather than its detailed relative date. In the current distribution range of Flask-type Pottery is not much difference with the previous. Songguk-ri type Dwelling and Songguk-ri type Pottery seems a very wide distribution range. On the other hand, Flask-type Pottery among the many elements of Songguk-ri Culture forms a very narrow distribution range limited to the Geum River basin. It has been recognized that Misong-ri type Pottery is associated with genealogy of Flask-type Pottery. But Flask-type Pottery is likely to emerge in the course of changes of red burnished pottery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site of the Geum River basin, it is excavated dwelling as well as storage feature. Besides red burnished pottery itself is closely related with the ritual. Definitive evidence is still lacking. But it is estimated that Flask-type Pottery is special bowl associated with storage ritual. Then distribution range of Flask-type Pottery can be understood to represent a range of common ritual.

      • KCI등재

        부산 출토 적색마연평저호의 검토

        배진성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39 No.-

        About 50 Bronze Age tombs have been identified in Busan. As the types of tombs are diverse and large groups of tombs have been identified, data conditions are better than before. Most of the tombs are stone coffins. Its biggest features are separate spa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ll and red burnished jars. It is particularly unusual that bottom of these red burnished jars are flat. These red burnished jars are not visible in other areas and are only found in Busan. These pottery are mainly distributed in Suyoung River within Busan. It is also distributed in Gangseo-gu area in the west, but not in Gijang area in the east. Red burnished jars, which shows this local characteristic, can be called Busan type red burnished jar in contrast to Haman type red burnished jar, which distributes to Gangseo-gu.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Busan's Bronze Age, views are growing that it can be seen as a transition belt because both Songguk-ri Culture and Geomdan-ri Culture are visible.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mix of dwellings of both cultures is a feature of Busan's the late Bronze Age. However, it is Busan type red burnished jars that represents the late Bronze Age in Busan. Its central area is determined by Suyeong River area, which is the center of distribution of red burnished jars, while both Songguk-ri type house and Ulsan type house are identifi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Busan in the late Bronze Age through transition belt, Busan type red burnished jar, and Suyoung River area. 현재 부산지역의 청동기시대 분묘는 약 50여기에 이를 정도로 많아졌고 종류도 다양하며, 대규모 분묘군도 확인되는 등 이전에 비해 자료적 여건이 나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관묘의 가장 큰 특징은 단벽 쪽에 부장칸을 설치하고 적색마연평저호 한 점을 부장한 점이다. 이 토기에는 마연과 목리가 보이며, 기형은 후기의 적색마연호에 일반적인 원저가 아닌 평저라는 점이 특이하다. 태토는 전형적인 적색마연토기에 비해 정선도가 떨어지며, 적색마연토기에 공렬문이 시문되는 점도 특이하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적색마연토기는 한반도 내에서 부산지역에서만 확인된다. 분포의 중심은 현재의 부산 도심에 해당하는 수영강 일대이며, 강서구 일대까지 분포범위를 넓혀 볼 수 있지만 동쪽의 기장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그리고 함안지역부터 강서구까지 분포하는 함안식적색마연호와 대비하는 의미에서 부산식적색마연호라는 형식명을 부여할 수 있다. 부산지역 청동기시대에 대해 주거지의 분포를 통해 송국리문화와 검단리문화가 공존하는 점이지대라는 견해가 있고, 이는 부인할 수 없는 특징이다. 그러나 타 문화의 주변부적인 특징보다는 부산만의 독자적인 특징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부산식적색마연호인 적색마연평저호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의 중심권역은 송국리형주거지와 울산식주거지가 모두 확인되는 동시에 적색마연평저호의 분포권에서도 중심부에 해당하는 수영강 일대로 판단된다. 특히 대규모 분묘군이라 할 수 있는 온천2동유적에서 고품질의 부산식적색마연호가 출토되는 점에서, 수영강 일대 중에서도 현재의 온천동은 청동기시대 후기 부산지역의 중심적인 취락지일 가능성이 높다. 기존의 점이지대론, (공렬문)적색마연평저호, 수영강 일대가 중심권역이라는 점을 통해 앞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의 부산지역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매장문화재조사비용의 원인자책임원칙에 관한 연구

        배진성,이기춘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8 야외고고학 Vol.0 No.32

        This paper is the result of interdisciplinary joint research that started from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both archeology and law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In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causer-pays-principle is ruled as constitutiona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no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limit of tolerability of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investigation cost and possibility of exceeding it. The causer-pays-principle is tha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risk prevention law, the existence of a risk to 'public safety and order' as protection interests, the existence of 'risk' and ‘liability’ to the risk must be admitted. The protec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is included in the concept public safety. In the case of excavation survey for construction work, the buried cultural property could be damaged or destroyed, and the risk requirements will be satisfied. In order to justify the causer-pays-principle, the most important 'liability' requirement must be met. Liability to burden as a causer in the risk prevention law is divided into 'the behavior-liability-theory', 'the liability theory of state of things like lands' and 'the risk liability theory in public law'. While the behavior-liabilitytheory is difficult to justify the cost of investigating buried cultural properties, the liability theory of state of things like lands and the risk liability theory in public law is appropriate as a rationale for the legal provisions that levies the costs of land survey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entirely to a builders and developer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scope of the limit of tolerability is revealed in the judgment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t is unreasonable to charge unlimited liability for the builders and developers. In recent years,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also ruled that it has violated the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or of proportion in relation to the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The provisions of liability under the Germa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stipulates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limit of tolerability", without exception, there is an equitable provision to avoid sacrifices due to excessive liability. Now, also in Korea, the unlimited state liability theory should not be recognized as a theory for the causer-pays-principle that causes excessive burden of cultural property investigation, an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law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roblem of excess. Of 128 제32호course, the pre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buried) cultural properties is a constitutional obligation that should be given priority. However, if the burden of over-exploitation of buried cultural assets due to development is unilaterally imposed and these situations become a risk factor for social conflicts and cultural property itself, a fundamental and reasonable solution should be sought. 본고는 매장문화재조사비용 원인자책임원칙의 문제는 고고학과 법학 두 분야가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한 학제간 공동연구의 결과물이다. 헌재의판례에서도 원인자책임원칙은 합헌으로 판결되고 있지만, 매장문화재조사비용에 대한수인가능 범위와 그 초과가능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는 점은 문제가 있다. 원인자책임원칙은 위험방지법의 원칙에 따를 때 , 보호이익으로서 ‘공공의안녕·질서’에 대한 위험의 존재, 그 보호이익에 대한 ‘위험’의 존재, 그 위험발생에대한 ‘책임’이 인정되어야 한다. 매장문화재에 대한 보호는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포함되며, 건설공사를 위한 발굴조사의 경우 해당 매장문화재의 훼손이나 파괴 가능성이있어 위험 요건도 충족될 것이다. 원인자책임원칙이 더욱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가장핵심적인 ‘책임’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위험방지법에서 말하는 원인자로서의 책임에는‘행위책임’·‘상태책임’·‘공법상 위험책임’이 있다. 행위책임 법리는 사업시행자의매장문화재조사비용을 정당화하기 어려운데 비해, 상태책임과 공법상 위험책임 법리는지표조사 및 발굴조사 비용을 개발사업 시행자에게 전적으로 부담시키는 법률조항의이론적 근거로서 적합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에서 수인한도의 범위를 밝히고 있는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사업시행자에게 무제한의 비용책임을 지우는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인데, 근래에는 한국의 헌법재판소에서도 토양환경보전법과관련하여 과잉금지원칙 위반을 판시한 사례가 있다. 독일의 문화재보호법에 있는원인자비용책임규정들에는 예외 없이 “수인한도의 범위 내에서”라는 점을 명시함으로써, 과도한 비용책임으로 인한 희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형평규정을 두고 있다. 이제는한국에서도 매장문화재조사비용의 원인자책임원칙에 대해 무제한적 상태책임이아니라 수인한도 초과의 문제를 고려한 법 개정이 필요하다. (매장)문화재의 보호와보존은 우선시되어야 할 헌법적 책무이지만, 개발에 따른 매장문화재조사비용의원인자책임원칙이 일방적으로 강요되는 측면도 있다. 또 이것이 사회적 갈등의 요인이된다면, 현 시점에 맞는 근원적이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美松里型土器文化의 動態와 分布圈

        배진성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7

        The Misong-ri type pottery has been academically established by theresearch of North Korean scholars. Although this pottery is known bymany different names, must respect the original cover remains. TheMisong-ri type pottery indicates the specific shape within jar of theBronze Age. Therefore, the concept of type(型式) should be examined. There are numerous views regarding the origin and earliest form of theMisong -ri type pottery. In this study, the Misong -ri type potterysimultaneously appeared in the Liaodong region. And the spatial area inwhich the Misong-ri type pottery has been excavated can be referredto as the area of the Misong-ri Type Pottery Culture. These were notunified cultural and unified political groups. Rather, the pottery showsthat people maintained diversity and regional identities. Thus, thepottery can be identified as a so-called Local Culture. The Misong-ritype pottery was closely related to Gojoseon. Judging by the distributionof the Misong-ri type pottery, the center of Gojoseon was located inthe Liaodong region. In this area, the tombs of the highest powers werein northern Liaodong. 미송리형토기라는 용어는 북한학계의 조사와 연구에 의해 학술적으로 정착되어 왔다. 미송리형토기는 호라는 기종 내에서도 특정의 종류를 지칭하므로 이른바 형식의 개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송리형토기의 기원 및 가장 이른 형식에 대해서는 타두 적석묘, 쌍방 6호묘, 장가보 A동 34호묘, 산성자 C동 2호묘, 동산 9호묘의 호가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미송리형토기가요동의 어느 한 곳에서 발생하였다기보다는 요동반도와 요북지역에서 각기 지역색을 띠면서 거의 동시기에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권역은 고식의 미송리형토기가 출토된 요동반도, 요북지역, 그 사이의 동산유적 일대,그리고 고식은 없지만 미송리형토기가 전개된 압록강∼청천강유역과 기형적인 지역색이 뚜렷한 대동강유역이라는 다섯 개로 구분된다. 이 지역들을 묶은범위가 이른바 미송리형토기문화권이며, 이것은 어떤 통일된 문화권이나 정치체가 아니라 전체적인 공통성 속에서 권역별 다양성과 독자성을 유지하였던지역문화권으로 볼 수 있다. 문헌에 기록된 고조선이 요하 이동의 미송리형토기를 사용하던 집단들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면, 고조선은 미송리형토기문화권전체를 가리키기도 하고 때로는 그 가운데 특정 권역을 가리키기도 하였을 것이다. 고식 및 전형 미송리형토기의 분포로 볼 때 압록강∼대동강유역보다는요동지역이 전국시대 이전 고조선의 중심 지역이었을 것이며, 그 중에서도 이도하자나 성신촌 석관묘와 같은 최고 유력자의 분묘가 확인되는 요북지역이가장 중심적인 권역이었을 것이다.

      • 무문토기의 계통과 전개 : 최근의 쟁점을 중심으로

        배진성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0 고고학지 Vol.16 No.-

        무문토기의 계통에 대한 연구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통설적 견해에 대한 활발한 재검토와 더불어 새로운 연구들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농경사회의 시작을 알리는 각목돌대문토기는 서북지역의 영향이 큰 가운데 조기부터 지역적 다양성이 고려된다. 특히 중서부지역 조기 무문토기의 계통과 관련하여 비자와·구룡강 Ⅰ기·미사리 17호의 이중구연각목문토기를 통해 요동반도·서북지역·중서부지역의 관련성이 한층 분명해졌다. 가락동식토기의 계통 역시 서북지역이 유력하며, 남한의 가락동식토기가 어떻게 구체적으로 정의되느냐에 따라 그 출현 시기도 정해질 것이다. 전기 무문토기를 대표하는 돌류문토기의 계통은 동북기원설·서북기원설·재지설이라는 세 가지 가설 속에서 추후 구체화시켜 가고 싶다. 그리고 급증하는 자료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후기의 검단리유형이나 북한강유형처럼 전기 무문토기에서도 지역양식에 대한 연구가 진전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남한 무문토기의 계통과 전개는 중국 동북지방~북한~남한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선사토기의 유기적인 관계를 파악해야만 현재 제기되고 있는 여러 논점들을 풀어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