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류발전용 수직축 터빈의 공진 회피 설계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배재한(Jae-Han Bae),성혜민(Hye-Min Seong),조대승(Dae-Seung Cho),김재호(Jae-Ho Kim)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2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4

        The vertical-axis tidal current turbine (VAT) consisting of blades, struts to support blades, shaft, generator and so forth requires anti-resonance design against fluid fluctuation forces generated on blades to ensure its stable operation. In this study, a free vibration analysis program based on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developed for efficient anti-resonance design of VAT in the preliminary design stage. In the finite element modeling, the VAT structure components are regarded as beam elements. Added masses due to the fluid and structure interaction of VAT evaluated by empirical formulas are considered as lumped mass elements. In addition, input parameters required for the analysis can be automatically prepared from the principal dimensions of VAT to make anti-resonance design more convenient. The validity of applied methods is verified by the comparison of the numerical results obtained from MSC/Nastran and the developed program for two VAT models.

      • KCI등재

        가상현실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의 사용자 경험과 운전 태도에 대한 실험연구

        배재한(Bae, Jae-Han),김재진(Kim, Jae-Jin),노기영(Noh, Ghee-Young)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3

        본 연구는 3D 가상현실에서의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과 일반 모니터를 사용한 비디오 게임의 환경에서 실재감, 몰입, 각성의 사용자 경험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비교 실험을 통해 수행하였다. 또한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의 기능적 효과 측면에서 기능성 효과인 운전태도와 게임성 효과인 정서적 즐거움 그리고 복합적인 효과인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동차 운전면허를 소지한 초보운전자 남녀 각50명씩 총 100명의 실험 참여자를 선정하여 두 가지 실험 환경에서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을 플레이테스팅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재감, 몰입, 각성의 사용자경험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의 기능적 효과인 운전태도, 정서, 만족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기능성게임의 가상현실 적용에 이론적, 실무적 기여를 하고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in driving simulation game between using general monitor and 3D virtual reality device, Oculus Rift DK2.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user experience such as presence, flow and arousal by gaming environment. We also tested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on driving attitude, emotional pleasure and satisfaction. 100 beginner drivers with a driver's licens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f two modes of gaming environment. As a result, all the three user experience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VR game play than general monitor game. Also driving attitude, emotional pleasure and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irtual reality. This study make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next virtual reality game with a special function.

      • KCI등재

        사회의식적 미술의 이해를 통한 시각미술수업의 확장

        배재한(Jae-Han Ba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과 교육 Vol.16 No.1

        이 논문은 유럽의 미술작품들 중에서 사회의식적 작품들(socially conscious works of art)을 어떻게 미학이나 미술비평과 같은 이해영역의 학교미술수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미술작품들의 형식적인 분석(formal analysis)보다는 작품들이 연관되어 있는 역사적인 사건과 창작 당시의 시대적 배경의 이해와 분석 즉 맥락적인 영역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었다. 왜냐하면 작품에 대한 맥락적인 영역의 이해와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미술작품의 의미, 내 용, 주제, 제작방법, 작가의 생각과 의도를 보다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Shahn, 1957). 이 논문에서는 일반대중들에게도 비교적 잘 알려진 브뤼겔, 고야, 다비드, 콜비츠의 생애와 그들이 제작 한 사회의식적 미술작품들을 고찰해 봄으로서 이들 작품들이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던지는 삶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을 통해서 미술교육자들은 이 논문의 개념의 틀(conceptual frameworks)인 지속가능한 아이디어(enduring ideas), 시각미술을 이용한 학습 (learning with visual arts), 시각미술을 통한 학습(learning through visual arts)의 이해를 통해 16세 기와 20세기 초 유럽에서 제작된 사회의식적 미술작품들과 작가들이 어떻게 현대의 미술교육 수업에 접목되어 있는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미술수업이 어떻게 다른 교과와 학생들의 현재 삶과도 연결될 수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an inquiry into how relatively well-known and socially conscious European artists, such as Brueghel, Goya, David, and Kollwitz, and their works of art are used in public school art classes to instruct students on comprehensive domains like art criticism and aesthetics. Rather than a formal analysis of artworks, this study focuses on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and contextual information, allowing students to at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meaning, content, topics, and methods, as well as the artists’ visions and intentions (Shahn, 1957). This approach facilitates articulation and discussion regarding how these classic works still affect us in a contemporary world. Moreover, this paper emphasizes key conceptual frameworks such as enduring ideas, learning with visual arts, and learning through visual arts as ways educators can implement these socially conscious artists and their works of art within contemporary art classroom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또 다른 가능성 : 사회 정의를 위한 미술교육

        배재한(Jae-Han Ba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4 미술과 교육 Vol.15 No.1

        이 연구는 미술교육과 사회 정의(social justice)와의 관계를 밝혀 미술교육의 새로운 가능성과 비전을 탐색해 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 정의와 비판적 교육이론의 의미와 이 둘 사이의 관계에 대해 서 살펴보았고, 미술교육을 통하여 사회 정의 교육을 적용한 선행 연구들도 소개하였다. 또한 정의, 자 유, 인권, 평등, 인간의 존엄성 등을 작품 주제로 다루는 팀 롤린스와 생존을 위한 아이들의 작품의 주 제와 제작 방법을 소개하여 사회 정의와 관련된 주제들이 어떻게 미술교육에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서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초등학교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른 교과와 연계된 미술과 수업 내 용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요컨대 사회 정의는 미술교육에 새로운 교수-학습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뿐 만 아니라 미술교육자들에게는 미술교육 철학과 교육 목적에 대해서 재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definitions of social justice, social justice education, critical pedagogy,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It arrays prior studies that articulate how art educators integrate social justice themes with their curriculum in general. Works of art produced by Tim Rollins and the Kids of Survival (K.O.S.) are introduced to provide Korean art educators with practical examples that incorporate visual arts with themes of social justice, equality, freedom, human and animal rights, and their dignity. Finally, the study also devices instructional ideas of ar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are associated with content areas. The study concludes that incorporating social justice in art education plays a key role in allowing Korean art educators to broaden instructional ideas as well as the views of their current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후보

        신규 미세조류 Tetraselmis sp. KCTC12236BP의 분리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

        신동우(Dong-Woo Shin),배재한(Jae-Han Bae),조용희(Yonghee Cho),류영진(Young-Jin Ryu),김지훈(Z-Hun Kim),임상민(Sang-Min Lim),이철균(Choul-Gyun Lee)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16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8 No.1

        The microalgae have been studied for a source of biodiesel production.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microalgae, which grows rapidly in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range and ingredient of local seawater. The aim of this study was isolating microalga, which has rapid growth rate and high FAME contents in wide temperature ranges, for microalgal offshore cultivation in Korea, one of the country with four distinct seasons. Firstly, we had isolated a green microalga, Tetraselmis sp. KCTC12236BP, which has faster growth rate in low temperature (5 and 10℃) than Tetraselmis suecica and Dunaliella tertiolecta LB999 from Young Heung Island, Incheon, Korea. This microalga was cultivated in outdoor circulated tank photobioreactor (CT-PBR). As a result, this microalga could grow in wide temperature ranges (6 to 29℃), outdoors. After that, the biomass was recovered, and 13.2 g biodiesel could be acquired from 110 g dry bioma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solated microalga, Tetraselmis sp. KCTC12236BP is proper to biodiesel production using outdoor cultivation in Korea for all seas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