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즉각적 노예 해방을 향한 수사와 행동주의 -엘리자베스 헤이릭의 사례-

        배인성 ( In Sung Bae ) 한국서양사학회 2015 西洋史論 Vol.0 No.126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discourse of slavery of Elizabeth Heyrick in the frame of ‘rhetorical aspect’ and ‘activism’. More specifically, it was focused on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Immediate Abolition’ Elizabeth Heyrick supported and the union and activity of some Ladies’ Anti-Slavery Societies. ‘Immediate Emancipation’ of Heyrick was noteworthy in that point bold challenge against the policy of ‘Mitigation and Gradual Abolition’ that had been adopted by the National Anti-Slavery Society in Britain at its foundation in 1823. I tired to seek the meaning of the ‘Immediatism’, the solidarity with the Ladies’ Anti-Slavery Societies and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Heyrick in the British Anti-Slavery Movement rather than focusing on as a feminist or a radical. This includes the tensions among various factors, such as politics, economy, religion, gender, race and so on. As a result, the language of Heyrick will be revealed revolutionary rhetoric beyond the rhetoric of religion and gender demanded to women in Britain. In short, the cooperation with Heyrick and some regional Ladies’ Societies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that could grow up the Activism of Immediate Abolition and afterward Feminis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baein@hanmail.net)

      • KCI등재

        빅토리아 시대의 기독교와 ‘여성 문제’ -자유사상가들을 중심으로-

        배인성 ( Bae¸ In-sung ) 영국사학회 2020 영국연구 Vol.44 No.-

        본 논문은 기독교와 여성 문제라는 틀에서 여성의 지위, 종속, 억압 그리고 결혼제도에 관한 자유사상가들의 성서 해석과 이에 대한 대안들을 고찰한다. 빅토리아 시대는 기독교적 이상을 삶의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가치로 숭앙하면서도 신앙의 위기와 종교의 다원화를 경험하며 세속화의 문을 열었던 시기였다. 자유사상의 지적 조류는 빅토리아 시대의 세속주의 운동을 이끄는 주요한 동력으로 작용했다. 자유사상가들은 여성의 종속과 억압을 정당화하는 성차별주의적 기독교 신화를 무너뜨리기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다. 인간의 합리성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종교를 거부하고 자유로운 탐구와 자유로운 언론의 원칙을 내세웠던 자유사상가들이 성서 속 여성 쟁점들에 대해 어떻게 사유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여성 문제에 관한 기독교도들의 입장을 비교, 검토할 것이다. 양측은 각자의 이론의 정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지적으로 교류했으며 이 과정에서 자유사상가들은 여성을 남성의 ‘협조자’가 아닌 ‘동등자’로 묘사하며 주체적 시민의 자격을 부여했다. 자유사상가들의 활동은 영국 국교회가 지배하는 제국의 질서에 맞선 저항의 의미를 내포한다. 결과적으로 자유사상가들은 기독교도와는 결이 다른 시각을 통해 여성 해방의 실천 가능성을 모색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biblical interpretation and alternatives of freethinkers on women's status, subordination, oppression and marriage systems within the framework of Christianity and Woman Question. The Victorian era was a time when Christian ideals were revered as important values in all areas of life, but it also opened the door to secularization by experiencing a crisis of faith and the diversification of religion. The intellectual tide of freethought served as a major driving force in the Secular Movement of the Victorian era. Freethinkers were at the vanguard of the struggle to break down the sexist Christian myth that had justified women's subordination and oppres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freethinkers who rejected religion based on their trust in human rationality proposed free inquiry and free press thought about women's issues in the Bible. In the process, the discussion of freethinkers on women's issues will be understandable through comparison with Christians. The two sides exchanged intellectually to prove the legitimacy of their theories, in which freethinkers qualified women as equals rather than the helpmate of men. The activities of freethinkers imply resistance against the order of the empire dominated by the Church of England. As a result, freethinkers sought the possibility of women's liberation through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Christians.

      • KCI등재

        연구 논문 : 노예와 여성 해방을 위하여 -미국 노예제폐지운동에서 마티노의 활동을 중심으로-

        배인성 ( In Sung Bae ) 영국사학회 2011 영국연구 Vol.25 No.-

        본고는 해리엇 마티노의 노예제와 ``여성 문제(Woman Question)``에 대한 담론을 고찰한 것이다. 해리엇 마티노는 1834년부터 36년까지 미국을 여행하였다. 마티노가 평생 동안 관심을 가졌던 쟁점은 사회 주변부에 위치한 여성과 노예였다. 마티노는 미국 사회의 하나의 제도로서 노예제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마티노가 실제로 목격한 노예의 삶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숭상하는 미국 사회의 이념과 모순된 것이었다. 그래서 마티노는 당시 진행되고 있었던 미국의 노예제폐지운동에 동참할 것을 선포하고 이 운동을 이끌었던 윌리엄 개리슨을 비롯하여 여성 노예제폐지론자들과 협력하여 활동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미국의 노예제폐지운동 과정에서 영국과 미국 사이의 깊은 유대를 강화하는 데 마티노가 상당히 공헌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미국의 노예제폐지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분열의 양상이 ``여성 문제``에 의해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마티노는 ``보편적 노예 해방``이라는 목표와 더불어 여성의 공적 영역에서의 활동과 해방을 노예제폐지운동에 포함시켰던 윌리엄 개리슨파를 지지했다. 그런 점에서 마티노에게 미국의 노예제폐지운동은 구속받는 인류의 해방이라는 ``대의``를 실천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Harriet Martineau`s Slavery and ``Woman question`` discourses, focusing on her works and activities of the 19th century. After finishing the writing of Illustration of Political Economy, she traveled in America from 1834 to 1836. This period reached the peak of Anti-Slavery Movement. Martineau might have been small, plain, deaf, and provincial, yet her reputation as an abolitionist sympathizer preceded her visit to America, a reputation based primarily on her compassionate treatment of the plight of black slaves on a West Indian plantation in the 1832 Illustration of Political Economy tale, "Demerara." She called the situation of this period ``reign of terror``, ``martyr age,`` and ``the great conflict.`` Near the end of her stay she spoke up in a public meeting for the abolitionists of William Lloyd Garrison`s circle and lost much of her welcome in America, since the abolitionists were thought wildly fanatical by many Americans at the time. Martineau was associated with American abolitionists and ``beloved Americans.`` Above all, she supported and participated in Garrisonions which led William L. Garrison and advocated not only the universal emancipation but also women`s rights. For her, Anti-Slavery Movement in America was the point of dispute related ``Woman Question`` which involved in women`s human rights, women`s education, and women`s employment in the 19th century. Her contributions to Anti-Slavery Movement in America was lasting and consistent writing against slavery. She wrote articles related slavery issues in the Daily News, The Liberty Bell, Spectator, Once a Week, National Anti-Slavery Standard and so on. Also, She wrote Society in America, Retrospect of Western Travel and the Martyr Age of the United States. The reason she participated in Anti-Slavery Movement in America was the analogy between the woman`s lot and the slave`s. By this, We can know Harriet Martineau played an important role of American Anti-Slavery Movement and established a foothold toward feminism.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캐롤라인 노턴의 법적 글쓰기와 읽기

        배인성 ( In Sung Ba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본고는 캐롤라인 노턴의 기혼여성 법률 개혁에 관한 그녀의 활동과 텍스트에 관한 논의이다. 남편의 폭언과 폭력, 자녀들과의 이별, 멜버른 경과의 간통 사건, 재정 문제로 인한 법정 소송 등은 결혼 생활 내내 그녀를 괴롭혔던 문제들이었다. 무엇보다 그녀를 분노케 했던 것은 여성의 법적 부재의 현실이었다. 아버지에게 자녀의 보호에 관한 모든 권한을 부여하는 법률은 그녀에게는 커다란 고통을 안겨주었다. 또한 멜버른 경과의 간통소송에서도 캐롤라인은 자신을 변호할 수 없었다. 이 사건은 그녀에게 ‘스캔들의 여인’이라는 오명을 안겨주었다. 게다가 재정 문제로 인한 법정 소송에서 남편과 아내는 한 사람이므로 계약을 체결할 수 없다는 규정에 근거해 부부 사이에 맺은 ‘별거 합의서’가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그녀는 소송에서 패소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그녀는 기혼여성에게 불공평하게 적용되는 법률의 모순을 진단하고 그 처방을 제시하고자 법적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나아가 정치적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의회에서 법적 개혁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839년 아동보호법, 1857년 결혼이혼법 통과는 이러한 항거의 과정에서 양산된 역사적 산물인 것이다. 캐롤라인 노턴은 영국의 근대 페미니즘의 전통을 수립하는 데 공헌하였다. 물론 그녀가 단독으로 시대와 유리되어 행동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녀의 작품들은 이 후 전개될 페미니즘의 구체적인 이슈, 특히 법적 개혁에 관한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자신의 부당한 행위와 개인적인 분노에 관한 극적인 서사는 기혼여성의 상황을 개혁하려는 젊은 세대를 고무시켰다. 무엇보다 공적으로 항거하는 행동은 독립할 수 없는 기혼여성을 규제하는 법률적 측면에서 볼 때 매우 급진적이고 개혁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캐롤라인 노턴은 사적인 부당행위로 고통당하는 여성에서 공적 활동의 대변인으로 변모한 것이다. 요컨대 그녀는 개인적인 불행을 현행법에 대한 비난으로 전환시키면서 불법이 저지되지 않는 사적 영역과 남성들에 의해 제정되고 시행되는 법률의 공적 영역 사이의 경계를 무너뜨린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페미니스트로서 그녀를 재평가해야 하는 분명한 이유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Caroline Norton``s legal writings and activities which related to married women``s legal reforms. The violent language and violence of her husband, separation of children and lawsuits were problems which had bothered her for all her married life. Above all, The thing which enraged her was the legal absence of married women in England. The English law bestowed right of the custody of child on father. She couldn``t defense herself in an adultery case with Lord Melbourne. This case was branded with infamy, ‘A Scandalous Woman’. She tried to write legal pamphlets for herself and married women had experienced a similar situation and require politicians to pass the laws for them. These pamphlets crossed the boundaries of public and private spheres by combining a personal appeal for justice with a general critique of the legal ``non-existence`` of women. For her, the personal was deeply political and she connected closely her own sufferings, and the private sufferings of many other women, with the public world of law. In the process, She broke the barrier between the private sphere and the public domain, elevating her personal complaint to a political demand. Moreover, as a wronged wife, and one against whom no charge of adultery or illicit sexual behaviour could be sustained, Caroline Norton had a standing and a known figure within later feminism around whom a younger generation could gather. Her writings were very influential in turing the attent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feminists to the question of married women and their legal disabilities. She diagnosed legal structural contradictions and made alternative measures through legal writings which related to her own experiences. In addition to, She undertook to reform for married women in legal aspect through political network. It means a ``political activitism``. In short, Infant Custody Act of 1839 and Marriage and Divorce Act of 1857 were the historical results which produced in the process of her legal battles.

      • KCI등재

        영국의 자유사상 페미니즘에 관한 시론

        배인성 ( Bae¸ In-sung ) 영국사학회 2020 영국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19세기 영국의 세속주의 운동에서 여성들의 활동에 주목하여 자유사상과 페미니즘의 상관관계를 조명한다. 19세기 영국은 영국 국교회가 지배하는 사회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 내부에서 감지되는 종교거부와 세속화의 현상들은 이 시대가 신앙의 위기였음을 드러내준다. 이성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자유사상은 기존의 권위에 맞서 진리, 도덕성, 사회적 쇄신을 위한 주요한 투쟁의 원칙으로 작동했다. 자유사상의 지적조류는 19세기 초 오언주의자들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19세기 중반에는 ‘세속주의’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프랜시스 라이트, 엘리자 샤플즈, 엠마 마틴, 해리엇 로, 애니 베전트와 같은 자유사상가들은 사회가 부여한 젠더 역할에 의존하지 않고 ‘자유로운 탐구, 자유로운 연설, 자유로운 언론’의 원칙하에 여성화된 종교적, 도덕적 현안에 맞서 저항했다. 그들은 강연자, 저자, 저널리스트로서 공적 목소리를 내며 사회 제도들을 민주화하는 데 힘썼다. 이것은 평등하고 자유로운 세계를 실천하기 위한 세속주의 운동이 여성들에게 문을 개방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세속주의 운동은 독립적인 주체로서 새로운 여성상을 제시하며 여성 해방의 대의를 위해 힘쓴 ‘자유사상 페미니즘’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 역사적 산물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freethought and feminism by paying attention to women’s activities in the Secularist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Although England was a society dominated by the Anglican Church, the phenomenon of religious rejection and secularization detected within the society revealed that this era was a crisis of faith. Freethought based on the trust of reason worked as a principle of major struggles for truth, morality and social reforms against existing cultural authorities. This intellectual tide of freethought developed through the Owenities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expanded to a new concept of secularism in the mid-19th century. Freethinkers such as Frances Wright, Eliza Sharples, Emma Martin, Harriet Law and Annie Besant resisted femaleized religious and moral issues under the principles of ‘free inquiry, free speech and free press’, without relying on the gender roles imposed by the society. They were active in democratizing social institutions with competing voices as lecturers and journalists.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secularist movement to practice an equal and free world opened its doors to women. The secularist movement was a historical product that can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ship with Freethought feminism which presented new women’s image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worked for the cause of women’s emancipation.

      • KCI등재

        프랜시스 라이트와 개혁의 목소리 -7월 4일 연설을 중심으로-

        배인성 ( Bae In-sung ) 영국사학회 2019 영국연구 Vol.41 No.-

        본 연구의 목적은 1828년 뉴 하모니와 1829년 필라델피아에서 울려 퍼진 프랜시스 라이트의 7월 4일 연설을 소개하고 여기에 담긴 메시지를 그녀의 개혁 운동과 관련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스코틀랜드 출신인 라이트는 전통적인 연설의 방식을 차용하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개혁 메시지를 설파함으로써 7월 4일의 역사적 의미를 재구성했다. 미국 사회를 향한 진보와 개선의 가능성, 변화의 원칙, 인류를 향한 긍정적 비전이 바로 그것이다. 라이트는 7월 4일 연설의 전통 서사의 중심에 자리한 애국자의 개념을 뉴 하모니의 청중 나아가 인류 전체로 확대함으로써 인류 평등주의적인 사회 개혁을 실현하고자 했다. 뉴 하모니 연설이 유토피아 사회주의 공동체라는 특수한 성격을 반영한 그들만의 행사였다면 필라델피아 연설은 미국 국민을 향한 정치적 목소리이자 개혁을 위한 선전포고라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라이트의 7월 4일 연설은 전통적인 서사와 설득력 있는 수사 양식을 결합한 역사적 산물이자 개혁 운동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작동한다. 나아가 미국 사회의 ‘타자’였던 영국 여성의 목소리를 재현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July 4 speech of social reformer Frances Wright, who addressed in New Harmony in 1828 and Philadelphia in 1829, and to analyze its meanings in relation to her reform movement. Wright redefined the historical meanings of July 4 by borrowing the traditional method of speech and by preaching her own unique messages of reform. They included the possibility of progress and improvement towards American society, the principle of change, and the positive vision for all mankind. Wright sought to realize human-egalitarian social reform by expanding the patriot who was at the center of the traditional narrative on July 4 to the audience of New Harmony and to the whole human race. While the speech in New Harmony was for the sake of its own event which reflected the special character of the utopian socialist community, the speech in Philadelphia was a political voice for the American people and a declaration of war for her reform. In short, Wright's July 4 speech was a historical product combining traditional narrative and persuasive rhetorical form and a useful tool for her reform movement. Furthermore,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demonstrating the voice of British woman who was ‘other’ in American society.

      • KCI등재

        마리아 스튜어트의 저항의 기록과 역사적 의미 - 『종교와 순수한 도덕 원칙들』을 중심으로 -

        배인성 ( Bae In-sung ) 한국여성사학회 2016 여성과 역사 Vol.0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적 이슈로 연설을 행한 최초의 미국 흑인 여성인마리아 스튜어트의 『종교와 순수한 도덕 원칙들: 우리가 놓아야 할 확실토대』를 중심으로 19세기 초반 미국 사회에 만연된 인종과 젠더 차별에 맞선 흑인의 저항담론을 추적하려는 것이다. 이는 미국 사회의 `타자`였던 흑인 여성의 목소리를 재현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 1832년부터 33년사이 네 차례의 연설을 통해 울려 퍼진 스튜어트의 메시지는 노예제 폐지와 흑인과 여성 해방을 골자로 한다. 연설가로서의 행보는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지만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오히려 이러한 연설문들의 사상적 토대를 담고 있는 바로 이 작품이다. 중요한 사실은 스튜어트의 글쓰기는 미국의 노예제폐지운동을 이끈 윌리엄 개리슨과의 연대를 통한 새로운 방식이라는데 있다. 스튜어트는 자신의 멘토였던 자유 흑인 투사인 데이비드 워커의 방식을 계승하고 더 나아가 개리슨과의 협력을 통해 노예제 폐지의 `대의`뿐만 아니라 여성의 권리를 획득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미국의 혁명 정신, 교육의 가치, 흑인의 자유에 대한 절박함과 필연성, 흑인의 연합, 그리고 여성의 특별한 책임 등에 관한 스튜어트의 `저항의 기록`은 19세기 초반 미국 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층위에 대한 흑인 여성의 시선과 저항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백인에 맞선 흑인의 `대항 역사`의 공간을 메울 충분한 전거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sistance discourse of Maria Stewart, who made public speeches on political issues and wrote Religion and the Pure Principles of Morality: the Sure Foundation on which We Must Buil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Maria Stewart`s resistance messages, including the emancipation of blacks and women, I trace how a black woman attempted to avoid the discrimination of race and gender under the system of slavery in America. The most notable point in the way of Stewart`s resistance was in solidarity with William Garrison, who played a key role in the triumphant abolition movement. As his case provided a useful example of cooperation between whites and blacks in the abolition movement, it had an important meaning. She inherited the form of her mentor, David Walker, and claimed the rights of women as well as the `cause` of the abolition of slavery through cooperation with Garrison. Stewart`s `rhetoric of resistance` with regard to revolutionary spirit, the value of education, urgency and necessity of freedom of blacks, their union, and the special responsibilities of black women reflected the diverse and complex strata of American society through a black woman`s gaze in the early 19<sup>th</sup> century and further reproduced the voice of a blackwoman`s resistance.

      • KCI등재

        연구논문 : 해리엇 마티노의 역사 쓰기와 읽기 -아일랜드 합방폐지를 둘러싼 논쟁-

        배인성 ( In Sung Bae ) 영국사학회 2013 영국연구 Vol.29 No.-

        본고는 1800년 영국과 아일랜드의 합방 이후 아일랜드의 합방폐지를 둘러싼 해리엇 마티노의 역사서술을 고찰한 것이다. 마티노는 『30년 평화기의 영국사, 1816-1846』에서 아일랜드에 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마티노는 ‘합방주의자’로서 영국과 아일랜드의 연합을 일관되게 지지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마티노가 합방폐지운동을 이끌었던 다니엘 오코넬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는 점이다. 오코넬은 아일랜드 국민의 모든 염원을 합방폐지를 통해 성취할 수 있다고 설파하면서도 스스로는 아일랜드의 독립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이런 점에서 마티노는 오코넬을 ‘선동가’로서 평가했다. 마티노가 그리는 영국과 아일랜드의 이상적인 관계는 ‘진정한 통합’을 함의한다. 즉, ‘분리’가 아니라 ‘통합’을 통해 ‘아일랜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티노가 아일랜드의 경제적 번영, 산업화, 그리고 근대화의 가능성을 영국과의 통합을 통해 제시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였다. 요컨대 그녀는 “아일랜드인을 위한 아일랜드”를 장려하면서도 제국의 구조는 철저히 유지하면서 실행해야 한다고 확신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d Harriet Martineau`s writing about the Repeal of Ireland, focusing on her perspective of Daniel O`Connell who led the Repeal Movement in 1830-40s. Martineau`s History of England encompassed the whole social and political world. She wanted to teach her readers how to understand her nation and its empire. Martineau devoted considerable space to Ireland. She was a committed unionist. So she envisioned the perfect unity of England and Ireland. She criticized sharply O`Connell in History of England for his false attitude of Repeal Movement. To the Irish, Repeal meant every man`s ownership of his bit of land, release from standing debts, and the abolition of taxes. He exploited these ideas to drag the Irish. His attitude revealed the ambiguity as a hero in the Repeal. While expressing clearly that the Irish could achieve all of their heart`s desires through the repeal, he thought himself the independence of Ireland was impossible. That`s why she appraised him ``agitator``. Martineau believed that Ireland`s miseries could be remedied only by British intimate connection with country of superior industrial condition and habits.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England and Ireland was ``real unification``. In short, While encouraging ``Ireland for the Irish``, she insisted that the structure of Empire be held and practiced thorough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