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西漢演義》의 일본 수용 및 출판양상 연구 - 韓中日 상호연관성 규명을 중심으로

        배우정 한국중문학회 2022 中國文學硏究 Vol.- No.88

        《Xi-Han-yanyi》, more familiar with 《Cho-Han-ji》, began to be distributed as a work translated and adapted into Japanese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i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opularization of the work,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reproduced in their culture rather than simply accepted in the original state published in China. The phenomenon that works from one country are imported into another country and published again according to the tastes of each country indirectly shows the culture and the times of the society at the time through the acceptance process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work was favored by readers. As another work is completed based on the culture to which they belong and is recreated in a style suitable for the society through ‘publishing’, publication serves as a concrete result of knowledge and a medium of cultural exchange. 《Xi-Han-yanyi》 came to Joseon ear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was created as a Koreanized work, and it has become a popular content even today, forming a culture unique to Japan in Japan. Previous studies of each country on 《Xi-Han-yanyi》 have been conducted mainly in their own countries, and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individualized work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East Asia.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leading to the propagation,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Xi-Han-yanyii》 to Japan, and by understanding the social perception and criticism of the readers who enjoyed the work, the social context of the work seen in Korea, China, and Japan is analyzed. We would like to examine it together. 《초한지(楚漢志)》로 더욱 익숙한 《서한연의(西漢演義)》는 17세기 말 일본어로 번역⋅각색된 작품이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유통되기 시작했다. 이는 작품의 대중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단순히 중국에서 출판된 원형 상태로 수용하는데 머물지 않고 그들의 문화로 재생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 나라의 작품이 다른 나라로 유입되어 다시 각국의 기호에 맞게 새롭게 출판되는 현상은 그 작품이 독자들의 애호를 받았다는 사실 외에도 수용과정을 통해 당시 그 사회의 시대상과 문화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그들이 속한 문화를 기반으로 또 하나의 작품이 완성되고, ‘출판’을 통해 그 사회에 맞는 스타일로 재창조되므로 출판은 지식의 구체적인 결과물이자 문화교류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서한연의》는 임진왜란 이후 일찍이 조선에 들어와 한국화된 작품으로 창작되어 현재까지도 인기 있는 콘텐츠로 정착하였으며, 일본에서도 일본만의 작품 문화를 형성하였다. 현재까지 진행된 《서한연의》에 대한 각국의 선행연구는 자국을 중심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며, 동아시아 韓⋅中⋅日 삼국의 자국화된 개별 작품에 대해 비교한 구체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서한연의》의 일본전파, 수용, 변용에 이르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이 작품을 향유 했던 독자층의 사회적 인식과 평론을 파악하여 韓中日 삼국에서 본 작품의 사회적 맥락을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소장된 《西漢演義》의 서지학적 고찰 ― 《西漢演義》의 “中國版本”을 중심으로

        배우정 한국중국소설학회 2017 中國小說論叢 Vol.53 No.-

        Introduced to Korea arou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Xi-han-yan-yi, more familiar to us as its another title Chohanji, drew lots of attention from readers and its popularity has continued until today. There are dozens of kinds of Xi-han-yan-yi block books still remaining in Korea, including book translated/published and book adapted/published, as well as Chinese book published, and this indirectly proves that this book had gained lots of popularity from readers of the time. The earliest block book of Xi-han-yan-yi and most widely read version in Korea is Xinkejian xiao ge pi ping Dong Xi Han tong su yan yi, which was published at the late years of the Ming Dynasty. The earliest block book of Xi-han-yan-yi currently existing in Korea is Dong Xi Han quan chuan(1815) which is possessed by Korea University. As the woodblock printed book, it is comprised of 11 rows and 26 characters. There are 101 books in total. It is the republished version of Xin ke jian xiao ge pi ping Dong Xi Han tong su yan yi in later years. However, the Yeungnam University-owned Xi-han-yan-yi which was newly found this time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woodblock books, as it was woodblock printed by the government offices. As the only woodblock book comprised of 13-row/40characters per page, it is regarded that it was probably introduced to Korea around the mid or late 1700s. Since the exact date of publication is not specified, it would be hard to come to a definite decision. But the introduction of the woodblock book printed by the government officesseems to show a significant fact that the publication culture of the late Ming Dynasty was prevalent at that time. 우리에게는 《楚漢志》로 좀 더 익숙한 작품인 《西漢演義》는 임진왜란을 전후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당시 독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고, 그 인기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西漢演義》의 판본은 수 십 여종이 넘고, 中國에서 刊行된 版本과 국내에서는 飜譯出版本, 飜案出版本, 筆寫本 등 다양한 版本이 존재한다. 이는 이 책이 당시 독자들의 많은 관심과 애호를 받았다는 단서이기도하다. 《西漢演義》의 가장 이른 판본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통용된 판본은 明末에 劍嘯閣에서 간행된 《新刻劍嘯閣批評西漢演義》이다. 국내에서 가장 이른 《西漢演義》의 판본은 고려대학교에 소장된 《東西漢全傳》이다. 이 판본은 木版本이며, 한 면에 11행 26자로 이루어져있고, 8권 8책으로 구성된 100회본이다. 이는 《新刻劍嘯閣批評西漢演義》 판본을 후대에 재간행한 것이다. 고려대 소장본인 《東西漢全傳》은 書名으로 보아 《東漢演義》와 《西漢演義》의 合刊本의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는 《西漢演義》 부분만이 남아있으며, 국내에서는 同文堂에 刊行한 유일한 版本이며, 《西漢演義》 부분은 완질본이 모두 남아있어 中國版本 《西漢演義》의 서지사항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국내에 있는 중국판본 《西漢演義》는 대부분 劍嘯閣에서 간행한 판본으로 대부분 淸代 간행된 版本이며 판식사항과 내용적인에서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필자는 전국의 대학 도서관을 다니면서 《西漢演義》의 판본 자료를 수집하던 중 우연한 기회에 嶺南大學校에 소장되어있는 《西漢通俗演義》를 보게 되었고, 판심제에 “官版西漢通俗演義”로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판본은 官版本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木版本과는 다른 차이점을 나타내며, 《西漢演義》 가장 이른 판본인 大業堂本(1612年)과 마찬가지로 14행 30자로 된 국내에서 유일한 판본이다. 민간서림에서 출판한 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官刻하였을 것이라 추측된다. 따라서 이 판본은 적어도 明代末에서 淸代初사이에 간행되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영남대 소장본의 경우 현재 제5권만이 남아있어 자세한 刊記를 알 수 없어 확신할 수는 없지만, 정부에서 간행한 官版本이 국내에 들어왔다는 것은 당시 《西漢演義》가 국내에서 인기 있는 작품이었음은 틀림없다. 이 판본은 완질본이 아니라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으나, 기존에 국내 소장된 중국판본 《西漢演義》와 분명한 차별성이 있고, 中國 官版本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기에 주목할 만한 판본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雅丹文庫 所藏 한글筆寫本 《한셩뎨됴비연합덕젼》의 飜譯樣相 고찰― 伶玄의 《趙飛燕外傳》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우정 한국중국소설학회 2014 中國小說論叢 Vol.43 No.-

        Zhaofeiyanwaichuan is one of the biographies. It is a life story of the queen Zhao Qheen at the Han(漢) time. This study is based on Woodblock-printed Books of Zhaofeiyanwaichuan in Korea. 《한성뎨됴비연합덕젼》 is considered as a transcription based on Zhaofeiyanwaichuan, no one knows exactly what is the original text for a basis of Zhaofeiyanwaichuan. As a result of research into translation aspects, Woodblock-printed Books was not found as a title of 《한셩뎨됴비연합덕젼》, it seems to be translated based on Zhaofeiyanwaichuan as a research for aspect of contents and translation. In the case of the 《한성뎨됴비연합덕젼》, it is hard to estimate time of transcription. As a form of the Premodern Korean in using Hangul,《한성뎨됴비연합덕젼》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period is the late 18th century. Zhaofeiyanwaichuan is one of the written language novels and it was classified obscene literature. Also, the data for research is insufficient. Zhaofeiyanwaichuan was not a popular novel in Korea. However, the Woodblock-printed Books of Zhaofeiyanwaichuan exists, and it has many things to research on past historical materials with other written language novels based on the secret story of the queen.

      • 개념 그래프의 트리 표현

        배우정(W. J. Bae),이현영(H. Y. Lee),박인철(I. C. Park),이용석(Y. S.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본 논문에서는 개념 그래프(conceptual graphs)의 효율적인 구현을 위해 개념 구조(conceptual structures)를 트리로 표현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개념 구조의 트리 표현은 개념 그래프를 컴퓨터 내부에 프레임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념 그래프의 트리 표현을 위해 우리는 중심어 선행 표현(preorder expression)을 사용하며 집합 참조대상을 확장한다. 우리는 이러한 트리 표현이 개념 그래프의 자연어 문장 표현의 유일성과 일관성을 줌을 보인다. 아울러, 개념 그래프의 트리 표현은 지식 표현 시스템의 구현을 용이하게 하고 개념 그래프에 대한 연산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 개념 구조의 효율적인 표현을 위한 개념 트리

        배우정(Woo-Jeong Bae),박인철(In-Cheol Park),이용석(Yong-S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6 No.6

        개념 그래프는 개념 구조(conceptual structures)를 그래프로 표현한 논리 시스템으로 자연어 처리에 적합한 여러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개념 구조의 그래프 표현은 개념 그래프에 대한 연산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고 의미 표현의 일관성(consistency)과 유일성(uniqueness)을 잃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념 그래프의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해결한 개념 트리의 표현 방법을 보인다. 표현의 유일성을 위해, 개념 트리는 중심어 선행 표현(preorder expression)에 의해 제약된다. 또한, 표현의 일관성을 위해 집합 참조대상(set referents)을 확장하고 이를 다루기 위한 set join 연산을 재정의한다. 우리는 개념 트리가 자연어 문장에 대한 표현력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임을 보인다. Conceptual graphs, which are a logic system and represent conceptual structures with graphs, have properties suitable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he graph representation of conceptual structures, however, increases the complexity of operations with conceptual graphs and loses the consistency and uniqueness of meaning represent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these problems in detail and then we give representations in conceptual trees for resolving the problems. For the uniqueness, conceptual trees are restricted by preorder expression. For the consistency, we extend set referents and redefine the operation set join for manipulating them. We show that conceptual trees are efficient, keeping expressive power for natural language sent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